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정 앞 떠나지 못하고 흐느껴
희생자 이름 부르며 오열·통곡
박한신 대표 "참사 반복 안돼"
정부 "재발 방지 최선 다할 것"
종교별 추모·씻김굿으로 애도

"더 이상 고통과 아픔 없이 평온한 곳으로 가길…"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를 기리는 49재 합동위령제가 15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열렸다. 유가족을 비롯해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김영록 전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시민 700여 명이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했다.
위령제에 앞서 공항 내 합동분향소에는 헌화와 분향을 하기 위한 유가족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위패를 발견한 유족들은 "저기 있다"며 반가운 듯한 표정을 지었지만, 곧 눈시울을 붉히며 깊은 슬픔에 잠겼다. 영정이 놓인 단상 앞에 국화를 올려놓은 이들은 희생자의 이름을 부르며 흐느끼거나, 고개를 숙인 채 한동안 자리를 떠나지 못했다.

오전 10시께께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과 함께 위령제가 시작됐다. 한 유족은 끝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한 채 멍한 눈으로 바닥을 응시했다. 곳곳에서 흐느낌이 새어나왔고, 소방공무원과 봉사자들도 함께 묵념하며 유족들에게 휴지를 건네는 등 애도를 표했다.
이어 유족과 정부, 지자체 대표들의 헌화·분향이 진행됐으며, 조문객과 유가족의 추모 메시지를 담은 영상이 스크린을 통해 상영됐다. 희생자 179명의 이름이 화면에 떠오르자 장내는 유족들의 오열로 가득 찼다. "보고 싶다", "어떻게 살아가야 하냐"는 절규가 곳곳에서 터져 나왔고, 손수건으로 눈물을 훔치던 이들도 결국 고개를 떨구며 참담한 심정을 감추지 못했다. 한 유족은 휴대전화 속 희생자의 사진을 쓰다듬으며 "너무 미안하다"고 조용히 읊조리기도 했다.

유족들은 희생자들의 고통 없는 영면을 기원하며, 이러한 참사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한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대표는 추모사를 통해 "49일이 지났지만 우리의 마음에 슬픔과 분노는 선명하다"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다. 우리 사회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깊은 상처이며 다시는 반복되선 안 될 일"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사랑하는 이들이 왜 어떻게 떠나야 했는지 우리는 반드시 그 진실을 밝혀야 한다. 사고의 원인은 철저히 규명돼야 하며 책임질 사람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한민국 항공안전을 비롯한 안전 체계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간절히 호소했다.
정부와 지자체 관계자들도 유가족 지원과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철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며 안전을 강화하겠다"며 "남은 가족들이 겪고 계신 말로 다하지 못할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 드릴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 하겠다. 부디 희생자 여러분 극락왕생하시길 바란다"고 애도를 표했다.
권영진 국회 12·29 참사 특별위원장은 "참사 이후 국회는 사고 진상 규명 및 재발 방지책 마련과 유가족 지원을 위해 노력해 왔다. 그리고 추모 사업을 지원하기에 국회 차원의 12·29 특별 위원회도 설치됐다"며 "참사 원인을 낱낱이 밝혀 유가족과 국민께 소상히 알리고 비극적 참사가 없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 피해자와 유가족을 지원하는 특별법 제정에도 힘쏟겠다"고 약속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특별법 제정을 통한 피해자 배상, 의료 지원, 자녀 교육비 및 생계비 지원, 철저한 진상 규명까지 끝까지 최선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사고 원인을 밝히고 남은 가족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 모든 이들이 안심하고 살아가는 '안심 사회'를 만드는 것이 우리들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위령제는 기독교, 불교, 천주교 등 종교별 추모식과 함께 희생자들의 한을 달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씻김굿으로 마무리됐다.
한편, 지난해 12월29일 오전 9시3분께 무안공항에서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 2216편 여객기가 활주로를 이탈한 뒤 추락해 로컬라이저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181명 중 179명이 목숨을 잃었다.
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광주시민사회·5월 단체 "내란 우두머리 尹 즉각 파면이 국정 혼란 수습 지름길" ㈔오월어머니집과 ㈔5·18민중항쟁기동타격대동지회는 20일 오후 3시께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탄핵 심판 선고를 촉구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기약 없이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5월 단체가 즉각 파면만이 국정 혼란 수습의 지름길이라고 입을 모았다.㈔오월어머니집과 ㈔5·18민중항쟁기동타격대동지회는 20일 오후 3시께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온 국민이 헌재 결정만 기다리며 하루하루 지옥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단체는 "12·3 비상계엄으로 민주주의는 군홧발에 또다시 짓밟혔다. 5·18 영령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며 "30년 후퇴한 경제도 회복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릴지 알 수 없다"고 호소했다.이어 "스웨덴 민주주의다양성연구소가 대한민국을 2년 연속 독재화 진행 국가로 평가했다고 한다. 전두환에게 책임을 제대로 묻지 못했기에 군사독재의 망령이 되살아 난 것"이라며 "탄핵 선고가 늦어지고 있는 이 시간에도 내란은 계속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위기 속에 기회가 있다고 한다. 이번 내란사태가 슬기롭고 평화롭게 해결되리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파면과 처벌은 민주주의와 경제 회복의 시작일뿐이다. 헌재는 하루빨리 윤석열의 파면을 선고하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윤석열정권 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과 강기정 광주시장, 광주 5개 구청장 등은 20일 오후 2시께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시민마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탄핵 심판 선고를 촉구했다. 광주비상행동 제공앞서 같은날 오후 2시께 윤석열정권 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 시민마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헌재의 조속한 선고를 촉구했다.이날 기자간담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 광주 5개 구청장 등도 함께했다.이들은 "국민의 인내가 임계점을 넘어서고 있다. 불법 계엄이 야기한 고통을 온몸으로 받아내고 있는 국민들은 헌재의 안갯속 행보 때문에 허탈감과 분노의 감정에 휩싸여 있다"며 "국민들은 위헌적 내란 사태를 수습할 헌재의 파면 결정이 하루라도 빨리 내려져 일상을 회복하고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갈 계기가 마련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헌재는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파면을 선고하길 바란다"고 호소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의대생 휴학계 반려에도 광주지역 복귀자 없어
- · 광주시, 야구 특화관광 '야구광 트립' 출시
- · 김부겸 전 국무총리 "AI에 국가 생존 달려"
- · 尹 탄핵 선고 기다리다 늦은 인사...광주경찰 '어수선'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