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의료계 설득 총력전에도···여야의정 협의체 추석 전 출범 난항

입력 2024.09.11. 16:36 강병운 기자
의료계, 2025년 증원 백지화·책임자 문책론 요구하며 불참 고수
야당도 소극적 태도…대통령 사과·보건복지부 장·차관 경칠 요구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더불어민주당-중소기업계 민생경제 간담회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2024.09.11. kkssmm99@newsis.com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제안한 여야의정 협의체의 추석전 출범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의료계가 '2025년 의대 증원 백지화'를 협의체 참여의 전제조건으로 걸고 완강히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야당도 대통령의 사과와 보건복지부 장.차관의 경질을 요구하며 소극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일각 에서는 의료계를 제외한 여야정 협의체 출범도 어려울 것 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여당 지도부는 협상 테이블에 의료계를 앉히고자 총력전에 나섰지만 성과는 쉽사리 나오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의료계가 참여할 기미를 보이지 않아 사실상 추석 연휴 전 협의체 출범은 어려운 분위기다.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 전 단계로 의료계를 뺀 여야정 협의체가 먼저 꾸려질 수 있다는 관측이 있었지만, 현재로서는 그 가능성도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일단은 의료계가 협의체에 들어와야 제대로 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는 게 대다수의 의견이다.

국민의힘 지도부 핵심관계자는 11일 "의료계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협의체 출범 시기가 달렸다"고 말했다.

이에 한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전방위 설득에 나섰지만, 의료계의 협의체 참여를 끌어내지는 못하고 있다. 대화 창구가 분산된 데다가 일명 '응급실 블랙리스트' 유포 논란 등으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하루아침에 될문제는 아니고 의료계도 논의할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며 "의료계 창구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여야의정 협의체를 먼저 제시했던 야당도 다소 소극적인 태도로 바뀌었다. 의정 갈등 문제를 정부·여당이 풀어야 할 몫으로 보고 관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 원내대표가 의료계 설득에 함께 나서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일정 조율 단계는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여당 지도부 소속 의원은 통화에서 "야당과 큰 이견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보건복지부 장차관 경질 등을 주장하는 것을 보면 정말 협의체를 하고 싶은 건지 의심이 든다"며 "계속 협의할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의료계가 요구하는 2025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와 책임자 문책론 등을 두고 당내에서 의견이 통일되지 않은 점도 혼란을 더하는 요소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지난 9일부터 우리 대학 수시 모집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의대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이나 학부모 입장 에서도 2025년도 의대 증원을 수정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의료계가) 2026년도 정원에 대한 합리적인 안을 제시해주면 제로베이스 에서 검토가 가능할 수 있다"며 기존 정부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반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이 기자회견 직후 진행된 백브리핑에서 '조건 없는 대화'를 주장하면서 2025년 의대 증원 조정과 책임자 경질론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의료계가 요구하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와 (보건복지부) 장차관 경질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냐'는 질문에 "모여서 무슨 얘기인들 못하겠느냐. 대화할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협의체 출범 전제조건 으로 뭐 안된다 이런건 없다"며 "그런건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고 생각이 다르니 만나서 대화하는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화가 출발하는 것 자체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2025년 의대 증원 조정은 불가하다는 대통령실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의료계의 불참 방침 고수, 야당의 소극적인 태도, 여당 내 이견 등이 복합적으로 꼬이면서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은 이래저래 난관에 부딪혔다. 이 때문에 추석 전 출범은 쉽지 않고 연휴가 지나서야 가닥이 잡힐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서울=강병운기자 bwjj238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