재보궐 선거와 향후 정국전망

입력 2024.10.16. 23:07 강병운 기자
민주당 영광, 곡성군수 승리 불구 상처뿐인 영광
차기 지방선거 지역민심 변화 추이 주목

더불어 민주당이 16일 4개 지역에서 실시된 재보궐 선거에서 영광군과 곡성군 군수 재선거에서 승리 했지만 상처뿐인 영광 으로 평가된다. 인천 강화와 부산 금정 에서는 패배 하면서 전국정당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특히 영광군수 선거에서 민주당은 진보당과 조국혁신당과 막판까지 접전 양상을 보였다. 이에따라 향후 지방선거에서 지역민심의 변화 추이에 정치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선거는 차기 지방선거의 가늠자 이자 전초전으로 인식됐다. 20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는 물론 대선과 총선 등 호남정치지형의 변곡점이 될것으로 예측됐다.

곡성군은 무소속 조상래 후보를 민주당이 영입 하면서 조국혁신당 박용두 후보를 일찌감찌 앞섰다. 초미의 관심사 였던 영광군수 선거는 민주당 장세일 후보와 조국혁신당 장 현 후보, 진보당 이석하 후보가 막판까지 초접전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민주당 장세일 후보가 승리하면서 민주당은 일단 한숨을 돌리는 모양새다.

하지만 민주당 텃밭에서 치러진 선거에서 고전을 거듭하며 승리 하면서 향후 호남의 민심변화 추이가 주목받고 있다. 민주당이 향후 지방선거와 총선 등에 있어서 이제 결코 맹주가 아님이 학인된 것이다. 그동안 무소속과 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던 영광 지역의 특성을 감안 하더라도 민심의 변화가 뚜렷이 감지 됐다. 과거처럼 민주당 지팡이만 꽂아도 당선되는 시절과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는 이번 선거를 기점으로 호남에 대한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 하다는 지적이다. 호남민심이 과저처럼 강력한 지지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대한 반성과 원인분석이 선행돼야 한다. 특히 오는 11월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당내 역학구도 변화와 지방선거 구도에 변화를 초래할지 여부도 관심사다.

조국혁신당과 진보당의 경우 이번 선거에서 선전 했지만 패배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호남의 민주당 일당독식 현상이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체험 했다. 지역에 따라 후보만 잘 공천하면 호남에서 민주당과 일대일 승부가 가능 하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점은 큰 수확이다.

다만 조국혁신당과 진보당이 민주당에 대항마에 머물뿐 승리를 담보 하기에는 역부족 이다는 점도 확인됐다. 특히 조국신당의 경우 지난 총선에서 보여 주었던 호남에서의 폭발적인 지지율을 견인하지 못한 부분을 냉철히 인식 해야 한다. 민주당의 대안세력 으로서 인정 받기 위한 뼈를 까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이번 선거가 전남지역, 특히 향후 지방선거에서 전남지사에 출마할 후보들의 역학관계 변화에 영항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전남지사 출마가 예상되는 이개호 의원의 경우 지역구인 영광군수 선거에서 승리 하면서 체면을 살리면서 전남지사 선거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주철현 의원의 경우 전남도당위원장을 맡아 선거를 지휘 하면서 존재감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특히 곡성군수 후보와 관련해 무소속 이었던 조상래 후보를 영입하고 경선방식을 변경 하는데 일등공신으로 평가받고 있다.

결국 이번 선거에서 호남민심 변화 가능성이 확인된 만틈 야권의 호남쟁탈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의 차별화된 호남민심 잡기 전략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광군수 재선거 선대위원장을 맡았던 박지원 의원은 "영광 군민들이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믿고 지지해준데 대해 감사 드린다.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 의원과 민주당원이 똘똘 뭉쳐 하나로 가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개호 의원은 "어려운 선거에서 민주당을 변함없이 지지해준 지역민들게 감사 드리고 이재명 대표가 제시한 기본사회 구현과 더불어 선거 과정에서 후보가 약속한 공약들을 충실히 이행할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강병운기자 bwjj238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