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미온적인 폭주족 단속에 비난 쏟아졌지만
구상권 청구·민사소송 문제에 현실적으로 불가능
무리한 추적 대신 다른 방법 택하라는 법원 판단도
3·1절이나 광복절을 비롯한 국가 기념일이면 도심 도로변에 어김없이 나타나는 폭주족을 경찰이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무리하게 추적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대법원 판례 때문에 현장에서 적극적인 단속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최근 광주 도심 한복판에서 폭주족을 구경하던 10대들이 교통사고로 크게 다친 사건이 조명을 받고 있다.
폭주족으로 인한 인명사고 위험이 큰 만큼 폭주족 단속에 나선 경찰들에게 과한 책임을 지게 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높게 일고 있어서다.
2일 광주 서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오전 3시께 서구 광천사거리에서 보행섬에 서 있던 A(19)군과 B(14)군이 20대 남성 C씨가 운전하던 승용차에 치여 다리가 절단되는 등 중상을 입었다.
조사결과 사고 당시 A·B군은 6·25전쟁 발발 제74주년을 맞아 거리에 출현한 폭주족을 구경하고 있었다. 현장에는 A·B군 이외에도 30여명이 모여 있었다.
A·B군이 당한 교통사고가 폭주족의 행위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었지만, 사고 장면을 SNS로 접한 시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동시에 현장에 있던 경찰의 미온적인 대응에 비난을 쏟아냈다.
대체로 '폭주족이 날뛰는데 경찰은 에스코트만 했다', '차를 세우고 보고만 있을 뿐 단속은 하지 않는다', '경찰이 단속 안 하면 시민 안전은 누가 책임지냐', '누구를 위한 경찰인가' 등의 반응이 주를 이뤘다.
이 같은 반응만 보면 경찰이 폭주족을 적극적으로 단속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실제 3·1절이나 광복절 등 국가 기념일을 비롯해 매해 특정 날짜마다 반복되는 폭주족의 행위는 A·B군이 당한 교통사고처럼 항상 예측할 수 없는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의 악으로 꼽힌다.
하지만 살인이나 강도, 이상동기범죄와 같은 강력범죄 용의자처럼 폭주족을 적극적으로 단속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경찰의 단속 과정에서 폭주족이 멈추라는 지시에 멈추면 다행이지만, 추적에 대항하거나 도주하다가 다치기라도 하면 오롯이 경찰이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헬멧도 착용하고 있지 않아 사고라도 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구상권 청구와 민사소송 문제도 걸림돌이다. 법원에서 경찰의 단속이 필요성과 합리성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피해자와 유가족의 손만 들어주고 있어서다.
대법원도 '신호위반이나 중앙선 침범과 같은 범칙금 통고서를 발부하는 교통단속을 2차 사고 발생 위험을 용인하면서까지 무리하게 추적하기보다는 향후 계속적인 수사가 가능하도록 차량번호를 기록하는 방법을 택했어야 한다'고 판단한 바 있다.
폭주족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현장에서 해산 명령만 반복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도주하는 폭주족을 향해 바퀴를 권총으로 맞춰 제압하는 것은 영화 속 얘기다.
이와 관련 일선서 교통안전계에서 근무하는 한 경찰은 "단속 과정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면 항상 '과잉진압'이라는 꼬리표가 붙는다. 내부에서 '차라리 단속 안 하고 욕 먹고 말지'라고 우스갯소리를 하는 이유는 그만큼 일선 경찰들이 민·형사상 책임으로부터 보호받고 있지 못한다는 안타까운 현실이다"며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면 책임을 과하게 지우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전남, '살릴 수 있던 환자' 사망 비율 전국서 가장 높아 지난 2월 29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병원 응급병동에서 의료진이 중환자를 옮기고 있다.뉴시스 부족한 의료인프라로 사망한 환자 지표에서 전남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8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에 따르면 생존할 수 있었음에도 부족한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사망한 환자 수가 전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가 남인순 의원실에 제출한 '전국 시·도별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 현황'에 따르면 2018~2022년 기준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가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1.17에 달했다.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는 급성기 입원환자의 중증도를 보정한 기대 사망자 수와 실제 사망자 수의 비를 의미한다. 사망비가 1인 지역은 전국 평균 수준이며 1을 넘기면 기대 사망자보다 많은 초과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뜻이다.전남이 1.1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광주는 1.03을 기록했다. 이외에 사망비가 1인 넘긴 지역은 부산 1.08, 강원 1.06, 경북 1.05, 경남 1.05 등이다.전남은 '치료 가능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치료 가능 사망률은 심뇌혈관 질환, 감염 치료가 제때 이뤄진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기 사망' 비율을 뜻하며 인구 10만명당 치료 가능한 사망자 숫자로 표기한다.2022년 기준 치료 가능 사망자는 충북이 52.9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천 51.31명, 강원 51.21명, 전북 49.89명, 전남 49.40명 순이었다.광주는 40.63명으로 세종(37.78명), 서울(40.25명)에 이어 광역지자체 중 세 번째로 낮았다.남인순 의원은 "전국 시·도별 치료 가능 사망률과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차이는 지역간 건강격차를 의미하는 것"이라며 "권역책임의료기관 육성, 지역거점공공병원 확충 및 기능보강, 의료취약지 지원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치고, 공공의료 중심의 지역완결적 필수의료체계를 구축해 지역간 건강격차를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광주도시공사 사장에 김승남 전 국회의원 임명
- · 전남, 공보의 없는 보건지소 10곳 중 4곳···의료공백 심화
- · 광주 자원순환 리더들 "자원순환도시 실현"
- · 윤명희 전남도의원, 전라남도농공단지협의회로부터 공로패 받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