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여야 "국회 후쿠시마특위 구성·청문회 개최"뉴시스
- [속보] 여야 "선관위 인사 비리·북한 해킹 은폐 의혹 국정조사"뉴시스
- "이주민 건강권 보장 사회적 시스템 구축 필요"뉴시스
- 김선형, '노인즈' 언급 최준용 도발에 "언제까지 어려?"뉴시스
- 지난해 전국 지역서점 2716곳···2년 전보다 188곳 증가뉴시스
- 30년만에 재탄생 '배트맨의 비밀기지'···"레고로 만난다"뉴시스
- 미국·일본엔 나온 '글로벌 신약'···한국은 4년 더 걸린다뉴시스
- 두산건설, 13개 우수 협력사 포상..."상생협력 동참"뉴시스
- 해군, 국내 첫 '여군' 잠수함 장교 2명 선발···해사 출신 대위뉴시스
- 조권, 취향 가득 담은 新 콘텐츠 '털어보권' 공개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종희 기자 = 유럽연합(EU)이 독일과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를 판매 중지하려는 계획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독일 정부가 요구한 합성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를 예외로 하는 방안을 인정하기로 했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EU와 독일은 내연기관차 퇴출 법안에 대해 합의했다.
EU는 독일 정부의 요구를 반영해 합성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를 탄소중립 연료 차에 포함하기로 했다.
앞서 EU는 지난해 10월 기후 변화를 유발하는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전면 중지하는데 합의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독일은 휘발유와 경유처럼 내연기관을 사용하지만 전기차와 같이 탄소를 덜 배출하는 합성연료를 허용하지 않으면 해당 계획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탈리아, 폴란드 등도 독일의 입장에 힘을 보탰다.
독일, 이탈리아, 폴란드 등 EU 회원국이 내연기관차 퇴출 계획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힌 이유는 일자리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상대적으로 내연기관차보다 적은 인력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는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를 퇴출하는 법안이 시행되면 독일에서만 수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경조했다.
독일 이포 경제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독일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시작된 2013년 이후 일자리가 9% 줄었다고 전했다.
EU는 이르면 25일 내연기관차 퇴출 법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할 예정이다. 반대 입장을 보인 독일과 합의했기 때문에 무난한 통과가 예상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2papers@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4월 호주 무역흑자 9.7조원 달해..."철광석 수출 부진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최대 교역국 중국와 관계 개선을 서두르는 호주의 4월 상품과 서비스 무역수지는 111억5800만 호주달러(약 9조7005억원) 흑자를 기록했다고 ABC 방송과 AAP 통신 등이 8일 보도했다.매체는 호주 연방통계국이 이날 발표한 4월 무역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무역흑자 시장 예상치는 137억 호주달러인데 실제로는 이를 26억 호주달러 가까이 밑돌았다.4월 호주 수출은 전월보다 5.0% 감소하고 수입 경우 1.6% 늘면서 무역흑자가 역대 2번째인 152억6900만 호주달러의 3월보다는 축소했다.수출은 철광석과 금속이 다소 부진한 반면 수입에선 여행 회복이 증가를 주도했다.철광석 수출은 10.4% 줄었고 액화천연가스(LNG) 등 광물 연료 경우 1.9% 늘었다.여행 수출이 13.8% 크게 증가해 올초부터 시작한 관광과 유학생이 회복하고 있음을 보여줬다.4월 관광 관련 수출은 56억 호주달러에 이르러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월평균보다 3억 호주달러 정도 미달하는 수준까지 호전했다.1~4월 대중 수출은 1000억 호주달러를 넘어 작년 동기 8890억 호주달러에 비해 대폭 증대했다.중국은 코로나19와 남중국해, 인권 문제 등으로 외교 관계가 악화한 호주에 대해 2022년 일방적인 수입규제를 발동했다.그간 호주산 철광석와 목재, 석탄, 광산물, 포도주 등에 대한 통제를 가하다가 올해 들어 해제하기 시작했다.1월 중국은 호주산 석탄에 부과한 비공식 수입금지 조치를 사실상 종료해 2020년 이래 처음 통관을 가능하게 했다.중국과 호주는 작년 말 정상회담을 갖고 관계 정상화하기로 합의했으며 4월에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제기한 호주산 보리와 관련한 관세 분쟁을 3개월 내로 해결하기로 했다.최근에는 호주산 목재 금수를 중국이 해제했다.◎공감언론 뉴시스 yjjs@newsis.com
- · 캐나다 산불 여파로 美뉴욕 대기질 '전 세계 최악'
- · 日증시, 주가 과열 우려에 매도 확산···닛케이지수 0.85%↓
- · 日기시다 "北 김정은과 정상회담 조기 실현 노력···납북자 문제 해결 전력"
- · 나토 前사무총장 "폴란드 등, 우크라에 지상군 파병할 수도"
- 1섬진강휴게소 정차중인 고속버스 불···인명피해 없어..
- 2도자기 받침대·약통·안경집에 마약···밀수범 무더기 기소..
- 3이번 주말, 수국 보러갈래? 전남 수국 명소 TOP4..
- 4은행 예금금리 꿈틀하자···반년 만에 최대 증가..
- 5주월동 아파트 앞에 쓰러진 행인 휴대폰 '쓱'...수천만원 훔친..
- 6"현장 또 멈추나"…시멘트값 줄인상 예고 '노심초사'..
- 7"이사비 줄게요" 세입자 유인...중개사·임대인 한패였다..
- 8상반기 청약시장서 10대 건설사 아파트 '톱5' 싹쓸이..
- 9광주 주상복합 상가비율 10%로 완화되나?..
- 10더운날엔 역시 모밀이지! 광주 모밀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