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소아과 전공의 부족 사태 심화···"동네병원부터 살려야"

입력 2023.03.31. 08:3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동네 소아과 살아야 전공의 지원 늘어"

"소아진료 전문성 인정해 적극 지원해야"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26일 오전 서울 한 병원에서 사람들이 소아청소년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2022.12.26. fe@newsis.com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소아청소년과(소아과) 의사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적절한 보상을 통해 동네 소아청소년과(소아과) 병·의원을 살리고, 소아 진료의 전문성을 인정해 세분화된 분과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1일 의료계에 따르면 척박한 진료 환경에서 고착화된 낮은 수가(진료비)를 현실화하는 것이 전공의의 소아과 지원을 유도하는 유인책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1인당 평균 진료비는 30년 간 1만7000원 가량으로 사실상 동결 수준이었고, 지난 5년 간 동네 소아과 662곳이 문을 닫았다.

장기적인 저출산 흐름으로 어린이 환자 수도 감소세를 보이면서 미래가 어둡다고 느끼는 전공의들은 소아과를 기피해왔다. 의료 수요 자체가 줄어 개원이 쉽지 않아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진료량마저 급감해 박리다매식 진료도 어려워지면서 기피 현상은 더욱 심화됐다.

소아과 전공의가 의대 졸업 후 의사 면허를 따고 대학병원 등에서 인턴과 레지던트를 거친 후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서 일하는 것도 쉽지 않다. 소아과는 수가가 낮은 데다 국내 의료수가 체계상 비급여 항목이 거의 없어 이들 병원에서도 소아과 전문의 채용에 적극 나서기 힘든 구조여서다.

결국 동네 병의원을 살려야 하고, 적절한 보상 방안의 하나로 수가를 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아과 수가가 현실화되고 동네 병의원이 살아나면 소아과를 지원하는 전공의가 늘어나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인력가뭄' 해갈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소아과 수련병원의 레지던트 지원율은 2019년 80%에서 올해 상반기 15.9%로 추락했다. 소아과 레지던트 모집정원이 있는 50개 대학병원 중 76%(38개)는 레지던트를 단 한 명도 확보하지 못했다. 모집정원을 다 채운 곳은 서울대병원이 유일했다. 절반을 넘긴 곳도 순천향대서울병원, 아주대병원, 전남대병원, 울산대병원 등 4곳에 불과했다.

한정우 세브란스병원 소아혈액종양과 교수는 “개원의가 살면 전공의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의 수련을 마친 의사들은 대학병원 등에 교수로 남지 않는다면 대부분 개원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교수가 되길 희망하는 전공의들도 차선책으로 개원을 염두에 둔다.

소아과 전공의가 늘어나면 소아외과, 소아흉부외과, 소아응급의학, 소아혈액종양 등 소아과 세부 전문의가 늘어날 여지도 생긴다.

전공의의 소아과 지원을 유도하려면 소아 진료의 전문성을 인정해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현재 소아청소년과 뿐 아니라 소아외과, 소아흉부외과, 소아신경외과, 소아응급의학, 소아혈액종양 등 9개 분과가 따로 있을 정도로 소아 진료는 세분화돼 있다. 그만큼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의미다. 한 교수는 "소아 진료의 전문성을 인정해주면 결국 중증 소아 환자가 산다"고 말했다.

특히 소아 중환자는 시시각각 상태가 변하고 생사를 오가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소아외과, 소아혈액종양, 소아심장은 중증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분과다. 충분히 수련을 받은 소아 전문의가 없다면 입원을 해도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하지만 대한소아중환자의학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소아중환자실은 13개 병원(수도권 6개·비수도권 7개)에 불과하고, 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중 4분의1은 소아 중환자를 전담할 수 있는 전문의가 1명도 없다. 소아과 전공의 지원 감소에 따른 전문의 부족, 인력 부족에 따른 근무 여건 악화, 기존 전문의 이탈 등으로 인해 붕괴된 상태다.

대다수 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 조차도 소아 중환자 전담의사 부족 등으로 인해 소아 중환자 진료가 불가능해 환자가 발생하면 소아 중환자실이 있는 몇몇 대학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다. 멀리 제주도에서 소아 중환자를 수도권에 있는 소아 중환자실로 이송하는 경우도 있다.

조중범 대한소아중환자의학회 기획이사(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는 "소아 중환자 진료가 24시간 가능하려면 소아 중환자를 전담하는 5~7명의 의사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소아 중환자 의료 수가 개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소아 중환자실 병상 확보와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키워드뉴스
재밌수다 전기차 구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2시간전 나이들면 운전도 나이상한제가 필요하지요. 상한제 적용 +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동시에 가져가면 도로 사정도 좋아지거니와, 교통여건도 좋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자가용이 많다 -> 대중교통이 불편하다 -> 자가용을 산다 -> 대중교통을 더 안탄다 악순환 고리 끊어야죠~ https://insfiler.com/detail/rt_ta_offender-0002 고령자의 경우 교통사고 가해의 절대건수는 적지만 가해사고의 치사율이 타 연령대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운전도 결국 동체시력, 반응속도 등 운동신경에 기반한 일이니 상한제가 필요함은 당연합니다. 프로선수도 20대의 폼을 유지하지 못해 30대면 대부분 은퇴하고, 40대는 정말 극소수만이 살아남잖아요? 하물며 65세 이상은요.
12시간전 광주보조금괜춘 광주정도면 보조금 괜춘한편임 근데 전기차 가격이 너무 비쌈 출고가만 낮아지면 너도나도 다 살 듯
11시간전 팔면서도 놀라울듯 이 가격에 이렇게 내놔도 이걸 사네? 싶어서
9시간전 kjg8888 세계 지동차 업계가 중동의 눈치를 보고 있어서 아직 내연기관차가 돌아 다니지요!! 원래는 모두 전기차로 바꾸어야 합니다. 내연기관이 필요한 차를 제외한 일반승용 등은 모두 전기차로 바꾸어야 지구의 미래가 있습니다.
4시간전 전기차 진짜 전기차 타본놈들이나 댓글다세요 히터 빵빵하게 틀고 시속 150km 로 고속도로 달려 본놈만 댓글달아라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