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조선대 의대생 집단 휴학 불허···"학칙대로 적용"

입력 2025.03.19. 19:01 한경국 기자
군입대 등 특별사유 아니면 휴학계 반려
이달 중 복귀 안하면 유급·제적
40개대 의총협도 강경…학생 반응 촉각
19일 오전 조선대 의과대학 3호관 강의실 내부 모습. 한경국기자

"휴학계를 반려한다해도 의대생들이 돌아올까요? 글쎄요."

전북대학교에 이어 조선대학교와 전남대학교도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모두 반려하기로 결정했다. 마감 기한이 경과하면 대학은 학칙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의대생들이 얼마나 캠퍼스에 돌아올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19일 오전에 찾은 조선대 의과대학 3호관 강의실. 개강한지 2주가 지났지만 의과대학은 적막감이 감돌았다.

한창 수업 중일 시간임에도 대부분 실습실 문이 잠겨있었고, 이론 수업을 위해 마련된 제1·2·3·4강의실에는 아무도 없었다. 간혹 강의실 의자에 걸려있는 과잠 정도만 인적을 느끼게 해줬다.

이같은 분위기는 지난해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의대생 증원하자 의대생들의 반발을 샀고, 집단 휴학사태로 번진 것이다.

뒤늦게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의대생들은 여전히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전남대 의대생은 총 893명 중 휴학생이 697명, 재학생이 196명이고, 조선대 의대생은 총 878명 중 휴학생이 689명, 재학생이 189명이다.

19일 오전 조선대 의과대학 3호관 강의실 내부 모습. 한경국기자

휴학 신청 자격이 없는 1학년생을 제외하면 복학한 전남대와 조선대 학생은 각각 30여명 정도로 추정된다.

의대생들을 회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설득해오던 각 대학들은 최근들어 강경한 입장으로 돌아섰다.

조선대는 의대학장이 지난 17일 학생들에게 수업 복귀를 촉구하는 서신을 발송하고, 군입대 등 특별휴학으로 인정하는 사유가 아니면 휴학계를 승인할 수 없다는 내용을 전달했다.

지난해 2학기 때 1년 휴학 승인받은 24학번을 제외한 23학번 이상 재학생들의 휴학계를 모두 반려하겠다는 입장이다.

같은 상황에 놓인 전남대는 이번 학기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오는 21일까지 모두 반려하기로 결정했다.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합의에 따른 것이다.

전남대는 24일, 조선대는 28일까지 의대생들이 학교로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이나 제적 등 학칙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계획이다.

19일 오전 조선대 의과대학 3호관 강의실 내부 모습. 한경국기자

그럼에도 의대생들 반응은 미지근하다. 인턴·전공의의 부적절한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 마련 등 의대협 8대 요구안에 대한 언급이 되고 있지 않아서다. 또 일각에서는 증원된 의대생 만큼 감원도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의대생 A씨는 "이대로라면 떠나간 의대생들이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피해를 본 만큼 의대생에게 처우개선을 해줘야 할 것이다"면서 "또 현재 복학생들이 '배신자'라고 삿대질을 받고 있어 복귀는 쉽지 않다. 많은 의대생들이 돌아올만한 대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1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