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연일 폭염특보···´초고령화´ 전남, 농촌 무더위 ´주의´

입력 2023.07.31. 14:11 수정 2023.07.31. 16:38 댓글 0개
전남 전역 폭염경보…광양시 최고 34.2도 기록
지난 3년간 온열질환 351명…사망자는 없어
무더위 쉼터·그늘막 운영…“예찰·순찰 강화할 것”
장성군 장성읍 소재 경로당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는 어르신들. 장성군 제공

전국적으로 연일 가마솥더위가 이어지며 관련 사망자가 두 자릿수를 기록한 가운데 광주와 전남 전역도 폭염 특보가 계속되며 농촌 지역의 주의가 당부된다.

31일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흑산도와 홍도에는 폭염주의보가, 그 외 광주와 전남 전역에는 폭염 경보가 발효됐다.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경보는 일 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된다.

전남의 경우 이날 오후 3시 기준 광양 34.2도, 강진 33.3도, 보성 33.1도, 32.6도, 완도 32.4도, 여수 32.3도, 목포 32도, 영광 32도, 고흥 31.8도, 장흥 31.8도를 기록하는 등 연일 30도 이상의 고온이 지속되고 있다. 광주도 32.2도를 기록했다.

이처럼 낮 최고 기온이 연일 경신되는 가운데 온열질환자도 속출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를 보면 전국적으로 사망자는 10명을 기록했다. 사망자가 발생한 지역은 경남이 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충남·경북이 각각 2명, 울산·충북·전북이 각각 1명씩 사망했다.

전남은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지난 주말부터 온열질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 30일 기준 7명이 온열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등 현재까지 총 52명(열사병 5명, 열탈진 27명, 열경련 11명, 열실신 8명, 기타 1명)이 발생했다.

발생 장소는 실내·외 작업장과 논밭이 각각 16명씩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택 4명, 비닐하우스 3명, 강가·해변·길가에서 1명, 기타 11명으로, 대부분의 온열질환자가 농경활동을 하다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지난 2014년 전국 최초로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는 전남지역의 경우 지난 3년간 온열질환으로 351명(2020년 117명, 2021년 110명, 2022년 124명)이 병원을 방문하며 도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함평천지종합복지관이 여름철 무더위 쉼터로 탈바꿈했다. 함평군 제공

이에 전남도는 농업인 여름철 건강관리에 중점을 두고 대책을 마련, 시행 중이다.

우선 일일 최고 체감기온이 33도 이상 3일 이상 지속이 예상되는 전남도와 17개 시·군은 총 382명이 비상근무 중이며, 8천433개소의 무더위 심터와 1천172개소의 그늘막을 운영 중이다. 건설현장과 야외작업주민 생수전달 등 폭염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예찰과 순찰도 지속적으로 실시, 폭염특보 시 외부활동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전남도는 또 각 시군 재난도우미 6천33명을 활용해 독거노인과 거동불편자 등 취약계층 일일 건강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마을 방송과 전광판, 문자발송, 양산대여소 운영 등 폭염 피해예방 및 홍보활동을 포함해 각 시군당 1대씩 도로 살수차를 운영하며 뜨거워진 도로를 식히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농번기철 비닐하우스나 논밭 등을 돌며 한낮 농사 활동 자제를 요청하고 있다"며 "특히 고령 농업인들의 경우 폭염 특보가 발효 중일 때는 한 낮 활동을 자제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온열질환은 일사·열사병, 열실신, 열경련, 열탈진 등으로 나뉘며, 무더위 속 구토와 고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위급한 상황이므로 신속히 체온을 낮추고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무지출 챌린지 해보셨다면?
5시간전 무지출 노하우는 배달 어플 끊고 온라인 쇼핑 하지마세요. 나가기 귀찮아서라도 돈 덜씁니다 + 좋은 회사 다니세요ㅠ 좋은 회사는 출퇴근 셔틀 운행하고 밥도 주고 온갖 지원이 많아서 돈쓸일이 없습디다 (물론 남 얘기 하는 겁니다 ㅋㅋ )
3시간전 맵도사 무지출이 가능하냐? 집 나서는 순간분터 지출임.
2시간전 무지출이 가능한건가? 집 안에 있으면 보일러에 전기, 가스, 화장실 써야 하니 현금은 아니지만 돈은 나가게 되어 있고 집 밖에 나가서 돌아다니면 무조건 돈 쓰게 되어 있고 현금 지출이 없다 치더라도 돌아다니면 신발 닳아짐.... 나갔다 들어오면 옷도 빨아야 하고 지금 당장은 아니어도 결국 나중에 돈 들어감 진짜 돈 안쓰는 방법은 일어나자마자 씻지도 말고 집 바로 부근에 있는 벤치에 하루종일 앉아 있다가 화장실은 공중화장실에서 해결하고 밥은 쫄쫄 굶던가 땅에서 주워먹던가 해서 해결하고 저녁에 집에 들어와서 이불뒤집어 쓰고 그대로 자야댐.... 그거 말곤 방법이 없어....
1시간전 정리왕김정리 무지출챌린지를 모르시네. 그냥 그날 카드값/통장 출금 또는 이체가 발생하게 안나게 하는 거임. 즉, 출금이나 카드 사용 내역이 없으면 그게 무지출챌린지임(현금도 마찬가지로 안써야함, 결제문자도 안나와야함) 버스 안타고 40분 걸어서 출근한다. 회사 간식으로 약간의 허기를 달래고 업무 시작. 점심은 구내식당에서 점심해결하고 회사 맥심 하나 타먹는다. 걸어서 퇴근 집와서 집밥먹는다. 이상 무지출 챌린지 팁임.
3분전 무지출 젋은친구들만 가능하지 대학생들 .,.대학다닐때 술값으로 돈을다써서 일주일동안 자취방에서 국수만 끓어먹은 기억이.. 진짜로 돈이없으니 무지출해보았네여. 지금은 될수가없지요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