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관련 대국민 담화를 두고 광주 시민사회가 일제히 규탄했다.
윤석열 정권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은 12일 긴급 성명을 내고 "마지막까지 무너져 내리는 권력을 지키려고 발악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단체는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일말의 책임감도 느껴지지 않았다"며 "경찰을 비롯한 수사당국은 사회 혼란을 조장하고 있는 윤석열을 지금 당장 체포·구속하고, 국회의원들은 탄핵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 진보연대도 "이날 담화는 왜 하루빨리 대통령을 탄핵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보여줬다"며 "탄핵은 물론 긴급체포와 구속으로 즉시 격리해야 하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했다.
5·18기념재단과 공법단체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도 입장문을 내고 윤 대통령을 비판했다.
단체는 "이날 대국민 담화는 자신의 내란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변명으로 가득 차 있다. 국민의 상식과 정의를 철저히 무시한 것이다"며 "결국 국민의 분노와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석열의 시대착오적인 사고방식은 국민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억압했던 과거의 독재를 떠올리게 한다. 민주주의를 심각히 훼손하는 행위다"며 "군사력을 동원하는 비상계엄으로 국가를 대혼란에 빠뜨린 죄는 그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오월어머니집도 입장문을 통해 "이날 담화는 마치 1995년 전두환이 체포를 거부하며 집 앞에서 골목성명을 발표한 것을 연상케 했다. 내란수괴가 대통령으로 있는 한 내란은 끝나지 않는다"며 "오로지 체포와 탄핵만이 답이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일말이라도 국민을 위한다면 탄핵안 표결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지원하는 시민모임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한말호남의병기념사업회,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역위원회,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광주전남지부 등 4개 단체도 공동 성명을 내고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윤 대통령이 또 다시 대국민 선전포고를 했다. '비상계엄을 통한 메시지가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비상계엄은 헌법적 결단이자 통치행위' 등의 망언으로 민주주의를 짓밟았다"며 "1분1초라도 대통령 자리에 놔둬서는 안 된다"고 질타했다.
또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추위를 무릅쓰며 매일 거리로 나서는 시민들을 향해서는 '여기저기서 광란의 칼춤을 추는 사람들'이라고 폄훼했다"며 "참으로 낯짝 두껍고 파렴치하다.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누가 누구를 향해 손가락질을 하느냐"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미친 정권에는 철퇴가 답이다.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고 스스로 말한 만큼 책임을 지길 바란다"며 "내란범 윤석열을 당장 탄핵하고 당장 체포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 광주본부도 "분노와 충격에 빠진 국민에 대한 사과와 헌정 유린에 대한 참회가 전혀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단체는 "비상계엄 사태 책임을 더불어민주당에 돌리며 내란을 정당화했다"며 "이성을 상실한 윤석열이 무슨 짓을 할지 모른다. 탄핵으로 모든 권한을 즉시 박탈해야 한다"고 했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는 "내란을 정당한 통치행위라는 망언을 뱉으며 끝까지 국민과 함께 싸우겠다고 말했다"며 "금속노조는 민주주의를 지킨 선배 노동자들의 투혼을 이어받아 윤석열 정권을 끝장 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부서진 로컬라이저만 남아···사고 현장 찾은 유족들 18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가족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추모객들과 함께 합동 추모제를 마치고 사고현장을 찾아 애도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 1229제주항공여객기참사 유가족들이 추모식을 마치고 참사 현장을 둘러보는 시간을 가졌다.18일 오후 무안국제공항. 20일전 참사가 발생한 활주로 로컬라이저 둔덕 인근에는 사고 항공기 잔해는 모두 치워졌으나 여전히 부서진 로컬라이저 구조물 등이 어지러이 널브러져 있었다.유가족들과 정부 관계자와 정당대표, 지자체장들은 이날 공항동 2층에서 진행된 추모식이 마무리된 후 사고 현장을 찾아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간을 가졌다.공항에서 버스를 타면 5분 가량 걸리는 곳이지만 그동안 잔해 수색과 현장 조사 등을 위해 철저히 접근이 통제된 곳이다.버스에서 내린 유가족들은 로컬라이저 주변으로 발걸음을 옮겼으나 쉽사리 사고 현장을 바라보지 못하고 있었다.추모식 내내 오열을 한 듯 두눈은 퉁퉁 부어있으며 일부는 힘에 부친 듯 부축을 받으며 이동하는 이도 있었다.로컬라이저 앞에서도 고개를 숙이며 오열을 하는가 하면 두손을 모으고 눈을 감은 채 기도하는 유가족들도 있었다.18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유가족이 추모객들과 함께 합동 추모제를 마치고 사고현장을 찾아 애도하고 있다. 양광삼기자 ygs02@mdilbo.com사회자의 발언에 따라 참석자 모두 30초간 묵념을 마쳤다.묵념 이후 별도의 발언이나 행사는 없었으며 현장에 있던 박한신 유가족대표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등 국무위원·국회의원들과 차례로 악수·포옹했다.유가족들은 현장에서 10분 남짓한 짧은 시간을 보낸 후 다시 버스에 올라 공항으로 돌아왔다. 돌아오는 버스에서도 가족의 이름을 부르는 울음은 끊이질 않았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공동취재단
- · 유가족도 정부도 '참사 원인 규명·안전한 대한민국' 한목소리
- · 긴 설 연휴에 매출 주나··· 소상공인 한숨
- · 광주비상행동 "尹 체포는 시작에 불과...내란 잔당 발복색원해야"
- · '80년 계엄 경험' 광주시민들 "윤 민주주의 파괴 대가 치러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