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 "낯설었던 대구·경북 관광지 알게 돼 좋다"
"대구·경북 지역에 갈 일이 없어서 잘 몰랐는데, 이런 행사 덕분에 광주에서 영남의 지역별 특색과 관광지를 알게 돼 좋네요."
22일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열린 '2024 영호남 문화예술박람회'(이하 영호남 박람회)가 많은 시민들과 관람객들로 활기 넘쳤다.
이날 영호남 박람회는 50곳의 광주·전남, 대구·경북 광역·기초단체 홍보 부스가 마련, 관람객과 시민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미니컬링 게임판을 설치한 '함께 함평'부스는 행사가 시작되자 20여명의 시민들이 줄을 섰다. 게임판에는 함평의 관광명소 사진들이 붙어있었는데, 미니컬링을 밀어 자신이 목표한 지점에 놓으면 돗자리, 안경닦이 등 상품을 받을 수 있었다.
자신있게 '돌머리해수욕장'을 외쳤던 이현진(47)씨가 미니컬링을 밀자, 주변 사람들도 숨죽여 결과를 지켜보거나 실패를 함께 아쉬워하며 웃음꽃을 피웠다. 환호와 탄식이 반복되자, 주변 행인들도 가던 길을 멈추고 게임하는 이들을 지켜보기도 했다.
게임 참여로 사탕을 받아든 이씨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드니까 재밌다. 오랜만에 깔깔 웃었다"며 "알고 온 것은 아니지만, 부스들마다 체험거리가 있어서 다른 곳도 가 볼 생각"이라고 했다.
박모(57)씨는 '광양시'라고 적힌 주황색 트럭을 향해 연신 사진을 찍었다. 그 트럭은 바로 광양시의 '이동식 관광안내소'. 광양의 9경·9미를 담은 5편의 영상을 트럭에 설치된 스크린을 통해 시각적으로 안내해 눈길을 끌었다.
박씨는 "영상이 나오길래 보고 있었는데 광양의 명소들을 생동감있게 보여줘서 가족들과 가보고 싶은 곳은 사진으로 남겼다"며 "광양시만 홍보 차량까지 마련해 놀랐다"고 말했다.
트럭옆에 마련된 광양시의 '낮과 밤이 빛나는 광양 여행'부스도 이벤트를 참여하는 인파가 몰렸다. 감·매실 등 광양의 9미 모형이 담긴 상자에 손을 넣어 촉감으로 맞추는 이벤트를 열었는데, 정답을 맞추면 매실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굿즈를 제공해 이를 얻으려는 사람들로 붐볐다.
정근희 광양시 관광마케팅팀장은 "광양의 9경·9미를 알리기 위해 이동식 관광안내소를 설치했고 이벤트도 기획했다"며 "이동식 관광안내소를 통해 재밌는 영상들로 광양을 소개하고, 광양의 9미를 손으로 만져봄으로써 더 기억에 남도록 했는데 시민들 반응이 좋다"고 설명했다.
광주시민 한모씨는 부인과 함께 손으로 하트모양을 만들며 사진을 찍었다. 한씨가 사진을 찍은 부스는 '여행 그자체 경북'으로, 포토키오스크를 운영해 현장에서 무료인화를 해주고 있었다. 또 크로마키를 설치해둬 사진 배경에는 경북의 명소가 나와 실제 경북에 가본 느낌을 줬다.
한씨는 "부인과 산책하다가 부스가 많길래 우연히 들어왔다가 사진찍고, 조명도 만들면서 참여했다"며 "대구나 경북에 갈 일이 없어서 그 지역에 대해 잘 몰랐다. 그런데 각 지역의 특색이 담긴 부스들을 돌아다니면서 특산물이 뭐가 있는지, 어떤 명소가 있는지 등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긴 설 연휴에 매출 주나··· 소상공인 한숨 15일 오후 광주 광산구 송정역 인근 한 미용실에 설 연휴 영업 안내문이 붙어있다. 정부의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올 설 명절은 최소 6일의 연휴가 생긴 가운데, 황금연휴로 기뻐하는 직장인들과 달리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걱정만 늘어났다"고 깊은 한숨을 쉬었다.가뜩이나 경기 침체로 어려운 상황에서의 긴 연휴는 오히려 매출 감소, 휴일 근무로 인한 인건비 부담 등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충장로에서 40년 이상 분식집을 운영한 김모(63)씨는 당초 설연휴 3일간 영업을 쉬려고 했으나 27일도 쉴지 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김씨는 "직원 세 명을 쓰고 있는데 27일 일하면 휴일 근무로 더 쳐줘야 한다"며 "공무원이나 일부 직장인들에게는 좋지만 우리 같은 상인들에게는 좋을 것 하나도 없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15일 오후 광주 광산구 송정동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천유건(59)씨가 밀가루 반죽을 밀고 있다. 천씨는 "긴 연휴가 골목상권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 같다"고 푸념했다.광주 서구 상무지구 상인들은 벌써부터 설 연휴에 불어닥칠 한파에 대비하고 있다.상무지구에서 5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이모(57)씨는 설전날과 당일만 쉬기로 했다. 이씨는 "공무원과 직장인들이 쉬기 때문에 매출이 줄어들 것은 뻔하지만 그렇다고 아예 쉬면 그만큼 손해지 않나"며 "어쩔 수 없이 최소한의 휴일만 챙기기로 했다"고 말했다.송정역 인근에서 12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천유건(59)씨는 원래 영업일인 토요일까지 영업 후 5일을 쉬기로 했다. 천씨는 "연휴 시작되자마자 다 밖으로 나갈 게 뻔할 것 같아 그냥 쭉 쉬기로 했다"며 "정부가 말로는 내수 경기 진작이라고 하는데 이런 골목상권이랑은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 같다"고 푸념했다.충장로에서 3년째 붕어빵집을 운영하는 장연주(29·여)씨는 연휴기간에도 영업하기로 했지만 재료 준비를 걱정하고 있었다. 장씨는 "원래대로라면 금요일에 주말 2일치, 월요일에 연휴 3일치를 준비하면 됐는데 27일 임시공휴일이 되면서 한번에 6일치를 준비해야 한다"며 "영업 도중에 재료 수급이 어려울까도 걱정된다"고 말했다.광주·전남지역 식당과 카페를 대상으로 마케팅 사업을 하는 장모(40)씨는 사라진 연말연시 특수로 인해 상인들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씨는 "경기가 좋을 때는 임시공휴일과 연휴에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겠지만, 현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며 "특히 12월 탄핵국면과 여객기참사로 연말연시 특수가 사라져 1월 매출에 타격을 받은 상황에서 긴 설 연휴는 도움보다는 해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광주비상행동 "尹 체포는 시작에 불과...내란 잔당 발복색원해야"
- · '80년 계엄 경험' 광주시민들 "윤 민주주의 파괴 대가 치러야"
- · 비상계엄·제주항공 참사에 트라우마 호소하는 사람 많다
- · 최갑렬 BBS광주불교방송 사장 "불교방송 뿌리 지키며 다각형 언론 되겠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