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직영' 전환 광주 동물보호소 "전문성 저하" vs "법적 지침"

입력 2025.02.07. 15:46 박승환 기자
기존 근무자들 입양 상담 업무 배제
쉽게 입양 보내지는 것 아닌지 우려
광주시, 명확한 법적 지침 따르는 중
지난 5일 포털 사이트 네이버 광주광역시캣맘협의회 카페에는 '보호소 아이들 너무 불쌍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카페 캡처
과업지시서에 명시된 사양관리인력의 업무. 용역업체 제공.

올해부터 직영 체제로 전환된 광주 동물보호소의 입양 상담과 관련해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호하던 동물들의 성향을 잘 알던 기존 근무자들이 입양 상담 업무에서 배제되면서 적절한 입양자 찾기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7일 무등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5일 포털 사이트 네이버 광주광역시캣맘협의회 카페에는 '보호소 아이들 너무 불쌍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됐다.

오랜만에 봉사도 할 겸 동물보호소에 다녀왔다는 작성자는 글에서 "기존에 입양 상담 업무를 하던 직원들은 이제는 용역직원이라 입양 업무에서 배제됐다. 지금은 광주시에서 직접 상담을 한다고 한다"며 "입양 관련해서 솔직히 걱정이 앞선다"고 토로했다.

앞서 지난 1월부터 광주시는 동물보호소 운영방식을 기존 민간위탁에서 직영으로 전환하면서 용역업체를 통해 사양관리인력 9명을 신규 채용했다. 당시 채용에 응한 9명 중 8명이 기존에 일하던 근무자였다. 지난달 말 1명이 추가로 그만둬 현재 남은 기존 근무자는 7명이다.

작성자는 이어 "한 생명의 평생 미래가 좌지우지되므로 정말 까다롭게 심사숙고해서 입양을 보내야 한다"며 "파양이나 유기, 학대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실제 작성자의 말처럼 지난해 4월 경기 파주에서 20대 남성이 입양한 강아지와 고양이 11마리를 죽이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입양자를 제대로 심사하고 아이들의 성향에 맞는 입양처로 보내질지 의문이다. 그냥 입양 신청만 하면 쉽게 보내지는 건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다"며 "온종일 아이들과 부대끼면서 지낸 누구보다 잘 아는 기존 근무자들이 입양을 보내는 게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작성자의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댓글에서 "직영이 되면 좋은 줄만 알았는데 속상하고 답답하다", "동몰보호소에서 동물이 보호받지 못하는 걸 걱정하는 게 안타깝다", "아무한테나 입양 보내지 않을까 걱정된다", "동물을 진정으로 위하는 곳은 어디에도 없는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광주=뉴시스] 광주동물보호소 유기견. (사진=광주시청 제공)

반면, 광주시는 재량이 아닌 명확한 법적 지침에 따라 입양을 보내고 있다는 입장이다.

직영으로 전환된 만큼 입양설문지도 자체적으로 만든 것 대신 동물보호센터 운영 지침에 첨부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과거부터 입양 상담사가 불친절하고, 결혼이나 동거 여부를 묻거나 사는 곳의 사진을 촬영해서 보내라는 등 과도하게 정보를 요청한다는 민원이 꾸준히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결정적으로 과업지시서에 명시된 사양관리인력의 업무 중 입양 상담 업무는 없다고 강조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기존 근무자들이 입양 상담 업무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신규 채용에 응했다. 과업이행보고서를 열람했다는 확인서까지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입양 상담은 입양희망자의 충분한 입양 여건을 확인한 뒤 보내고 있다. 동물들의 성향도 수의사 등 모든 직원들과 함께 공유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35
후속기사 원해요
5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96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