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위중증 339명, 나흘째 '300명대'···사망자 30명뉴시스
- [속보] 신규확진 1만4961명, 금요일 기준 31주 만에 최소뉴시스
- [속보] 중대본 "오늘 확진자 약 1만5000명···중국발 5명 확진"뉴시스
- [속보] 전장연 "13일까지 지하철 탑승 시위 안해···이후 결정"뉴시스
- [속보] 네이버, 지난해 4분기 영업익 3365억···전년비 4.2%↓뉴시스
- 중기장관, 이태원 원스톱지원센터 방문···금융지원 확대뉴시스
- 이종호 과기 장관 "아르헨티나 5G 구축에 韓 기술·기업 관심 부탁"뉴시스
- "독기 품고 나왔다" 펜타곤 후이 '빛나리' 무대에 눈물뉴시스
- [컨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챗GPT가 검색시장 미칠 영향 면밀히 검토" 뉴시스
- 한국씨티은행, 포스코 아르헨티나 소금호수 개발 4.1억달러 지원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JW중외제약·LG화학 다국가 임상 3상 진행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이 글로벌 신약으로 개발 중인 먹는 통풍 치료제로 3조원 규모의 통풍 치료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임상 3상시험에 돌입했다.
JW중외제약은 지난 24일 통풍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파미뉴라드'(코드명 URC102)의 다국가 임상 3상 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승인받았다.
경구제로 개발 중인 에파미뉴라드는 요산 배설 촉진제다. 혈액 내에 요산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통풍질환에 유효한 신약 후보물질이다.
JW중외제약은 한국과 대만, 유럽 국가에서 588명의 통풍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통풍 치료제 페북소스타트와 비교해 유효성(혈중 요산 감소 효과),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대만과 유럽 허가기관에는 각 올해 12월, 내년 상반기 임상시험계획을 제출할 계획이다.
JW중외제약은 글로벌 통풍 신약으로 개발하기 위해 이번 다국가 임상 3상을 결정했다. 지난해 3월 종료한 에파미뉴라드의 국내 임상 2b상에서는 1차와 2차 유효성 평가변수를 모두 충족하고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LG화학은 지난 9월 통풍치료제로 개발 중인 '티굴릭소스타트'(LC350189)의 미국 3상시험 계획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 350명의 고요산혈증 통풍 환자들을 대상으로 티굴릭소스타트의 혈중 요산 강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티굴릭소스타트는 통풍의 주요 원인인 요산을 생성하는 효소 '잔틴 옥시다제'(XO)의 발현을 억제해 요산의 과다 생성을 막는 1일 1회 복용의 경구용 통풍 치료제다. 미국 2상 결과, 1~2차 유효성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했다. 회사는 2027년 이후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과 국내 식약처에도 3상 시험계획을 제출했다.
바람만 스쳐도 극심한 고통이 느껴진다는 통풍은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이다. 식습관의 서구화와 함께 젊은층의 발병률도 크게 늘어 국내에서도 2015년 33만4705명의 환자가 2021년 49만2373명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통풍의 증가는 잦은 음주, 불규칙한 식습관과 관련이 깊다. 통풍은 우리 몸에 생성된 요산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관절 부근에 쌓이면서 윤활막과 연골, 주위 조직에 염증·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기적인 육류 섭취나 과음, 과식 등이 원인이다. 최근엔 10~30대 등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병하는 추세다.
치료제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약 3조원 규모인 글로벌 통풍 치료제 시장이 2025년에는 약 10조원(83억 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번 발병하면 완치하기 힘든 만성질환이지만 부작용을 동반하는 등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JW중외제약 관계자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 좋은 통풍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매우 크다"며 "전 세계 통풍 환자들에게 에파미뉴라드가 공급될 수 있도록 임상 3상을 차질 없이 진행하면서 글로벌 진출 기회를 다각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식약처, 농수산물 유해물질 잔류실태 조사···안전관리 강화 기사내용 요약농약·동물용 의약품 등 잔류실태 조사 실시상추·사과 등 섭취량 상위 농산물 1000건 대상새우·장어 양식어종 비롯해 낚시터 어류 포함[서울=뉴시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유통 농·수산물의 선제적 안전관리를 위해 잔류할 가능성이 높은 농약, 동물용의약품 등 유해물질의 잔류실태 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식약처 전경. (사진=식약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유통 농·수산물의 선제적 안전관리를 위해 잔류할 가능성이 높은 농약, 동물용 의약품 등 유해물질의 잔류 실태를 조사한다고 3일 밝혔다.이번 조사 대상은 마트, 온라인쇼핑몰 등에서 유통되는 농·수산물 중 ▲상추·사과 등 섭취량 상위 농산물 1000건 ▲곶감·깐밤 등 가열·조리하지 않거나 세척하지 않고 바로 섭취할 가능성 있는 농산물 425건 ▲새우·장어 등 주요 양식어종 250건 ▲낚시터에 방류되는 어류 70건이다.농산물은 현재 일상 검사항목에서 제외돼 있어 잔류실태 조사가 필요한 농약 2종을 검사하고,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농산물은 장출혈성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식중독균 오염도를 조사한다.수산물은 동물용의약품 160종과 말라카이트그린 등 사용금지 물질 10종을 검사하고, 낚시터에 방류되는 어류의 경우 중금속(납, 카드뮴 등)에 대한 분석도 실시한다.검사 결과 부적합으로 판정된 농·수산물은 유통되지 않도록 관계부처와 관할 지자체에 신속히 통보해 판매금지·회수·폐기 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법 개정, 일상검사 관리 항목 선정, 위해평가 등 농·수산물 안전관리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유통 농·수산물에 대한 사전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며 “소비자가 안심하고 안전한 농·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 · 삼진제약, 아리바이오와 치매치료제 국내 임상 3상 진행
- · SK바이오사이언스, MSCI ESG 평가 'BBB'로 두 단계 상승
- · 칼바람에 건조한 눈···"콘택트 렌즈보다 안경 착용해야"
- · 최태원 회장도 주목한 '배양육'···우리 밥상 앞으로 성큼
- 1로또 '일등 세번' 앞서 '경품 당첨' 있었다···광주지역 '줄..
- 2노을·은하수 감상에 바베큐 파티까지! 10만원대 오션뷰 글램핑..
- 3아파트값 5주째 낙폭 축소···"이제 집 사도 될까요" 매수문의..
- 4"월급만으로는 못버텨요"...불경기에 부업하는 직장인들..
- 5K8, '그랜저' 신기록에도 꿋꿋한 판매량···비결은?..
- 6광주은행"지역 청년에게 연 20만원 문화복지비 드려요"..
- 7제한급수 시 광주천·용지 물로 불 끈다..
- 8타 지자체 BRT '훨훨'···광주는?..
- 9미 연준 속도조절...대출금리 영향은 ..
- 10광주시 "일자리 경험하세요"···드림청년 470명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