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AI-바이오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 구축' 제시

입력 2025.05.21. 10:37 김종찬 기자
첨단재생의료·AI 기술 접목…총 1조4천억 투입
지역경제 활성화·국가 의료 경쟁력 등 동시 제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는 국가적 프로젝트”
전남대병원 전경. 무등일보DB

전남대학교병원이 광주 동구와 전남 화순지역을 '메디컬 실리콘밸리'로 탈바꿈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21일 전남대병원에 따르면 병원은 동구와 화순 일원에 'AI-바이오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를 구축,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전남대병원은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등과 함께 전국 최적의 지리적 입지를 갖춘 광주 동구·전남 화순지역을 중심으로 첨단 의료 인프라와 연구개발, 교육, 산학연 협력 등을 통합한 '광주·전남 AI-바이오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의료시설 확충이 아니라 첨단재생의료와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 치료기술 개발 및 상용화와 입자치료, 정밀진단 기술 중심의 암 치료 패러다임 혁신이 목표다.

특히 광주·전남 지역의 기존 AI인프라와 첨단재생·바이오산업을 융합해 국가 의료경쟁력을 높이고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선도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전남대병원은 지난 4월 1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된 데 이어 이번 대규모 클러스터 구축을 제시하며 명실상부한 메디컬 혁신의 중심지로 나아간다는 계획이다.

'AI-바이오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는 AI 기반 의료기기 혁신 창업 클러스터 구축, 첨단재생의료 산업화 혁신 허브 구축, 아시아 암 허브 클러스터 구축 등 3가지로 구성된다.

정신 전남대병원장. 무등일보DB

'AI 기반 의료기기 혁신 창업 클러스터 구축'은 2천억원을 투입해 개방형 혁신 Lab과 닥터 메이커스 개발센터, 사용적합성·유효성평가센터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AI 기반 설계 및 분석부터 임상실증까지 원스톱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의료현장의 아이디어를 발굴해 시제품 제작, 비임상시험, 임상시험, 제품화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 시스템이 특징이다.

또 '첨단재생의료 산업화 혁신 허브 구축'은 광주 동구와 전남 화순 일원에 2천억원을 투입해 첨단재생의료 실증 센터와 공동 GMP 시설을 만든다. 이곳에선 세포치료, 엑소좀치료, 조직공학·융복합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기술실증과 심의지원, 교육, 병원연계 임상실증을 지원하며 관련 기업 유치에도 나선다.

'아시아 암 허브 클러스터 구축'의 경우 화순 일원에 1조원을 투입해 입자 치료와 Bio-AI 기반의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를 조성한다. 양성자 치료기 도입과 알파입자 생산 인프라 구축, 테라노틱스 복합센터 설립 등 첨단 암 치료 인프라를 구축하고, 암 환자를 위한 장기체류형 주거·회복 공간 등 정주형 헬스케어 타운도 함께 조성한다.

정신 병원장은 "광주·전남 지역은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라는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번 메디컬 클러스터는 단순한 의료 인프라 구축을 넘어 지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는 국가적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

이어 "메디컬 클러스터를 통해 고급 일자리 창출과 인재 유입, 바이오헬스 스타트업 육성 등이 이뤄지면 지역 인구 유출을 막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이를 위해 국가 주도의 AI-바이오 융합 메디컬 클러스터 구축 추진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