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전 국무총리 "AI에 국가 생존 달려"

입력 2025.03.20. 13:48 이관우 기자
김 전 총리, 14기 무등CEO아카데미 '1호 강사'
IT강국 초석 닦은 DJ 언급하며 정부 역할론 주문
무등CEO아카데미가 19일 광주 서구 홀리데이인 광주호텔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AI시대 미래 노동과 국가의 역할' 주제강연을 펼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AI에 국가 생존이 달려있습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19일 올해 첫 강좌가 시작된 제14기 무등CEO아카데미에 '1호 강사'로 나서 "한국은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총리는 이날 'AI시대, 미래 노동과 국가의 열할'이란 주제로 약 1시간 동안 열변을 토했다.

김 전 총리는 강의 시작에 앞서 2001년 개봉한 영화 'A.I'에 나온 대사를 인용하며 이목을 끌었다. 영화에서 AI로봇 역을 맡았던 주드로의 대사로, "인간의 단점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희망을 갖는 거야. 인간들은 그걸 꿈이라 하지"라는 대목이었다.

김 전 총리는"25년 전 이 영화에서 사람들은 AI로봇의 봉사를 받으며 살아간다. 영화를 찍던 당시에는 그저 상상 속의 '꿈'이었다"며 "그런데 지금 그 꿈이 현실이 되고 있다. 과거 '존재하지 않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 되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전 총리는 "반면 많은 사람들의 또다른 꿈인 '평생 직장'은 사라지고 있다. AI로 인해 사라질 일자리가 2027년까지 8천300만개에 달한다고 한다"며 "'존재했던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되고 있는 것이다"고 했다.

김 전 총리는 청중들에게 한 가지 질문을 던졌다. "그러면 우리는 노동으로부터 자유를 위해 AI발전에 힘써야 할까요. 아니면 평생직장 유지를 위해 AI도입을 포기해야 할까요."

잠시 숙고의 시간이 흐른 뒤 김 전 총리는 다시 입을 열었다.

김 전 총리는 "AI시대는 우리가 더 앞으로 나갈 수 있는 도전과 기회의 시기다"며 "우리가 AI시대는 지금 다소 뒤처져 있지만 희망은 있다. 이미 잘 갖춰진 디지털과 IT기반을 활용하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패권을 잡을 수 있다"고 희망을 제시했다.

이어 "혁신을 실천해야 할 때는 과감하고 신속해야 한다"며 "김대중 대통령은 '산업화 시대는 뒤처졌지만, 정보화 시대에는 앞서갈 수 있다'고 했다. 투자할 재원이 부족한데도 IT기술에 선제적으로 투자한 덕분에 정보화에 앞서갈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특화된 분야를 공략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며 "대한민국만의 독특한 정보를 활용하는 AI가 경쟁력을 갖출 것이다"고 했다.

김 전 총리는 의료와 접목한 AI를 예시로 들며 "대장암은 수술성공률도 높고 임상정보도 많다. 관련 데이터 활용으로 대장암을 진단, 치료할 수 있는 AI를 개발한다면 수많은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며 "이런 노하우를 다각도로 활용하면 금융·법률·순찰 등 각종 분야에까지 AI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과 개인, 모두가 협력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