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레너드 지음/ 세종서적/ 468쪽

세계 제1의 경제대국은 미국은 세계 경제의 심장이다. 미국은 기축통화인 달러패권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에서 펴는 정책이 언젠가부터 우리 일상까지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늘날 전 세계가 겪는 소득 불평등과 금융 리스크를 연준이 불러왔을 것이라고 의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안정된 일자리라고 여긴 렉스노드에 취직해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존 펠트너는 영문도 모른 채 아무 잘못 없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 모든 일의 주범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소방수를 자처했지만 2022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연준이다.
책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은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가 미국에서 가장 베일에 싸인 기관인 연준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지난 10년간 연준이 펼쳐온 정책이 어떻게 소득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경제 안정성을 위험에 빠뜨렸는지 추적한다.
저자는 현재 연준 의장인 제롬 파월이 연준에 등장하기 전 대형 사모펀드 칼라일그룹에서 일할 때 존 펠트너가 일하던 렉스노드를 엄청난 이익을 챙기며 매각한 일 등 그의 삶의 궤적도 훑어본다.
그가 연준에 들어오기 전 경험이 코로나19 이후 위기 대응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줬음을 설명하며 언론에서 다룬 연준 이야기를 뛰어넘는 뒷이야기까지 담았다.
안정된 일자리라고 여긴 렉스노드에 취직해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존 펠트너는 영문도 모른 채 아무 잘못 없이 일자리를 잃었다.
이 모든 일의 주범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소방수를 자처했지만 2022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연준이다.

저자는 폴 볼커, 앨런 그린스펀, 벤 버냉키, 재닛 옐런, 제롬 파월로 이어지는 연준 의장이 금융 정책 결정에서 어떤 민낯을 보였는지와 함께 연준의 전례 없는 규모의 양적완화가 미국 경제를 어떻게 망가뜨렸는지에 대한 충격적이면서도 흥미진진한 이야기는 물론 이것이 어떤 위험을 불러왔는지 알리고자 도전적인 취재에 나선다. 그리고 감히 연준이라는 대오에서 벗어나 연준의 방침에 반대 목소리를 낸 캔자스시티 연은 행장 토머스 호니그의 행보를 따라간다. 호니그는 양적완화(QE)와 제로금리(ZIRP)정책이 투기와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거라고 주장하지만 연준위원 절대다수는 그와 반대편에 섰고, 그 여파로 가족과 편안히 살아갈 집 한 채 마련하는 게 꿈이었던 우리의 '시민' 존 펠트너는 일자리를 잃었다.
연준의 정책이 어떻게 해서 내 주택담보대출 이자를 올리게 되는지, 왜 연준 때문에 우리가 두려운 미래와 직면하게 되는지 저자의 인사이트를 때론 흥미롭게, 때론 분노하며 따라가다 보면 연준의 '우려 섞인 말 한마디'에 패닉에 휩싸이는 우리 금융시장이 보이고,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팬데믹이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때문만이 아니라 연준의 역할이 있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2008년의 긴 붕괴는 2020년 이후의 긴 붕괴로 진화했고 그 대가는 아직 다 치러지지 않았음도 알게 된다.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는 경제 분야 전문 저널리스트로 '뉴욕타임스' 등에 글을 써 왔다.
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김미영 감독의 '절해고도',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 광주 출신 김미영 감독의 '절해고도'가 제2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대상을 수상했다.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은 국내 유일의 지역비평가그룹인 부산영화평론가협회가 수여하는 상으로, 지난 1년간 국내에서 제작된 우수한 영화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목적으로 2000년부터 개최돼 올해 24회를 맞았다.영화 절해고도는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예술장편 부문 제작지원작으로, 2021년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감독조합상(메가박스상)을 수상하는 등 이미 그 작품성과 연출력을 인정받았다.배우 박종환과 이연이 주연을 맡아 인간 본연의 고독함을 딛고 나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고즈넉한 풍경과 함께 담아냈다.지난 9월 27일 개봉 후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김미영 감독은 '일어서는 인간'(2016), '너는 결코 서둘지 말라'(2018) 등으로 인간이 살아가며 느끼는 외로움과 불안함 등 보편적인 감정을 주제로 활발히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지난 11월 12일 폐막한 14회 광주여성영화제의 단편경선 본선 심사위원을 맡는 등 광주영화계와도 꾸준히 인연을 맺어왔다.김 감독과 함께 절해고도에 참여한 광주영화인들은 이세진(프로듀서), 백종록(제작부장·배우), 윤가현(배우)으로, 광주독립영화협회를 중심으로 왕성한 창·제작 활동을 펼치고 있는 광주영화 씬의 핵심 인물들이다.또한 2020년부터 광주영화영상인연대가 진행하고 있는 광주영화학교의 강사 및 운영위원으로 광주 영화 창·제작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영화 절해고도는 2020 광주 지역영화제작 현물지원 사업(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선정작이기도 하다.이상훈 광주영화영상인연대 이사장은 광주영화인들이 참여한 작품이 국내외 유수의 영화제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는 것을 축하했다.그는 "내년 지역영화 예산이 불투명한 상황에 민관의 창의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지혜를 모으면 광주영화가 혁신적인 영화도시의 모델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 한국·레바논·시리아 거장 그림 한 자리에
- · 스님이 타는 중고차, '놀라운 시세' 얼마?
- · '최고 심박수 찍었다'···서울의 봄 챌린지 인기
- · 출판시장 결산···'2023 출판유통통합전산망 콘퍼런스'
- 1전일방 사전협상 타결 임박···더현대 광주 입점 속도붙나..
- 211월 금통위 '동결' 전망···한은 '매파 메시지'에 쏠린 눈..
- 3끊임없이 나오는 서비스로 배 채운다? 광주 신상 맛집추천..
- 4"7990원 반값 딸기 20t 푼다" 홈플러스, 한 달간 '홈플..
- 5"냉장고·세탁기 빌트인" LH, 영암 임대주택 입주시작..
- 6"같은 건물인데 4층부터만 전세사기 피해 지원된다니···"..
- 7"돈 벌어와" 화정동서 가출 청소년 성매매 알선한 20대들..
- 8광주 군공항 이전 논의 급물살···광주시장·전남지사 "만나자"(..
- 9올해 소형아파트 청약 경쟁률 14대1···2배 높아져 ..
- 10"협의이혼 중 男동료와 바람 핀 아내···" 불륜 해당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