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사 "마마무 롤모델은 에픽하이"뉴시스
- 뉴질랜드 오클랜드 기록적 폭우 3명 사망·1명 실종··· 3500가구 정전 후 복구(종합)뉴시스
- 테이, 압도적 크기 밥그릇 등장···매니저와 '전투 먹방'뉴시스
- 류승수·김호영, 여행 중 '첫 먹뱉 사고'···왜?뉴시스
- 포항 한 공장서 크레인에 달린 철판 떨어져 50대 남성 숨져뉴시스
- 英국방부 "러 마키이우카 사상자 수 발표 허위···실제로는 300명 이상"뉴시스
- 이재명, 조사 마치고 조서열람 시작···검찰은 2차 출석 요구뉴시스
- 철부지 재벌 3세 손나은, '승계 전쟁' 선포···'대행사'뉴시스
- 이탈리아 멜로니 총리 "伊 외교시설, 독일·스페인서 '반달리즘' 타깃 돼"뉴시스
- [속보]중앙지검 "이재명 추가 조사 필요···2차 출석 요구"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신규 확진자 수, 사흘 연속 1주 전보다 늘어
사망자 55명, 사흘째 50명대…위중증 453명
동절기 접종 4.9%…전날 10만7722명 참여해

[서울=뉴시스] 김남희 기자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흘 연속 전주 대비 증가세로 나타나면서 겨울철 재유행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5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5만3698명이며 누적 확진자는 2683만7840명이 됐다.
신규 확진자 수는 1주 전(4만9418명)보다 4280명 늘어나며 사흘 연속 전주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전날(5만9089명)보다는 5391명 감소했다.
확진자 중 국내발생은 5만3659명, 해외유입은 39명이다. 공항·항만 등 검역 단계에서 걸러진 사례는 22명이다. 38명은 내국인, 1명은 외국인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1만684명, 경기 1만4786명, 인천 3100명 등 수도권에서 2만8570명(53.2%)이 발생했다.
비수도권에서는 강원 1744명, 충북 1632명, 충남 2209명, 대전 1765명, 세종 444명, 경북 2821명, 대구 2302명, 경남 2915명, 울산 903명, 부산 3172명, 전북 1709명, 전남 1477명, 광주 1662명, 제주 351명 등 2만5106명(46.8%)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55명으로 사흘째 50명대다. 누적 사망자 수는 3만278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사망자는 50명이다.
입원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전날보다 16명 늘어난 453명이며, 7일 연속 400명대다. 주간 일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451명이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31.9%로 전체 1581개 중 1076개가 비어 있다. 감염병전담병원 중등증 병상 가동률은 24.5%로 1907개 중 1440개가 사용 가능하다.
정부는 코로나19 유행 증가에 따라 20만명 확진에 대비해 치료 병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오전 중대본 회의를 열고 "치료 역량이 우수한 병원에 중증 병상을 추가 지정하는 등 일 확진자 20만명에도 대응 가능한 병상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10만7722명이 동절기 백신을 추가로 접종했다. 동절기 누적 접종자는 252만5249명이다.
동절기 개량백신 접종률은 전날과 같은 4.9%이다. 접종 간격이 4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되면서 접종 대상자인 모수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고령층 중에서는 60대의 10.9%, 70대의 20.5%, 80세 이상의 19.4%가 추가접종에 참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a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설 여파' 확진자 이틀째 전주 比 증가···내주 마스크 완화(종합) 기사내용 요약3만1711명 확진, 1주 전보다 4303명 늘어중증 환자 481명…중환자실 가동률 27%사망 36명 모두 고령층…80대 이상 22명[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지난 24일 오후 서울역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2023.01.27. ks@newsis.com[서울·세종=뉴시스]이연희 권지원 기자 = 목요일이었던 지난 26일 하루 전국에서 3만1711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됐다. 설 연휴 영향으로 확진자 수는 이틀째 증가했다.다음주 월요일인 30일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부분 해제된다. 의료기관과 대중교통 등에서는 착용 의무가 유지되며, 정부는 의무가 해제된 공간에서도 고위험군과 감염 위험이 높은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의 경우 마스크 착용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27일 0시 기준 3만1711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는 3010만7363명이다.