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송윤세 기자 = 가수 임창정의 아내 서하얀이 아들에게 받은 생일선물을 공개했다.
서하얀은 30일 개인채널에 '여섯 남자와 함께한 배부른 생일 주간 VLOG'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서하얀은 생일 전 가족과 저녁식사를 하면서 언니가 사준 핑크색 주얼리와 장갑을 선물로 받고 좋아했다.
집에 와서 넷째 준재에게 편지와 핑크색 텀블러를 받고 감동했다. 편지에 '엄마 생신 축하해요. 준재가 번 돈으로 산 건데 커피 맛있게 드세요. 엄마 사랑해요'라고 적혀 있었다. 흐뭇한 마음에 서하얀은 "엄마 생일 선물 뭐 샀다고?"라고 물어봤지만, 아들은 쑥스러웠는지 "안 읽어도 돼"라고 답해 웃음을 안겼다.
친구들이 챙겨준 생일파티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핑크색으로 차려입은 서하얀은 소원을 빈 뒤 촛불을 끄고 박수를 쳤다. 자막에 '잊지 못할 생일 파티'라며 친구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여기에 직원들이 출근길 차 안에 풍선과 케이크를 준비한 서프라이즈 파티, 임창정의 팬클럽 빠빠라기 운영들이 챙겨준 케이크와 꽃다발까지 자랑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naty@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시스 기사제공.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
세계 경제의 심장 美 연준의 빛과 그림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023년 5월 3일 수요일 워싱턴에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연설하고 있다.세계 제1의 경제대국은 미국은 세계 경제의 심장이다. 미국은 기축통화인 달러패권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고 있다.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에서 펴는 정책이 언젠가부터 우리 일상까지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오늘날 전 세계가 겪는 소득 불평등과 금융 리스크를 연준이 불러왔을 것이라고 의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안정된 일자리라고 여긴 렉스노드에 취직해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존 펠트너는 영문도 모른 채 아무 잘못 없이 일자리를 잃었다.이 모든 일의 주범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소방수를 자처했지만 2022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연준이다.책 '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은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가 미국에서 가장 베일에 싸인 기관인 연준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지난 10년간 연준이 펼쳐온 정책이 어떻게 소득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경제 안정성을 위험에 빠뜨렸는지 추적한다.저자는 현재 연준 의장인 제롬 파월이 연준에 등장하기 전 대형 사모펀드 칼라일그룹에서 일할 때 존 펠트너가 일하던 렉스노드를 엄청난 이익을 챙기며 매각한 일 등 그의 삶의 궤적도 훑어본다.그가 연준에 들어오기 전 경험이 코로나19 이후 위기 대응 방식에 상당한 영향을 줬음을 설명하며 언론에서 다룬 연준 이야기를 뛰어넘는 뒷이야기까지 담았다.안정된 일자리라고 여긴 렉스노드에 취직해 내 집 마련을 꿈꾸던 존 펠트너는 영문도 모른 채 아무 잘못 없이 일자리를 잃었다.이 모든 일의 주범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소방수를 자처했지만 2022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불러온 연준이다.돈을 찍어내는 제왕, 연준저자는 폴 볼커, 앨런 그린스펀, 벤 버냉키, 재닛 옐런, 제롬 파월로 이어지는 연준 의장이 금융 정책 결정에서 어떤 민낯을 보였는지와 함께 연준의 전례 없는 규모의 양적완화가 미국 경제를 어떻게 망가뜨렸는지에 대한 충격적이면서도 흥미진진한 이야기는 물론 이것이 어떤 위험을 불러왔는지 알리고자 도전적인 취재에 나선다. 그리고 감히 연준이라는 대오에서 벗어나 연준의 방침에 반대 목소리를 낸 캔자스시티 연은 행장 토머스 호니그의 행보를 따라간다. 호니그는 양적완화(QE)와 제로금리(ZIRP)정책이 투기와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거라고 주장하지만 연준위원 절대다수는 그와 반대편에 섰고, 그 여파로 가족과 편안히 살아갈 집 한 채 마련하는 게 꿈이었던 우리의 '시민' 존 펠트너는 일자리를 잃었다.연준의 정책이 어떻게 해서 내 주택담보대출 이자를 올리게 되는지, 왜 연준 때문에 우리가 두려운 미래와 직면하게 되는지 저자의 인사이트를 때론 흥미롭게, 때론 분노하며 따라가다 보면 연준의 '우려 섞인 말 한마디'에 패닉에 휩싸이는 우리 금융시장이 보이고,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팬데믹이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때문만이 아니라 연준의 역할이 있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2008년의 긴 붕괴는 2020년 이후의 긴 붕괴로 진화했고 그 대가는 아직 다 치러지지 않았음도 알게 된다.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는 경제 분야 전문 저널리스트로 '뉴욕타임스' 등에 글을 써 왔다.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 [새책안내] 다정한 조직이 살아남는다 外
- · 전남도 '찾아가는 영화관' 신청 접수···5개 시·군 선정
- · "60+, 여행 떠나세요"···관광협회중앙회, '꿈꾸는 여행자' 교육
- · CICI, '문화소통포럼 CCF 2023' 13일 개최···주한대사들 참석
댓글0
0/300
많이본 뉴스
- 1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2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3이번 주말, 수국 보러갈래? 전남 수국 명소 TOP4..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평당 3천만원" 상무 센트럴자이, 광주서 통했다..
- 6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7"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8"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9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10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댓글많은 광주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