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故) 김영철 열사의 자녀 김연우씨가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고 오월 영령들의 정신을 기렸다.
28일 한국무용가 김연우씨와 공연 제작진 등 11명은 이날 오후 5시께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를 방문해 오월영령을 참배했다.
1948년 순천에서 3남 중 둘째로 태어난 김영철 열사는 1978년 들불야학이 창립되면서 강학들과 친해지기 시작했고 형제처럼 가깝게 지냈다. 야학 수업이 끝나면 윤상원·박효선·박관현·박용준·임낙평 등 열사들은 10평 남짓한 김영철 열사의 집으로 찾아와 사랑방처럼 막걸리 잔치를 벌이기도 했다. 이후 1980년 5월 신군부의 계엄군과 맞서 옛 전남도청에서 끝까지 저항하다 붙잡힌 뒤 갖은 고문을 겪으며 사망했다.
추모탑 분향을 마친 김씨는 직원들과 함께 이동해 고 김영철 열사의 묘역을 참배하며 "아버지께서 걸어오신 들불야학과 항전의 걸음에 감사한다"며 "아버지가 생전에 콜라를 아주 좋아하셨다. 오늘은 술 대신 콜라를 드리겠다"고 말하며 헌화했다.

이후 김씨와 직원들은 김 열사와 함께했던 박효선 열사, 박용준 열사, 박관현 열사, 그리고 영혼결혼식을 맺은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와 박기순 열사, 신영일 열사의 묘역을 차례로 돌며 과거를 되돌아보고 헌화, 그리고 묵념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헌화와 묵념을 한 묘역은 김씨에게 큰 의미를 가진다.
아버지를 비롯한 오월 열사들이 김씨의 오월 공연 '별.빛 맞춤' 속 주인공들이기 때문이다.

김연우 씨는 "어느덧 5·18민주화운동의 핏빛 역사가 45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또, 다시 한 번 악몽을 안겼던 12·3 비상계엄도 어느덧 4개월을 바라보고 있다"며 "고난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를 바라보며 참담함을 느끼기도 했고, 과거의 상흔이 겹쳐 보이면서 역사는 과거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
김씨는 "이번 공연을 통해 아버지를 비롯한 오월 영령들이 우리 마음 속에 살아 있음을, 떠난 이들과 살아가는 이들이 공존하면서 미완의 완성을 향해 나아감을 담고 싶었다"며 "저항의 몸짓과 춤을 통한 연대로 오월정신의 훼손을 막고 회복시키는 것이 무용가이자 예술가로서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씨가 오는 4월10일 선보이는 '춤과 춤꾼의 에피소드극-별.빛 맞춤'은 기존 공연에서 장르를 넓혀 김 열사와 딸 연우 씨의 이야기를 에피소드로 담아 이야기를 풀어가는 공연이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이남오 함평군의회 의장, 탤런트 이지훈과 아나운서 황인성 등 만나 문화콘텐츠 논의 이남오 함평군의회 의장은 지난 7일, 함평군의회를 방문한 탤런트 이지훈, 황인성 아나운서, 한국엔터테인먼트협회 이일섭 부회장과 함께 함평군의 문화콘텐츠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이번 만남에서는 함평군의 다양한 문화자원과 지역 특색을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문화예술과 엔터테인먼트 산업 간 협력을 통해 지역 문화 역량을 강화하고, 대중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함평군이 전국적으로 경쟁력 있는 문화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정책 지원과 협력 방안에 대한 기대감도 공유했다.이남오 의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해 함평군의 문화콘텐츠가 한층 더 발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함평=정창현기자 jch3857@mdilbo.com
- · 최고 36.3도···광주·전남 역대 가장 더운 7월
- · "땀샘 없는 오리, 더위에 취약···폭염 빨라지면서 죽을 맛"
- · '수수료' 아끼려다 사기 당하기도···부동산 '당근' "주의해야"
- · "중앙과 지방 정부 나눌 대화는 '무엇 줄까' 아닌 함께 해내는 것"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