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신재우 기자 = "사하라 고원의 연약한 아이… 20년 후 어린 왕자의 마지막 이미지, 생이 저물어가면서 중력에서 벗어나는 인물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 잃어버린 사랑의 가느다란 끈이 아니면 자기를 이 세상에 붙잡아두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하는 작가 자신의 이미지이기도 하다." (본문 83쪽 중)
프랑스의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1900~1944)는 자신의 역작 '어린 왕자'의 출간을 보지 못했다. 작가이자 삽화가, 조종사였던 그는 1943년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에 합류했고 1944년 7월 남부 해안을 정찰비행 하던 중 행방불명돼 '어린 왕자'만을 세상에 남기고 사라졌다.
이후 지금까지도 남녀노소에게 사랑받고 있는 고전 '어린 왕자'가 출간 8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해 출간한 '어린 왕자, 영원이 된 순간'(위즈덤하우스)은 그간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생텍쥐페리의 친필원고와 수채화 원화부터 뉴욕 모건도서관·박물관의 자료를 모았다.

"나는 비행기에 대한 이야기를 쓸 거야."
생텍쥐페리는 1926년 당시 약혼녀에게 보낸 편지에 이같이 말했다. 1921년 공군에 입대해 조종사 면허를 딴 그는 일찌감치 조종사로서 경험을 담은 작품을 쓰기로 마음 먹은것이다. 그런 그에게 '어린 왕자' 속 조종사는 현재의 자신을, 어린 왕자는 어린 시절 자신과 같은 존재다. 책에 수록된 그가 어머니에게 보낸 몇 통의 편지에는 소행성 B612의 작은 의자를 연상시키듯 "작은 초록색 의자를 끌고 다니던 보잘것없는 아이였을 때와 똑같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1942년 그가 '어린 왕자'의 자필 원고에 쓴 첫 문장은 "나는 그림을 그릴 줄 모른다"는 조종사의 고백이다. 이어 조종사가 그린 배, 보아뱀, 비행기를 누구도 이해하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초기 원고에는 이어진다. 보아뱀이 맹수를 집어삼키는 그림과 함께 조종사가 여섯 살 때 읽은 책 이야기로 시작하는 지금의 '어린 왕자'와는 전혀 다른 이야기로 그는 이야기를 시작했다.

원과 삽화가 최종적으로 보내진 시기는 출판사에 보낸 편지를 통해 1942년 10월 말로 추정되고 있다. 그렇게 1943년 '어린 왕자'을 마무리한 생텍쥐페리는 "이보다 참된 이야기를 쓴 적이 없다"며 자신의 후원자이자 연인 관계였던 넬리에게 3쇄본을 선물한다.
"머지않아 사방에 어린 왕자를 그리러 돌아갈 겁니다."
1943년 6월 생텍쥐페리는 이러한 편지를 부인 콘수엘로에게 보냈지만 그리고 한 달 뒤 비행 중 실종됐다. 비록 그는 다시 고국으로 돌아와 어린 왕자를 그리지 못했지만, .누구보다 뜨겁게 살았던 인간 생테쥐페리의 '참된 이야기'는 그렇게 그의 염원대로 전 세계에 그려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shin2ro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 경제의 심장 美 연준의 빛과 그림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023년 5월 3일 수요일 워싱턴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연설하고 있다.세계 제1의 경제대국은 미국은 세계 경제의 심장이다. 미국은 기축통화인 달러패권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고 있다.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에서 펴는 정책이 언젠가부터 우리 일상까지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오늘날 전 세계가 겪는 소득 불평등과 금융 리스크를 연준이 불러왔을 것이라고 의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안정된 일자리라고 여긴 렉스노드에 취직해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존 펠트너는 영문도 모른 채 아무 잘못 없이 일자리를 잃었다.이 모든 일의 주범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소방수를 자처했지만 2022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연준이다.책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은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가 미국에서 가장 베일에 싸인 기관인 연준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지난 10년간 연준이 펼쳐온 정책이 어떻게 소득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경제 안정성을 위험에 빠뜨렸는지 추적한다.저자는 현재 연준 의장인 제롬 파월이 연준에 등장하기 전 대형 사모펀드 칼라일그룹에서 일할 때 존 펠트너가 일하던 렉스노드를 엄청난 이익을 챙기며 매각한 일 등 그의 삶의 궤적도 훑어본다.그가 연준에 들어오기 전 경험이 코로나19 이후 위기 대응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줬음을 설명하며 언론에서 다룬 연준 이야기를 뛰어넘는 뒷이야기까지 담았다.안정된 일자리라고 여긴 렉스노드에 취직해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존 펠트너는 영문도 모른 채 아무 잘못 없이 일자리를 잃었다.이 모든 일의 주범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소방수를 자처했지만 2022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연준이다.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저자는 폴 볼커, 앨런 그린스펀, 벤 버냉키, 재닛 옐런, 제롬 파월로 이어지는 연준 의장이 금융 정책 결정에서 어떤 민낯을 보였는지와 함께 연준의 전례 없는 규모의 양적완화가 미국 경제를 어떻게 망가뜨렸는지에 대한 충격적이면서도 흥미진진한 이야기는 물론 이것이 어떤 위험을 불러왔는지 알리고자 도전적인 취재에 나선다. 그리고 감히 연준이라는 대오에서 벗어나 연준의 방침에 반대 목소리를 낸 캔자스시티 연은 행장 토머스 호니그의 행보를 따라간다. 호니그는 양적완화(QE)와 제로금리(ZIRP)정책이 투기와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거라고 주장하지만 연준위원 절대다수는 그와 반대편에 섰고, 그 여파로 가족과 편안히 살아갈 집 한 채 마련하는 게 꿈이었던 우리의 '시민' 존 펠트너는 일자리를 잃었다.연준의 정책이 어떻게 해서 내 주택담보대출 이자를 올리게 되는지, 왜 연준 때문에 우리가 두려운 미래와 직면하게 되는지 저자의 인사이트를 때론 흥미롭게, 때론 분노하며 따라가다 보면 연준의 '우려 섞인 말 한마디'에 패닉에 휩싸이는 우리 금융시장이 보이고,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팬데믹이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때문만이 아니라 연준의 역할이 있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2008년의 긴 붕괴는 2020년 이후의 긴 붕괴로 진화했고 그 대가는 아직 다 치러지지 않았음도 알게 된다.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는 경제 분야 전문 저널리스트로 '뉴욕타임스' 등에 글을 써 왔다.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 [새책안내] 다정한 조직이 살아남는다 外
- · 전남도 '찾아가는 영화관' 신청 접수···5개 시·군 선정
- · "60+, 여행 떠나세요"···관광협회중앙회, '꿈꾸는 여행자' 교육
- · 투자금 100배 주는 인생 역전 '홍김복권' 1등의 주인공은?
- 1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2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3이번 주말, 수국 보러갈래? 전남 수국 명소 TOP4..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6"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7"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8"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9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10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