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낡고 유리 깨지고 천장 내려앉아…미관 헤쳐
區 “사유재산이라…사고예방 위해 간판 철거 지원”



광주송정역 인근에 폐 유흥업소가 장기간 유령 건물로 방치되면서 도시 미관을 해치고 청소년 탈선 등 우범지대로 전락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외지인들의 방문 잦은 광주 송정역 바로 맞은편 골목인데다, 유명 프랜차이즈 커피점까지 있어 심각한 지역 이미지 훼손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인근의 송정 시장을 찾는 지역민들도 이 곳을 우회하며 오갈 정도지만, 광산구는 '사유재산이라 건드릴 수 없다'며 방치하고 있어 도시 흉물로 고착된지 오래다.
4일 방문한 광주 광산구 송정로2번길. 일명 '1003번지'라 불리는 이 골목은 바로 맞은 편은 광주송정역이라 오가는 사람이 많아 활기찬 분위기지만, 골목으로 들어서자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만 감돌았다.



이 '1003번지'에 줄지어 영업하던 10여 개의 유흥업소는 30여 년 전부터 문을 닫기 시작했다. 지금은 지나다니기 기피한 탓인지 사람도 별로 없어 더욱 고요한 분위기를 냈다. 잠긴 문 손잡이에 끼워진 수많은 고지서들만 봐도 오랫동안 문을 닫았는지를 가늠케 했다.
1996년 가장 먼저 폐업한 A유흥업소는 간판에 여성 신체가 적나라하게 표현돼 있었고, 유리 틈새로 보이는 내부는 천장이 무너져 내려앉았다. 작은 충격에도 건물 전체가 붕괴될 것처럼 위태로웠다.
바로 옆 B유흥업소도 1996년 폐업한 후 지금까지 방치된 상태다. 내부를 가린 검은 유리마저 깨진 상태로 오랜 시간 방치돼 있었다.
유흥업소 맞은편 기존 업주와 접객원들이 숙소로 사용하던 빈 창고는 입구가 열려 있어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드나들 수 있을 것 같았다. 이 곳 내부에는 누군가 몰래 버린 가구와 전자제품 더미가 1m 높이까지 쌓여 있었고, 여러 쓰레기도 즐비했다.
이 골목의 오래된 간판도 문제점 중 하나다.
옆 업소 간판과 맞닿게 설치한 네온사인은 철거되지 않은 채 긴 세월동안 방치된 채 매달려 있었다. 언제든지 떨어질 듯 대롱대롱 매달려 있어 보행자를 덮칠 것 처럼 위태로워 보였다.
이곳은 1970년대부터 유흥업소가 늘어나기 시작햇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폐업 신고가 이어졌고, 지난 2005년 11월 유흥업소 숙소 화재로 인해 완전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송정역 바로 맞은편에 있고,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송정역시장과도 맞붙어 있는 상황이라 관광객의 통행이 잦지만, 여러 가게가 한 주소에 영업·폐업 신고를 하거나, 폐업신고도 하지 않은 채 자취를 감춘 곳도 있어 문 닫은 업소들의 관리조차도 어려운 실정이다.
인근 주민 염모(59)씨는 "안에 쓰레기가 가득 찬 채로 이렇게 방치돼 있어 심한 냄새가 풍긴다"며 "바로 옆이 송정역시장인데, 관광객들이 여기 꼴을 보면 어떻게 생각하겠냐"고 말했다.
광산구 관계자는 "해당 유흥업소 거리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어, 우선 가장 큰 문제인 노후 간판 철거를 지원하고 있다"며 "3월까지 신청을 받고 있는데, 현재까지 일부 업주들이 신청을 넣어 조만간 간판 철거에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업장 내부와 인근 방치된 창고 등도 정비할 수 있으면 좋겠으나 사유재산을 함부로 건드릴 수 없어 강제조치는 힘들고, 경찰과 협력해 순찰을 강화하고 환경개선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보람으로 못 버텨" 광주 특수교육실무사들 처우 개선 촉구 4월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광주 지역 특수교육실무사들이 열악한 처우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전국교육공무직본부 광주지부 특수교육실무사분과는 18일 성명을 내고 "특수교육실무사는 '보조'라는 낙인과 차별을 겪고 있다"며 "방학이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조차 사라지고, 산재로부터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다. 수당은 지역마다 들쑥날쑥 제각각"이라고 지적했다.단체는 특수교육대상자가 매년 증가하고 통합교육이 확대되는 현실을 반영해 국가 차원의 책임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교육부의 '2024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특수교육대상자는 11만5천610명에 달한다. 이 중 73.7%인 8만5천220명이 일반학교에 통합돼 있다. 특수학급 수도 1만9천582개로 증가하는 등 통합교육이 강화되고 있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할 실무 인력은 한시적 채용에 그치고 지역별 수당 격차나 방학 중 비근무 등 구조적인 차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특수교육실무사들은 화장실, 운동장, 급식실 등 학교 전역에서 장애학생을 전방위로 지원하지만, 법적으로는 '교사 지시에 따른 보조 역할'로만 규정돼 실질적 역할과 제도 사이의 괴리가 크다는 비판도 나온다.단체는 "특수교육은 제도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사람으로 완성된다"며 "정책은 쏟아지지만, 그 정책을 실현할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특수교육지원 인력을 별도로 배치하겠다고 밝혔지만, 예산은 배정되지 않았고 교육청은 손을 놓고 있다"고 꼬집었다.13년차 김태경 특수교육지도사는 "동료 한 명은 얼린 물통에 맞아 뇌진탕 치료를 받았고, 또 다른 동료는 큰 남학생을 지원하다가 깨물려 허벅지 살을 떼어 피부 이식 수술을 받았다"며 "최소한 정부 당국이라도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어 "보람으로만 버티라 하지 마라"면서 "약한 아이들 곁일수록 더 안전하고 더 풍성해야 하며, 연대와 연결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국가의 교육복지 책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단체는 특수교육 재정 및 인력 확충,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개정, 방학 중 무급·수당 격차 해소, 산재법 전면 적용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채수준 목포해경서장, 관내 파출소 치안현장 점검
- · "장애인도 시민이다"···광주 거리에 울린 '차별 철폐' 외침
- · 조선대 MT 중 성희롱·성추행 의혹
-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기억의 움직임들 분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