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고등법원이 외국인 민원인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 강화에 나서 눈길을 끈다.
광주고법은 외국인 민원인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민원 창구에 범용 통·번역 사이트를 활용해 간단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설비를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했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법원은 청사 1층 원스톱 민원실 접수 창구에 있는 직원의 업무용 컴퓨터에 민원인 측에서 함께 볼 수 있는 듀얼 모니터와 음성 입력용 마이크를 설치하고, 직원이 인터넷으로 범용 통·번역 사이트에 접속한 채로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하는 설비를 갖췄다.
직원 측에서는 키보드로 우리말을 입력하면 모니터를 통해 민원인의 모국어로 번역돼 표시된다. 민원인 측에서 하고 싶은 말이 있을 경우에는 반대로 마이크를 통해 모국어로 말하면 음성인식을 거쳐 우리말로 번역돼 직원 컴퓨터로 표시된다. 인터넷상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범용 서비스를 활용하므로 지원 언어도 100여종에 이른다.
해당 설비 설치 전에는 외국인 민원인이 법원에 오더라도 언어의 장벽으로 직원이나 민원인 모두가 곤란을 겪는 일이 간혹 있어 왔다.
재판을 하는 법정에서는 통역인을 지정해 의사소통을 도울 수 있지만, 원스톱 민원실에서 간단한 민원을 처리하는 경우에 통역인을 붙이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고, 원격화상 통역기가 있으나 지원 언어가 제한적이고 연결까지 대기시간이 발생해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광주고법 직원들이 업무용 컴퓨터에 듀얼 모니터와 마이크를 설치, 이를 해결자고 아이디어를 냈다.
광주고법 관계자는 "추가 투자 없이 기존 설비를 활용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외국인 민원인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장애인, 어르신, 외국인 등 법의 보호가 더욱 필요한 이들이 불편함 없이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광주경찰,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 특별경보 발령 보이스피싱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광주경찰청이 특별경보를 발령했다.26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택배기사와 카드사, 금감원 직원을 칭하면서 고액의 현금이나 수표를 발행케 한 뒤 가로채거나 이체케 하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실제 지난달 검사 및 금감원 직원을 칭하는 사람으로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범죄에 연루됐다. 이를 확인하겠다"는 말에 속아 수억원을 수표로 바꿔 불상의 남성에게 건네줬으며, 같은달 말에는 서울지검 검사 및 금감원 직원을 칭하는 남자가 "신분증이 노출돼 불법 사건에 연루됐다. 돈을 직원에게 전달하면 수사종결 후에 돌려주겠다"는 말에 속아 수억원을 계좌이체 한 피해도 발생했다.광주경찰은 형사기동대·경찰서 보이스피싱 전담팀(6개팀·35명)을 전담수사팀으로 지정해 피해 접수 즉시 수사에 착수, 범인을 추적 중에 있다.광주경찰은 보이스피싱의 경우 범죄 특성상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 회복이 어려워 무엇보다 피해 예방이 중요하며, 위의 사례와 비슷한 전화통화를 했으면 즉시 112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경찰은 최근 수표거래가 사회·경제적으로 이례적임에도 금융기관에서 의심없이 수표발급을 해 고액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데에 대해 500만원 이상 수표를 발행하는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112신고를 요청했다.경찰은 최근 고액권 수표를 발행해 줬던 금융기관 2곳에 대해서는 수표발행 경위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하지 않는 방법1. 택배·카드회사에서 카드 발급 관련 전화 오는 경우 대응하지 않고 전화 끊기2. URL주소가 있는 문자가 오면 절대 클릭하지 않기3. 알려주는 카드사 고객센터, 사고예방팀 등의 전화번호로 전화하지 않기4. 알려주는 금융감독원, 검찰청 등으로 전화하지 않기5. 알려주는 계좌번호로 계좌이체 하지 않고, 지정해주는 직원(수사관 등)에게 현금, 수표, 달러 등 전달하지 않기6.위와 같은 전화나 문자가 오는 경우 즉시 112신고하기
- · 광주녹색구매지원센터, 친환경소비자 '2만 9천명' 양성
- · 광주·전남도 '싱크홀' 공포..."내 출퇴근길은 안전한가"
- · 미국산 LMO 감자 수입 초읽기···농민 '반발', 소비자 '불안'
- · '친일 의혹' 뿔난 여론에 올스톱···방치돼 무너져가는 '최부잣집'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