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료 앞둔 차량도 94대...사고 위험↑
市 “제때 교체할 수 있도록 최선 다해”

광주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중 20%를 웃도는 차량이 운행 연한을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노후화된 차량을 계속 운행할 경우 안전사고 위험이 큰 만큼 시민들의 안전한 이동권을 위한 광주시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21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기준 광주지역 운수업체 업체 10곳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1천44대 중 법적 기본 운행 연한을 초과한 버스는 총 256대(24.5%)에 달했다.
현행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에 명시된 시내버스의 기본 운행 연한은 최초 등록일로부터 9년이다.
운행 연한 연장이 필요한 경우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정기검사와 종합검사를 거쳐 최대 2년까지 추가로 연장할 수 있다. 다만 6개월마다 임시검사를 받아 안전성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한다. 연장 포함 총 11년을 초과한 날로부터는 운행이 불가능하다.
올해 광주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중 9년차에 해당하는 2016년식 시내버스는 82대, 10년차인 2015년식 169대, 11년차인 2014년식 5대다. 기본 운행 연한 종료를 앞둔 8년차인 2017년식도 94대나 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운수업체 종사자들은 운행 연한을 넘긴 차량을 하루빨리 새로운 차량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광주시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승객을 실어나르는 만큼 사고라도 발생하면 심각한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실제 지난 14일 '좌석02번' 버스에서 '에어 서스펜션'이 폭발해 승객 20대 남성 A씨가 찰과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버스는 2015년식으로 기본 운행 연한을 넘긴 교체 대상이었다.
이와 관련 6년차 시내버스 기사 안모(31)씨는 "새로운 차량으로 교체가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다. 폐차 시까지 운행 연한을 연장하는 관행이 계속되는 근본적인 이유다"며 "운행 연한을 최대 2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지만 운행 연한을 넘긴 차량을 몰면 불안한 마음이 들곤 한다"고 토로했다.
광주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도 "차량 교체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자체 정비가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는 등 차량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중형버스(길이 9m)의 경우 신차가 천연가스(CNG) 버스 대신 전기버스로만 생산되는 만큼 충전시설 조성도 필요하다. 버스 기사들이 안심하고 운행할 수 있도록 시에서 적절한 시기에 차량 교체가 이뤄지게 적극적으로 도와줬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광주시는 예산 확보를 비롯해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했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 개정됨에 따라 지난 2023년 1월부터 새로운 차량을 도입할 때 의무적으로 저상버스를 도입해야 하다 보니 보조금 투입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차량 교체가 밀려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추경을 통해 최대한 교체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운수업체가 적절한 시기에 차량을 교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해명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조선대 MT 중 성희롱·성추행 의혹 조선대 학생회가 올린 입장문 캡쳐. 조선대학교 단과대학 학생들이 MT(단합대회) 도중 성희롱과 성추행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학 측은 진상조사에 착수했다.17일 조선대 등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3일간 진행된 해당 학과의 MT에서 일부 고학년 학생들이 신입생을 상대로 부적절한 음주 행위를 강요한 정황이 드러났다.참석 학생들 사이에서 이른바 '러브샷'이라 불리는 행위가 신체 접촉을 동반하며 이뤄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음주 과정에서 성적 언동과 신체 접촉 등이 있었다는 증언도 함께 나왔다.이 같은 사실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되며 공론화됐다.논란이 확산되자 해당 학과 학생회는 공식 사과문을 게시하고, "사전에 성희롱 방지 및 안전 교육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깊은 책임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교육과 예방 조치를 약속했다.조선대 측도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교내 인권센터를 통해 본격적인 진상 파악에 나섰다.대학 관계자는 "현재 피해 학생의 직접적인 신고는 없지만, 학교가 해당 내용을 인지한 만큼 사실관계를 면밀히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조선대 인권센터는 관련 학생들의 면담을 진행 중이며, 조사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결정할 방침이다.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기억의 움직임들 분주
- · "딸아, 보고싶다" 11번째 봄, 다시 바다로 간 세월호 유족들
- · 세월호 11년, 다시 꺼낸 안전···참사 없는 세상을
- · "언제든지 따뜻한 한 끼 준비됐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