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뉴시스] 박종대 기자 = ‘소설가 구보 씨의 하루’의 연작 소설로 널리 알려진 주인석 한신대 문예창작학과 교수가 18일 별세했다. 향년 58세.
1963년 경기 파주시에서 출생한 고인은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한국종합예술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 집필한 희곡 ‘불감증’을 1989년 극단 아리랑이 공연했다. 1988년 황지우의 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를 개작한 희곡을 극단 연우무대가 공연했다.
1990년 ‘문학과 사회’ 여름호에 중편 소설 ‘그날 그는’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대표작은 ‘옛날이야기를 좋아하면 가난하게 산단다’(1991), ‘사잇길로 접어든 역사’(1992), ‘그때 시라노는 달나라로 떠나가고’(1992), ‘한국문학의 현 단계, 1992년 겨울’(1993), ‘지옥의 복수가 내 마음을 불타게 한다’(1995) 등 ‘소설가 구보 씨의 하루’ 연작 소설이다.
희곡집 ‘통일밥’(1990), ‘영원한 친구, 혹은 슬픈 인연’(2005), ‘소설가 구보 씨의 영화 구경’(1997), ‘소설가 구보 씨의 영화 구경2’(2003) 등을 책으로 내기도 했다.
빈소는 안양장례식장 지하 1층 6호이다. 발인은 오는 20일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j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지하철역에서 인권 테마역사를 배우다 지하철역에서 인권 테마역사를 배우다광주광역시는 예술과 문화의 도시이자, 인권의 도시입니다.바로 대한민국 대통령이자 우리나라 최초이자 현재까지유일한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신 김대중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곳이기도 합니다.인권의 도시 광주에는 김대중 대통령을 기념하고 인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지하철역이 있습니다.개인적으로 가장 존경하는 정치인 김대중 대통령을 만나러 광주광역시 배낭여행을 떠났습니다. 기름값도 비싼 요즘, 자동차는 잠시 집에 두고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여행을 즐겼습니다. 광주광역시 도착 후 저렴하고 빠르게 이동을 할 수 있는 지하철을 이용해서 즐긴 광주광역시 서구 배낭여행!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김대중 컨벤션센터'역 입니다. 바로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신 김대중 대통령의 인권 운동에 관한 이야기를확인할 수 있는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인류가 살아가면서 그 구성원인 사람의 인권은 존중받아야 할 가장 기본 중에서 기본입니다. 현재 우리는 자유로운 세월과 어느 정도 인권을 보장받고 있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고생각이 됩니다. 그러나 아직도 기본적인 인권을 존중받지 못하고 인권이 유린되고 있는 곳들이 많이 있습니다.장애인에 대한 인권 문제, 열정페이 등등현재도 이 정도인데 과거는 정말 끔찍했습니다.인권이 보장받지 못했던 1980년대 그 시절 대한민국의 인권을 위해평생을 바치신 분이 바로 김대중 대통령입니다. 기억합니다.제15대 대통령이 되신 후 우리나라의 인권이 눈부시게 개선되고 좋아졌다는 점!장애인에 대한 인권, 그리고 여성에 대한 인권이 많이 좋아진 때가 바로 그때입니다.비롯 현재도 인권에 대한 많은 부분이 개선되고 발전을 해야 할 시점입니다.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김대중 컨벤션센터 역에서 인권에 대한 전시물을 감상하면서다시 한번 인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여러분께서도 광주광역시 여행을 오신다면꼭 한번 방문해 보시길 바랍니다.
- · 목젖을 탁! 치는 칼칼한 짬뽕집 3곳
- · '국악·가요·무용'···전남문화재단, 청바지 공연 출발
-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OST 맛집···김종완→수지 참여
- · 박찬욱 '헤어질 결심' 프랑스·태국·미국·영국 등 개봉일 확정
- 1남보다 싸게 주유한다···광주 油테크 비법은?..
- 2실종 초등생 체험학습 급히 신청···집엔 카드빚 독촉장만..
- 3광주 복합쇼핑몰 유치, 본궤도 진입만 남았다..
- 4물가 치솟는데 이자 '눈덩이'...영끌족 버틸수 있나 ..
- 5이수정 "완도 실종 가족, 자녀 살해 후 극단적 선택 가능성 커..
- 6대출금리 낮춘다지만...자취 감춘 3%대 주담대..
- 7상반기 경기 청약경쟁률 한 자릿수로 '뚝'···1순위 미달 '속..
- 8문흥동 등 북구 아파트서 소방장비 '관창' 잇따라 도난..
- 9빚 많고 부실한 '위험 공기업' 솎아낸다···정부 "조만간 발표..
- 10전기료 ㎾h당 5원 인상···4인가구 월평균 1535원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