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으로 범죄자 기념 시설 용납 안돼…관련 법률 제정 필요"
![](http://www.mdilbo.com/lib/thumb.html?type=file&w=700&src=202412/12/20241212181035630800.jpg)
5·18민주화운동 광주 학살의 주범인 전두환씨의 잔재가 전국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
12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전씨가 태어난 경남 합천부터 서울, 경기, 장성 등 전국 곳곳에 전씨를 기념하는 시설이 있다.
우선 합천에는 전씨가 유년기를 보낸 생가가 있다. 12·12군사반란으로 정권을 잡은 전씨는 1983년 자신의 생가를 옛 모습 그대로 복원했다.
생가 앞 안내판에는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12·12가 빚어졌다', '취임 때 한 단임 실천 약속에 따라 40년 헌정사에 임기를 마치고 스스로 물러난 최초의 대통령이다' 등 전씨의 과오를 미화·포장하는 문구가 적혀 있다. 합천군은 해마다 수천만원에 달하는 세금을 들여 전씨 생가의 초가집 지붕과 정원을 관리하는 중이다.
전씨의 아호 '일해(日海)'를 딴 공원도 있다. 2004년 조성됐을 때만 하더라도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으나, 2007년 합천군이 일해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공원에 세워진 표지석에는 '이 공원은 대한민국 제12대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러운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하고자 대통령의 아호를 따서 일해공원으로 명명한다'라는 문구가 전씨의 친필로 새겨져 있다.
아울러 합천군청 청사 외부에는 전씨의 기념식수가 심어져 있기도 하다.
또 서울 국립중앙도서관과 중소기업중앙회에는 각각 '국민 독서교육의 전당'과 '중소기업은 나라의 주춧돌'이라고 전씨의 친필을 새긴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경기도 과천 국사편찬위원회에도 전씨의 기념식수가 있다.
![](http://www.mdilbo.com/lib/thumb.html?type=file&w=700&src=202412/12/20241212181035826936.jpg)
지역에서는 장성군 상무대 무각사에 있는 전씨의 범종이 대표적이다.
이 범종은 전씨가 1981년 기증한 것으로 '상무대 호국의 종', '대통령 전두환 각하' 등의 문구가 쓰여져 있다.
재단은 이밖에도 전국 군부대 등에 전씨의 잔재가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차종수 재단 기록진실부장은 "범죄를 저지른 자는 엄중히 처벌해 역사의 반복을 막아야 한다. 굴곡진 역사를 곧게 펴지 않으면 생각지도 못한 사이 퇴행의 싹을 틔우게 된다"며 "국민의 세금으로 범죄자를 기념하는 시설을 관리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 사법부로부터 유죄선고를 받은 자에 대해서는 기념물을 조성할 수 없도록 하는 법률 제정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사진=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부서진 로컬라이저만 남아···사고 현장 찾은 유족들 18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가족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추모객들과 함께 합동 추모제를 마치고 사고현장을 찾아 애도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1229제주항공여객기참사 유가족들이 추모식을 마치고 참사 현장을 둘러보는 시간을 가졌다.18일 오후 무안국제공항. 20일전 참사가 발생한 활주로 로컬라이저 둔덕 인근에는 사고 항공기 잔해는 모두 치워졌으나 여전히 부서진 로컬라이저 구조물 등이 어지러이 널브러져 있었다.유가족들과 정부 관계자와 정당대표, 지자체장들은 이날 공항동 2층에서 진행된 추모식이 마무리된 후 사고 현장을 찾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공항에서 버스를 타면 5분 가량 걸리는 곳이지만 그동안 잔해 수색과 현장 조사 등을 위해 철저히 접근이 통제된 곳이다.버스에서 내린 유가족들은 로컬라이저 주변으로 발걸음을 옮겼으나 쉽사리 사고 현장을 바라보지 못하고 있었다.추모식 내내 오열을 한 듯 두눈은 퉁퉁 부어있으며 일부는 힘에 부친 듯 부축을 받으며 이동하는 이도 있었다.로컬라이저 앞에서도 고개를 숙이며 오열을 하는가 하면 두손을 모으고 눈을 감은 채 기도하는 유가족들도 있었다.18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가족이 추모객들과 함께 합동 추모제를 마치고 사고현장을 찾아 애도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사회자의 발언에 따라 참석자 모두 30초간 묵념을 마쳤다.묵념 이후 별도의 발언이나 행사는 없었으며 현장에 있던 박한신 유가족대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등 국무위원·국회의원들과 차례로 악수·포옹했다.유가족들은 현장에서 10분 남짓한 짧은 시간을 보낸 후 다시 버스에 올라 공항으로 돌아왔다. 돌아오는 버스에서도 가족의 이름을 부르는 울음은 끊이질 않았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공동취재단
- · 유가족도 정부도 '참사 원인 규명·안전한 대한민국' 한목소리
- · 긴 설 연휴에 매출 주나··· 소상공인 한숨
- · 광주비상행동 "尹 체포는 시작에 불과...내란 잔당 발복색원해야"
- · '80년 계엄 경험' 광주시민들 "윤 민주주의 파괴 대가 치러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