일일 확진자는 전날(3만5096명)보다 3385명 감소했다. 1주 전 금요일인 지난 20일(2만7408명)보다는 4303명 늘어, 이틀째 전주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같은 증가세는 설 연휴 기간 늘어난 대면 접촉과 대규모 이동의 영향으로 풀이된다.최근 4주간 금요일 기준 확진자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6일 5만6935명→13일 3만9707명→20일 2만7408명으로 감소세를 유지하다 최근 1주 새 증가했다.지역별 확진자를 살펴보면 서울 5081명, 인천 1735명, 경기 7836명 등 수도권에서 1만4652명(46.2%)이 확진됐다.비수도권에서는 총 17052명(53.8%)의 확진자가 나왔다. 부산 2234명, 대구 1599명, 광주 1082명, 대전 892명, 울산 834명, 세종 245명, 강원 821명, 충북 1050명, 충남 1344명, 전북 1244명, 전남 1141명, 경북 1865명, 경남 2189명, 제주 512명 등이다.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 사례는 3만1662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49명으로 나타났다. 해외 유입자 중 7명은 공항·항만 등 검역 단계에서 걸러졌다.해외유입 확진자 중 20명(40.8%)은 중국에서 들어온 입국자로 나타났다. 공항 내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 외에도 입국 후 1일 이내 보건소 등에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은 장기체류 외국인·내국인 사례가 포함돼 있다.전날 중국에서 들어온 입국자 1533명 중 공항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은 307명으로 이 중 21명(6.8%)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누적 양성률은 10.4%로 감소세가 이어졌다.[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2023.01.27. dahora83@newsis.com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36명 늘어 누적 사망자는 3만3332명이다. 이날 사망자는 모두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80대 이상 22명, 70대에서 10명, 60대에서 4명이 숨졌다. 전체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뜻하는 치명률은 0.11%를 유지했다.입원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481명으로 10일째 400명대를 기록했다. 이중 422명(87.7%)이 고령층이다. 신규 입원 환자수는 전날보다 22명 늘어난 134명으로 이틀째 세 자릿수를 보였다.전날 오후 기준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27%로, 1565개 병상 중 1142개가 비어있다. 감염병 전담병원 중등증 병상수는 1565개 중 1390개(11.2%)가 사용 가능하다.전날 2가 백신을 활용한 동절기 추가접종에는 2만3261명이 참여했다. 전체인구 대비 접종률은 12.8%이다. 대상자 대비 접종률로는 12세 이상은 14.8%, 18세 이상 성인 15.2%가 맞았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은 34.6%, 감염 취약시설은 62.0%, 면역저하자 29.5%의 접종률을 보였다.겨울철 재유행이 안정세를 유지한 만큼 정부는 지정병상을 5800여 개에서 3900여 개로 단계적으로 감축하기로 했다.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하루 14만 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때에도 대응 가능한 규모"라며 "중증 및 준중증 환자 치료 역량이 우수한 병원에 대해서는 지정 병상을 유지해 중환자 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오는 30일부터는 의료기관과 약국,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을 제외한 실내 공간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고 '권고'로 전환된다.조 1차장은 "밀접·밀집·밀폐 등 3밀 환경에 있거나 고위험군인 경우에는 실내에서 가급적 마스크를 착용해 달라"고 당부했다.◎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leakwon@newsis.com
- · 2만7408명 확진, 확연한 안정세···마스크 30일 부분해제(종합)
- · 유행 전주대비 27.5% 감소···위험도는 12주째 '중간'(종합)
- · 주간 확진 전주대비 27.5% 감소···위험도는 12주째 '중간'
- · 3만6908명 확진, 안정화 양상···마스크 완화 시점 20일 발표(종합)
- 1[뭉칫돈 어디로①]은행 예적금이 빠진다..
- 2전세계 금리인상 종료 움직임...우리나라도 중단?..
- 3아파트도 안 팔리는데···빌라왕 직격탄에 거래 '뚝'..
- 4광주·전남 최고 5㎝ 눈 더 내린다···영하 10도 맹추위 지속..
- 5김승현 아내 장정윤, 시어머니에게 일침···"승부는 승부, 수법..
- 6[분양캘린더]2월 첫째 주 전국 107가구 분양···견본주택 2..
- 7가스요금 동결했지만···1년새 38% 껑충·한파에 대란..
- 8'난방비 부담 줄인다' 광주시 국·시비 340억 규모 지원책 추..
- 9최강 한파 속 광주시 에너지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 확대(종합)..
- 10한파에 車보험 긴급출동 폭증···배터리 방전 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