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영대학교는 최근 대한조선 우수협력사인 진흥기술, 창림 등과 외국인 유학생의 조선업 용접 분야 현장실습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현장실습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조선업 용접분야 산업체 현장실습 및 취업연계, 조선업 숙련기능인력 양성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주승완 서영대 국제교육원장은 "HD현대삼호 사내협력사, 대한조선 우수협력사 등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지역에 정주하는 외국인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해 지역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며 "외국인 인력 수급이 필요한 지역 제조업체에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이 취업에 어려움이 없도록 다양한 방면에서 지원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전남대·조선대 의대생 복귀 시한 하루 연장한다 비어있는 의과대학 강의실 모습.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가 복학 신청 접수 기한을 연장한다. 집단 휴학계를 낸 의대생들의 대규모 제적 사태를 피하고자 내린 조치다.전남대는 의대 휴학생의 이번 학기 복학 신청서를 오는 28일 정오까지 접수하겠다고 27일 밝혔다.전남대는 이날 의대 휴학생과 학부모에게 호소문을 배포했다. 호소문에는 추가 복학 신청이 승인되도록 학장단과 의대 교수들이 노력하겠다는 내용과 함께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약속이 실렸다.전남대 의대학장은 "복귀하는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업에 임하도록 보호하겠다. 따돌림이나 수업 방해 행위가 적발되면 익명으로 사례를 접수해 징계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전했다.다만 마감 시한인 지난 24일을 넘겨 제출된 복학 신청서의 승인 여부는 아직 결정 되지 않았다. 최종 수리는 교육부와 협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국립대총장협의회 합의에 따라 전남대는 복학 신청서 추가 접수까지 종료되는 28일 정오 이후에는 미복귀 의대생에게 제적 처분 통보서를 보낼 예정이다.조선대는 28일 자정까지 하루 더 여유를 주기로 했다.당초 27일까지 휴학생의 복학 신청 접수를 종료할 방침이었던 조선대는 미동없는 의대생의 모습에 학생들과의 간담회를 개최하고 의견을 나눴다.이날 오전에 열린 의대생들과의 화상회의에서 조선대는 학생들의 입장을 듣고, 제적 마감일을 27일에서 28일로 하루 연장할 것을 제시했다. 조선대는 이번 회의 등을 통해 복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지난주까지 대학에 휴학계를 제출한 의대생은 전남대 697명, 조선대 689명이다. 대학 관계자는 늦어도 28일까지는 제출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28일을 넘기면 이번 학기 수업일수 4분의 1선을 넘게 돼 제적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타 지역에서는 복학하는 움직임이 있어 이 분위기가 광주에도 이어질지 주목된다.연세대 의대생들은 '선 등록, 후 휴학'하는 방법으로 투쟁 방식을 선회했다.서울대도 일단 복학하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서울대 의과대학생이 자체 투표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607명 중 등록에 찬성하는 비율은 65.7%(399명)로 집계됐다. 휴학을 계속하겠다는 응답은 34.3%(208명)에 그쳤다.서울의대 의정갈등 대응TF는 "전체 학년 휴학계 제출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 조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다수의 서울대 의과대학 휴학 학생 회원은 미등록 휴학의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 나가는 것에 동의하지 못했다"면서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 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전했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제적대상 된 전남대 의대생들 "복학해도 되나요?"
- · 이근배 전남대 총장 "시대가 요구하는 글로컬 명문대학으로"
- · 전남대, 미복귀 의대생 제적 처리 들어간다
- · 5·18 왜곡 도서, 광주12개 학교에 26권 배치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