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지난해 '가정 폭력' 40대가 최다···셋 중 하나는 "우발적"

입력 2023.09.24. 09:00 댓글 0개
대법원, '2022년 사법연감' 발간
작년 가정보호사건 2만2742건
보호소년 범행 원인 1위도 우발
[서울=뉴시스] 지난해 가정폭력을 저질러 재판에 넘겨진 이들 중 단순히 분노(우발)를 이유로 범행한 사람이 33.1%에 달했다. 자료사진. 2023.09.22.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전재훈 기자 = 지난해 가정법원에 접수된 가정폭력 사건 3건 중 1건은 단순 분노(우발)를 이유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법원의 '2022 사법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정법원에 접수된 가정보호사건은 총 2만2742건으로, 직전 해 2만3325건보다 583건 감소했다.

가정보호사건 중 보호처분 결정으로 종결된 가정폭력 행위자는 1만3043명에 달한다. 이중 대법원이 2918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분노(우발) 965명(33.1%) ▲현실 불만 483명(16.5%) ▲부당한 대우 및 학대 294명(10.1%) ▲취중 82명(2.8%) 등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50세 미만(27.2%)이 가장 많았다. 50세 미만(27.2%), 60세 미만(26.4%), 60세 이상(18.8%), 40세 미만(17.8%), 30세 미만(8.4%), 20세 미만(1.4%) 순으로 가정폭력 행위자 비율이 높았다.

지난해 접수된 소년보호사건은 4만3042건으로, 직전 해(3만5438건)에 비해 8000건 이상 늘었다.

중요 죄목별로 보면 절도가 1만4671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기(3933건),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373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소년보호사건 중 폭행과 상해는 각각 3159건, 1511건이었다. 직전 해보다 폭행은 1000건, 상해는 500건 이상 늘었다.

'우발'은 보호소년의 범행 원인에서도 1위(43.3%)를 차지했다. 호기심(40.4%), 생활비 마련(5.1%), 유혹(3.9%)이 뒤를 이었다.

보호처분을 받은 2만4933명 중 남성이 82%를 차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광주인구 유출 내가 생각하는 해법은?
2시간전 빛고을 사랑해 내가 생각하는 유출 원인 1. 20~30대: 일자리, 주거 목적 2. 30~50대: 아이들 교육 및 직장 이직 3. 50~대: 도심생활 정리 근데 이 같은 문제들은 광주 뿐 아니라 타 지방 광역도시들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지방의 발전이 필요...
2분전 유출원인0순위 유출원인 0순위라고 생각하는게 광주에는 질좋은 일자리가 없음 공뭔, 공기관 아니면 기아자동차, 신세계, 광주은행 등 몇 곳 없음 양질의 일자리가 절실함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