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이용 불편해 안하는 사람 多
주차공간 부족해 불법주정차하기도
"너무 좁고, 멀고, 차 빼기도 힘들어서 그냥 길에다 주차해요."
광주시와 자치구에서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는 등 불법주정차 근절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의 막무가내식 불법주정차가 횡행하면서 성숙한 시민의식이 요구된다.
9일 오전 광주 남구 서동공영주차장.
장애인 주차공간을 제외한 전체 7개 주차면수 가운데 2곳이 비어있음에도 주차장 맞은편 주차 금지구역에 버젓이 불법주정차가 돼 있다.
이곳은 바로 초등학교와 맞닿아 있어 스쿨존으로 지정된 곳이었지만, 교차로 부근에도 SUV와 승용차 등 불법주정차로 사각지대가 생겨 학생들의 안전에도 위협이 됐다.
이곳에서 걸어서 7분 거리에 위치한 광주향교 공영주차장도 마찬가지였다.
20여면으로 조성된 주차장에 빈자리가 있는데도 그늘진 자리나 출입구 근처에 불법주정차 한 차량들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30대 김모씨는 "여름이라 그런지 나무 밑 등 그늘이 지는 곳을 찾아 주차하거나 차를 넣고, 빼기 쉬운 출입구 쪽을 선호해서 이중주차하는 경우가 잦아 규정에 맞춰 주차를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손해를 본다"며 "어떤 차들은 번호 조차 남기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도 많다"고 토로했다.
중장비 특수차량들 역시 불법주정차에서 빼놓을 수 없는 단골이다.
9일 오전 남구 서동 대성초교 사거리는 인근에 공영주차장이 2군데나 조성돼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법주차 차량이 도로가를 채웠다.
같은 날 남구 서동 대성초교 사거리 인근에는 공영주차장이 2곳이나 있음에도 도롯가에 건설장비차량들이 줄지어 주차 중이었다.
비슷한 시각 남구 양림동 184면 규모의 양림역사마을공영주차장 역시 내부가 텅텅 비어 있는데도 운전자 대부분이 점포 앞이나 인근 길가에 주정차했다.
상당수 운전자들이 공영주차장과 목적지 간의 거리가 멀다거나 주차요금을 아끼기 위해 불법주정차를 일삼고 있어 정작 수억원을 들여 조성된 공영주자장은 텅텅 빈 채로 운영되고 있다.
한상원(33)씨는 "가고자 하는 카페에 주차 자리가 없어 그냥 인근 도로에 차를 댔다"며 "공영주차장은 (카페에서) 너무 멀고 시간이 지나면 돈을 내야 해서 이용을 잘 안 한다"고 했다.
반대로 공영주차장의 주차면수가 부족해 불법주정차가 심각한 곳도 많았다.
서구 농성동 공영주차장과 농성1동 주거환경개선지구 주차장의 경우 각각 171면과 26면에 달하는 주차공간을 가지고 있음에도 주택가에 자리하고 있어 늘 주차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로 인해 공영주차장 인근 불법주정차가 끊이지 않고 있다.
김병규(54)씨는 "주택이 밀집된 지역이다 보니 주차공간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며 "불법주정차가 일상이 되다 보니 보행자나 운전자 모두에게 위험한 공간이 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시에 따르면 관내 공영주차장 총 면수는 1만7천888면으로 관내 차량 등록 대수인 72만3천256대의 약 2.5%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광주시 관계자는 "올해 3월부터 진행중인 공영주차장 확보 사업이 이제 주차장 설계 용역 단계에 들어섰다"며 "비록 차량 수에 비해 아직 부족하나, 공영주차장 수가 늘어나면 접근성과 주차면수 등 여러 면에서 조금씩 불만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지자체 차원에서 주차공간 확보에 많은 노력을 하겠지만 불법주정차를 하지 않으려는 성숙한 시민의식도 높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전남, '살릴 수 있던 환자' 사망 비율 전국서 가장 높아 지난 2월 29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병동에서 의료진이 중환자를 옮기고 있다.뉴시스 부족한 의료인프라로 사망한 환자 지표에서 전남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8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에 따르면 생존할 수 있었음에도 부족한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사망한 환자 수가 전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가 남인순 의원실에 제출한 '전국 시·도별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 현황'에 따르면 2018~2022년 기준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가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1.17에 달했다.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는 급성기 입원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기대 사망자 수와 실제 사망자 수의 비를 의미한다. 사망비가 1인 지역은 전국 평균 수준이며 1을 넘기면 기대 사망자보다 많은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뜻이다.전남이 1.1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광주는 1.03을 기록했다. 이외에 사망비가 1인 넘긴 지역은 부산 1.08, 강원 1.06, 경북 1.05, 경남 1.05 등이다.전남은 '치료 가능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치료 가능 사망률은 심뇌혈관 질환, 감염 치료가 제때 이뤄진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기 사망' 비율을 뜻하며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한 사망자 숫자로 표기한다.2022년 기준 치료 가능 사망자는 충북이 52.9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 51.31명, 강원 51.21명, 전북 49.89명, 전남 49.40명 순이었다.광주는 40.63명으로 세종(37.78명), 서울(40.25명)에 이어 광역지자체 중 세 번째로 낮았다.남인순 의원은 "전국 시·도별 치료 가능 사망률과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차이는 지역간 건강격차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권역책임의료기관 육성, 지역거점공공병원 확충 및 기능보강, 의료취약지 지원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치고, 공공의료 중심의 지역완결적 필수의료체계를 구축해 지역간 건강격차를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광주도시공사 사장에 김승남 전 국회의원 임명
- · 전남, 공보의 없는 보건지소 10곳 중 4곳···의료공백 심화
- · 광주 자원순환 리더들 "자원순환도시 실현"
- · 윤명희 전남도의원, 전라남도농공단지협의회로부터 공로패 받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