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친환경 이동수단인데···"왜 눈치 보면서 타야죠?"

입력 2024.07.31. 14:57 박승환 기자
■두 바퀴路, 탄소중립 광주로 ③PM 눈치 길
문화전당역~광주역 전동킥보드 타보니
전동킥보드 관련 민원 급증…애물단지 전락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전용도로 부재'가 문제
전문가, "지자체 계획, 규제 없어 불안" 지적
전남대학교 인근 좁은 골목길에서 한 학생이 킥보드를 타고 있는 모습.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는 전동킥보드를 비롯해 전동이륜평행차, 전동기 동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와 같이 전기를 이용해 이동하는 1인용 소형 이동수단이다.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자전거보다 편리하면서도 못지않게 친환경적 이동수단이자, 미래형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오히려 도심 애물단지로 전락한 지 오래다.

지난해 광주시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관련 민원 건수는 총 1천894건에 달했다. 올해는 지난 4월까지 무려 1천87건의 민원이 접수될 정도로 급증했다.

탄소를 무수하게 배출하는 자동차는 당당하게 다니는 데 왜 친환경적이면서도 도심을 혼잡하게 하지도 않는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눈치를 보고 다녀야 하는 셈이다. PM이 나쁜 이동수단이라서 그런 걸까?

기자가 직접 PM을 타고 광주 도심을 이동한 결과 PM(자전거 포함)이 다닐 수 있는 전용도로 부족이 근본적 원인으로 꼽힌다. 또 주차장이 많지 않을뿐더러 있다고 하더라도 강제적 규정이 없다는 점도 아무 곳에 무분별하게 주차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무엇보다 자전거만큼이나 범용성이 높은 이동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법이나 규제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면서 일종의 '규제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었다.

◆신속하고 간편… 목숨값과 눈치 값 들어

PM이 도심 골칫덩어리가 된 원인을 찾는 과정은 지난달 말께 광주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광주 도심 한복판인 동구 옛 전남도청 5·18민주광장(문화전당역)에서 시작했다. 이미 5·18민주광장에는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타고 다니는 시민들이 적잖았다.

기자 또한 광장 곳곳에 아무렇게나 널브러져 있는 전동킥보드 중 하나를 잡았다. 10초도 안 되는 시간에 간단한 잠금을 풀었다. 지도 앱은 목적지인 북구 중흥동 광주역까지 10분 남짓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버스로 가면 걷는 시간까지 포함해 20분이 걸리는 데 반해 매우 간편하고 빠르다는 것을 새삼 느낀 순간이었다.

하지만 이 신속성과 간편성이 '목숨값'과 '눈치 값'이라는 것을 깨닫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전동 킥보드는 자전거와 마찬가지로 보도에서 주행이 금지돼 있다.

그렇다고 자전거도로가 있는 것도 아니었다. 차로로 가자니 쌩쌩 달리는 자동차에 치일까 무섭고 보행로로 가자니 보행자와 부딪힐까 두려웠다. 그러나 생명의 위협보단 눈치 보는 게 낫겠단 생각에 보행로로 천천히 달렸다.

다행히(?) 금남로는 인도가 비교적 넓은 편이라 큰 무리 없이 주행할 수 있었다. 다만, 보행자와 마주칠 때는 민망함에 절로 시선이 딴 데로 옮겨졌다. 미안한 마음에 최대한 보행자를 피해 조심스럽게 운전했다. 정작 보행자들이 이런 상황이 익숙한지 아무렇지 않아 보였다.

금남로를 벗어나 다소 좁은 길로 빠지니 보도블록이 일정하지 않은 데다가 운행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좁아 아예 운전을 포기하고 300여m를 끌고 갔다. 보행로에 빨간색 보도블록이 보였다. 자세히 보니 자전거 그림이 표시돼 있었다. 좁은 인도에 더 좁은 자전거도로라니….

보행로 자체가 좁은 데다 자전거도로까지 있으니 보행자들은 물론, 버스를 기다리는 시민들과도 충돌할 뻔한 아슬아슬한 상황이 벌어지기 일쑤였다. 그것마저도 불법 주차된 차들과 인도에 놓인 입간판과 적재물들로 정상적인 주행이 불가능했다.

그러다 보니 킥보드 이용자들은 "보도와 구분돼 있지 않은 자전거도로는 차라리 없는 게 낫다"고 푸념했다. 보행자들은 "인도에 빠르게 다니는 킥보드 때문에 위협받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전동킥보드와 공유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주차 규제가 없는 탓에 아무렇게나 방치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사진은 빌라 내 아무렇게나 주차돼 있는 개인형 이동장치. /무등일보

◆결국 전용도로가 해답… 주차장도 제도화해야

대인교차로 오거리에서는 상황이 더 기가 막혔다. 횡단보도 없이 지하도만 있어 대인교차로에서 광주역 방향으로 지상에서 갈 수가 없었다. 차도를 가로지르자니 반대편 골목길에 기동순찰대 차량에서 내리는 경찰들이 보였다. 친환경적으로 살려다가 거덜 날 수는 없는 노릇.

폭염주의보에 이미 탈진 직전에 이른 상태에서 킥보드를 타고 지하도로 가자니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다. 깊은 호흡을 내쉬고 롯데백화점까지 이동해 횡단보도를 건너 수백미터를 더 이동했다.

우여곡절 끝에 광주역에 도착했지만, 예상 시간보다 20분이나 더 걸렸다. 도착하고 나서도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광주역 광장이 전부 주차금지 지역이라 킥보드를 세우는 게 불가능했다. 어쩔 수 없이 보행자 통행이 방해되지 않도록 인도에 가지런히 세운 뒤 탑승을 마쳤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전용 주차장은 눈에 안 띄는 광주역 광장 구석에 있었다.

"탈 때마다 주변의 따가운 시선이 느껴져요. 적당히 눈치 보고 다니긴 하는데…."

광주역 앞에서 전동 킥보드를 타던 박은식(26)씨가 건넨 한마디는 광주역까지 전동킥보드를 타고 오는 내내 기자가 느꼈던 감정이었다.

박 씨는 "킥보드를 탈 때 차도를 이용해야 한다고 하는데 솔직히 광주에서는 불가능하다"면서 "보행로가 아닌 차도 가장자리에 자전거나 차량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전용도로를 만들지 않으면 목숨 걸고 타는 일이 반복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광주역에서 만난 또 다른 전동킥보드 이용자는 "전동킥보드를 탈 때 차로를 이용해야 한다고 하는데 솔직히 광주에서는 불가능한 말이라고 생각된다"며 "보행로가 아닌 차로 가장자리에 자전거와 PM을 탈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동킥보드를 무분별하게 세우는 것도 문제지만 마땅히 세울 장소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면서 "주차 공간을 많이 만들어주고 정확하게 거기에 주차하라는 지침만 있다면 지금보다 인식이 많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 시대에 친환경 이동수단인 PM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PM을 경험하지 않은 이들이 막연히 위험한 수단이라고 치부할 게 아닌, 안전하게 탈 수 있도록 인프라나 법 체계, 규제가 갖춰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윤희철 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장은 "도시(지자체) 차원에서 PM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나 규제, 방법론이 하나도 없는 상황이다"면서 "PM이 새로운 이동 장치로 등장한 게 10년이 넘었는데 아직까지 상위법이 없다는 이유로 법 체계나 규제 장치가 없으니 시민들은 불안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1
후속기사 원해요
2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