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조선대병원 미복귀 전공의 214명···의료 공백

입력 2024.02.21. 19:11 이관우 기자
전대·조대병원 전공의 214명 미복귀
수술·진료 줄였지만 환재 피해 속출
정부, 복귀명령 불응자 법과 원칙으로
현장점검 통해 이탈 전공의 지속 추적
조선대병원을 찾은 환자들이 전공의가 없어 발길을 돌리거나 접수처에서 진료 일정을 변경하고 있다.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맞서온 전공의들이 병원을 무더기로 이탈한지 이틀째인 21일 현장의 '의료 공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전공의가 비운 자리를 최소 의료진이 가까스로 메우고 있지만 응급·필수 이외 진료과를 찾는 환자는 사실상 제대로 된 진료조차 못 보며 피해가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모습이다.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한 광주·전남 주요 대학병원은 진료과별로 환자의 응급·중증도 등을 고려해 최소한으로 입원·수술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

대부분 병원은 가용할 수 있는 인력이 제한적인 만큼 응급·위급한 수술에 우선순위를 두고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전남대병원은 전공의 319명 중 268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 중 이날 오후 5시 기준 이탈 전공의 107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졌지만 미복귀가 지속되자 불이행확인서도 발부됐다. 무단 결근한 34명은 현재 근무지로 복귀했다.

보건복지부는 불이행확인서 발부 이후에도 이탈 전공의가 미복귀히면 강제이행명령을 내리고 이 또한 불응 시 수사기관에 고발할 방침이다.

조선대병원은 전공의 142명 중 114명이 사직서를 냈다. 이 중 이탈 전공의 107명에게 불이행확인서가 발부됐다. 업무개시명령에 응한 7명은 병원으로 돌아왔다.

각 병원은 이탈 전공의가 계속 늘어나며 의료 공백이 좁혀질 기미가 없는 모습이다.

복지부는 이날 오후에도 대학병원 현장을 점검한 뒤 이탈 전공의에게 추가 강제이행명령을 내릴 예정이다.

비상진료체계에 들어간 병원들은 분주한 모습이다.

전남대병원은 중환자실, 응급실, 외래진료를 정상 운영하고 있지만, 수술은 평소 대비 40% 가까이 줄였다. 병상 가동률도 마찬가지다.

조선대병원도 수술을 줄이는 등 전남대병원과 사정이 비슷하다.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일반실은 가동률을 50%대로 낮췄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언제쯤 근무지로 복귀할지 알 수 없는 가운데 의대생들이 집단 휴학계를 내며 학사일정이 연기됐다.

전남대는 현재까지 재학생 732명 중 563명, 조선대는 625명 중 550여명이 휴학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남대 의대는 학사 일정을 2주 연기하고, 조선대도 임상실험 일부 일정을 미뤘다.

의료인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하자 광주시는 이날 기존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비상진료대책본부'로 격상했다. 시는 응급의료기관에서 집단 휴진이 발생하면 의료법에 따라 진료명령,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할 예정이다.

정부는 같은 날 업무개시명령에도 의료 현장에 복귀하지 않고 집단행동을 주도하는 주동자 및 배후세력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고, 정상 진료나 진료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엄중히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복귀를 거부하는 개별 전공의도 원칙적으로 정식 기소를 통해 재판에 넘기겠다는 방침이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