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확산될까 인근 농장들도 불안
미국산 소 월령 제한 개선도 '근심

“구제역은 그저 남의 일이라고만 생각했는데 뭐라 말로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안 그래도 어려운 데 확산될까봐 걱정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구제역 청정지역이라고 불리던 전남지역에서 사상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해 지역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구제역의 경우 전염성이 강해 추가 확산되면 인근 축산농가들도 대규모 살처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에는 미국 축산업계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의 미국산 소고기 수입 월령 제한을 개선해달라고 요구해 축산농가 농장주들의 근심은 더욱 깊어지는 모양새다.
14일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은 영암군 도포면 수산리의 한 소 농장 주변은 하루종일 긴장감이 감돌았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흰색 방역복을 입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관계자들은 농장 출입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있었다.
농장 입구 곳곳에는 구제역 차단방역조치로 사람·차량의 출입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붙은 펜스도 세워졌다.
농장 진입로 주변으로는 방역소독차가 수시로 오가며 소독약을 연신 뿜어댔다.
농장에서 사육 중인 162마리의 소 전체를 살처분하기 위해 굴착기를 비롯한 중장비도 입구에서 소독을 마친 뒤 농장 안으로 줄지어 들어갔다.
멀리서 살처분 과정을 지켜보던 농장주 김모(71)씨는 고개를 푹 떨군 채 한숨만 내쉬고 있었다.

김씨는 “구제역이라고는 정말 생각도 못했는데 답답하다. 보름 전 나주의 한 도축장으로 소를 보낸 적이 있는데 아마 그때 운송차량에서 바이러스가 옮겨온 것 같다”며 “백신접종도 정기적으로 실시했는데 왜 하필 나에게 이런 일이 생겼는지 원망스럽다. 하루아침에 전 재산을 모두 잃게 돼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하다”고 하소연 했다.
인근 축산농가 농장주들도 불안함을 토로했다.
구제역의 경우 직접 전파는 물론 감염지역 내 사람이나 차량, 심지어는 바람을 통해서도 전파될 정도로 전염성이 강해서다. 실제 육지에서는 60㎞, 바다의 경우 250㎞ 이상 떨어진 곳까지 전파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의 반경 500m 이내에는 소 농장 5곳에서 총 88마리를 키우고 있으며, 반경 500m~3㎞ 이내에는 농장 143곳이 있다. 이곳 143곳에서는 소 7천910마리, 돼지 총 2만965마리, 염소 394마리, 사슴 2마리를 사육하는 중이다.
인근에서 38년가량 소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이모(68)씨는 “구제역이 발생했다는 문자를 받고 매우 황당했다.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비싸게 팔기 위해 정성을 쏟아 소를 키웠는데, 돈이 좀 되려고 하니까 구제역이 발생해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며 “혹시라도 내 소까지 예방 차원에서 모두 살처분 당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고 말했다.

한지용 영암한우협회회장은 “구제역이 확산된다면 타격이 매우 클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가 감염이 발생하지 않게 방역을 최우선으로 신경써줬으면 좋겠다”며 “피해 보상도 통상 전국 평균 시세를 기준으로 정하는데 최근 소 값이 많이 떨어져 걱정이다. 그동안 투자한 만큼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검토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강조했다.
미국 축산업계에서 한국의 미국산 소고기 수입 월령 제한을 30개월 이상으로 올려달라고 미국 정부에 한 요구에 대해서도 정부의 현명한 판단을 호소했다.
한 회장은 “선택은 소비자들의 몫이지만 30개월 이상 소들이 국내 시장에 유통된다면 국내 축산업계에 전혀 타격이 없진 않을 것이다”며 “미국 정부가 요구하더라도 정부가 농민들이 처한 상황을 고려해 현명한 판단을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장애인도 시민이다"···광주 거리에 울린 '차별 철폐' 외침 18일 오후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광주420공동투쟁단은 광주 서구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 권리 보장과 차별 철폐 등을 촉구했다. 강주비 기자 장애인의 날의 맞아 광주 지역 장애인들이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다.장애인의 날을 이틀 앞둔 18일 오전 10시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광주420공동투쟁단은 광주 서구 광주종합버스터미널(유스퀘어) 광장에서 장애인의 기본권 보장과 차별 해소를 촉구하는 '광주420대회'를 개최했다.이날 장애인 이동권 투쟁의 15년 역사가 서린 유스퀘어 광장은 장애인 당사자들과 시민단체 관계자 등 400여명으로 가득 찼다.단체는 최근 광주 지역 장애인들이 고속버스에 휠체어 탑승설비(리프트) 설치를 의무화해달라며 금호고속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일부 승소했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변화는 없다고 지적했다.단체는 "우리는 장애인 리프트가 장착된 고속버스 도입을 위해 7년2개월에 걸쳐 법정 투쟁을 벌였고, 결국 일부 승소 판결을 이끌어냈다"며 "이제 금호고속은 고속버스에 리프트를 설치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이어 "그러나 금호고속은 '재정적 부담'과 '안전성'을 이유로 여전히 실행을 미루고 있다"며 "금호고속이 재정적 부담을 홀로 감당할 필요는 없다. 과거 시내버스가 저상버스로 전환될 때처럼 정부의 지원 제도를 활용하면 충분하다"고 비판했다.또한 "장애인 리프트가 장착된 특수학교 통학 차량이나 장애인복지관 차량은 수년째 안전하게 운행되고 있다"며 "안전성을 이유로 도입을 미루는 건 설득력이 없다"고 덧붙였다.단체는 기자회견이 끝난 뒤 가두행진에 나섰다. 행진은 유스퀘어 광장에서 출발해 무진로와 계수교차로를 지나 광주시청까지 약 3㎞ 코스로 2시간가량 진행됐다.단체는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홀로 그리고 더불어 살게 하라', '장애인의 보편적인 이동권과 접근권을 보장하라', '15가지 장애유형별 정책과 장애여성 정책을 설계하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사회적 관심과 연대를 호소했다.광주시청에 도착한 이들은 두 번째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의 낮은 저상버스 보급률, 통합학교 입학 거부 사례, 부족한 활동지원서비스, 접근이 어려운 문화·체육시설 등 장애인들이 겪고 있는 일상 속 차별과 배제를 지적했다.단체는 "광주는 인권과 정의의 도시를 자처하지만, 장애인은 여전히 '먼저'가 아닌 '나중'으로 밀려 있다"며 "시는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지원사업 공약을 온전히 이행하고, 광주시 전역의 장애인 이동권 실태를 전수조사해 실효성 있는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단체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이동권 보장, 자립생활지원, 장애유형별 권리보장 등 9가지 내용을 담은 정책요구안을 시 관계자에게 전달했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조선대 MT 중 성희롱·성추행 의혹
-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기억의 움직임들 분주
- · "딸아, 보고싶다" 11번째 봄, 다시 바다로 간 세월호 유족들
- · 세월호 11년, 다시 꺼낸 안전···참사 없는 세상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