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오랜 기다림에도
지친 기색 없이 응원 열기

2025 신한 SOL BANK KBO리그 프로야구 KIA타이거즈와 NC다이노스의 개막전이 열린 22일 광주 북구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는 경기 시작 3시간 전부터 인파로 붐볐다.
KIA 타이거즈와 NC 다이노스의 맞대결을 보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팬들은 이른 아침부터 경기장 주변을 가득 메웠다.
특히 현장 매표소 앞에는 온라인 예매에 실패한 팬들이 대거 몰리면서 긴 줄이 형성됐다. 티켓을 구할 수 있을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팬들은 피곤한 기색 없이 담소를 나누며 설렘을 감추지 못했다.
군포에서 새벽 기차를 타고 광주에 도착했다는 강여진(18)양은 "온라인 티켓팅이 불과 5분 만에 끝났다. 아쉽게도 표를 구하지 못했지만, 개막전을 직접 보고 싶은 마음이 커서 현장 구매를 시도하기로 했다"며 "표를 손에 넣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는 없지만, 경기장 앞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흥분된다"고 들뜬 목소리로 말했다.
기다림이 길어지면서 팬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시간을 보냈다. 일부는 돗자리를 펴고 준비해 온 음식을 나눠 먹으며 허기를 달랬고, 어떤 팬들은 삼삼오오 모여 응원팀과 올 시즌 전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분위기를 띄웠다.
군산에서 온 40대 정은화 씨는 "오전 7시30분께 도착했는데 이미 10여 명이 앞서 대기하고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줄이 빠르게 늘어나더라"며 "아침도, 점심도 거른 채 기다리고 있지만 가족들과 경기 이야기를 하다 보니 지루할 틈이 없다. 만약 표를 구할 수 있다면 그동안의 피로가 한순간에 사라질 것 같다"고 웃어 보였다.
굿즈 구매 열기도 뜨거웠다. KIA 타이거즈 공식 굿즈 매장인 팀스토어에는 새 시즌을 맞아 유니폼과 모자, 응원도구 등을 구매하려는 팬들이 몰려들었다.
인천에서 원정을 온 이슬(25)씨는 "작년부터 기아를 응원하기 시작했다. 개막전에 맞춰 유니폼을 장만하려고 일부러 오늘을 기다렸다"며 "30분 넘게 줄을 선 끝에 유니폼을 손에 넣었다. 이제 김도영 선수의 이름을 마킹하려고 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수원에서 온 김영백(50)씨는 "고향이 전라도라 오랫동안 기아를 응원해왔다"며 "아내가 '호걸이 가방'을 꼭 사고 싶다고 해서 팀스토어를 찾았는데, 줄이 생각보다 길다. 경기 시작 전에 입장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조선대 MT 중 성희롱·성추행 의혹 조선대 학생회가 올린 입장문 캡쳐. 조선대학교 단과대학 학생들이 MT(단합대회) 도중 성희롱과 성추행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학 측은 진상조사에 착수했다.17일 조선대 등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3일간 진행된 해당 학과의 MT에서 일부 고학년 학생들이 신입생을 상대로 부적절한 음주 행위를 강요한 정황이 드러났다.참석 학생들 사이에서 이른바 '러브샷'이라 불리는 행위가 신체 접촉을 동반하며 이뤄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음주 과정에서 성적 언동과 신체 접촉 등이 있었다는 증언도 함께 나왔다.이 같은 사실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되며 공론화됐다.논란이 확산되자 해당 학과 학생회는 공식 사과문을 게시하고, "사전에 성희롱 방지 및 안전 교육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깊은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과 예방 조치를 약속했다.조선대 측도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교내 인권센터를 통해 본격적인 진상 파악에 나섰다.대학 관계자는 "현재 피해 학생의 직접적인 신고는 없지만, 학교가 해당 내용을 인지한 만큼 사실관계를 면밀히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조선대 인권센터는 관련 학생들의 면담을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결정할 방침이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기억의 움직임들 분주
- · "딸아, 보고싶다" 11번째 봄, 다시 바다로 간 세월호 유족들
- · 세월호 11년, 다시 꺼낸 안전···참사 없는 세상을
- · "언제든지 따뜻한 한 끼 준비됐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