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모님 어디서 모셔야 하나, 고령화 속 간병인 부족 여전

입력 2024.02.16. 10:04 임창균 기자
남자 고령 환자 기피 현상, 남자 간병인 부족
간병인 대부분 60대 이상 여성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꼴”
정부 간병 부담 경감 완화 방안에도 효과 비관

#90대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신모(67)씨는 최근 아버지를 모실 만한 요양원을 찾는 과정에서 애를 먹었다. 지난 1년간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했으나 아버지가 지병을 앓고 있는 데다 거동까지 불편해지면서 요양시설을 찾게 된 것이다. 하지만 남자 환자를 기피하는 요양보호사나 간병인 때문에 아버지를 요양원에 입원시키기 까지 2주가 걸렸다.

#5년차 간병인 이모(54·여)씨는 남자 어르신이 포함된 6인실 간병을 맡고 난 뒤 허리에 파스를 붙이는 날이 늘었다. 여성 어르신 위주로 간병할 때는 몰랐던 육체적인 한계까지 느껴졌다. 체형을 떠나 남성 어르신들을 보살피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힘이 많이 들었다.

이씨는 "80~90세의 어르신들도 기운이 세서 대부분 여성인 간병인들이 감당하기 어렵다"며 "간병인은 요양보호사와 달리 자격증이 없어도 할 수 있어 일을 시작하긴 했지만 최근 체력적 한계 때문에 일을 계속할 수 있을지 고민스럽다"고 토로했다.

광주지역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간병인 부족 사태로 현장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16일 광주시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현재 노인의료복지시설 101곳과 요양병원 55곳이 운영 중이다.

올해 1월 기준 광주시의 65세 이상 인구는 23만4천824명으로 전체 인구의 16.5%에 달한다. 최근 고령화 추세로 봤을 때 향후 노인의료시설과 요양병원 이용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이들을 돌봐야 하는 간병인의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광주에는 2만2천152명의 요양보호사가 활동하고 있으나 대부분 재가방문 형태로 근무하고 있어 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는 2천342명에 불과하다. 2020년 기준 광주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확인된 간병인은 1천386명에 그친다.

광주지역 요양보호사와 간병인의 수를 합해도 65세 인구수의 10%도 채 되지 않는 수치다.

이에 따라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요양병원에서 간병인 구하기에 애를 먹는 실정이다.

더욱이 간병인 대부분이 경제적 부담을 덜고자 일을 시작한 중년여성들로 체력적인 한계 등을 이유로 남성 환자를 기피하면서 간병인 부족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보호자들 역시 천정부지로 치솟은 간병비 부담 때문에 어려움을 호소하긴 마찬가지다.

통상적으로 간병은 간병인 한 명이 환자 한 명을 맡는 일대일이나, 간병인 한 명이 환자 여러명을 맡는 밀착간병(공동간병)으로 나뉜다.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광주의 경우 일대일 간병은 하루에 15만원, 밀착간병은 3~4만원이 들어간다.

시설 종류에 따른 부담도 다르다.

요양원의 경우 장기요양보험의 혜택을 받아 등급 판정에 따라 최대 100%까지 간병비를 국가에서 지원한다.

그러나 요양병원은 국민건강보험의 수가를 받는 의료기관이기에 장기요양보험이 적용되지 않고, 보호자가 간병인을 쓰려면 간병비를 전액 부담해야 한다.

간병비 부담으로 인해 직접 가족을 돌보면 경제활동이 멈추고, 간병인을 쓰면 간병비로 계속 돈이 나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간병비 부담으로 인해 밀착 간병인을 쓰고도 일대일 간병 수준을 요구하는 보호자도 있다보니, 간병인들의 업무 강도와 스트레스도 계속 늘어난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국민 간병 부담 경감 방안'을 발표하며, 간호사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 요양병원 간병비 국가지원 등의 방안을 밝힌데 이어 여당과 야당 역시 총선 공약으로 간병비 급여화 등을 제시했으나 종사자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지역의 한 간병인협회 관계자는 "현재의 정부 지원도 쥐어짜서 나왔다는 인식이다"며 "정부 방안이 실현되려면 건강보험료를 올릴 수밖에 없는데 국민들이 받아들일지 의문이고, 지금보다 간병인 숫자가 서너배는 많아져야 하는데 단기간에 해결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협회 관계자는 "사실상 남자들도 기피하는 3D업종을 나이 많은 여성들이 도맡고 있다"며 "재원 마련이라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간병인 급여 현실화를 통해 간병인 숫자가 늘어나고 보호자들 역시 부담 없이 간병인을 쓸 수 있는 환경이 반드시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2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