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학동 재개발 4구역, 이르면 내년 3월 해체 공사 완료

입력 2022.11.07. 13:00 댓글 0개

기사내용 요약

지난해 6월 중단 이후 1년 5개월 만에 공사 재개

전체 110개 동 중 신고 대상 68개 우선 해체 예정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7일 오전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정비 4구역에서 단독 주택 해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해체 공사는 지난해 6월 9일 발생한 철거 건축물 붕괴 참사로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친 뒤 약 1년 5개월 만에 재개됐다. 2022.11.07.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이영주 기자 =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정비 4구역 내 잔여 건축물 해체 공사가 내년 3월 마무리를 목표로 중단 1년 5개월 만에 재개됐다.

7일 동구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학동 901-145번지 내 목조 단독 주택(단층·29.09㎡) 해체 공사를 시작으로 재개발 정비 4구역 잔여 건축물 해체 공사가 재개됐다.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현산)은 이날 단독 주택 해체를 시작으로 해체 대상 건물 110개 동에 대한 본격적인 해체 공사에 들어갔다.

현재 해체 대상 110개 동 중 신고 만으로 당장 해체를 진행할 수 있는 건물은 68개 동(2층 이하 저층 건물)으로 파악됐다. 이중 지난해 6월 공사 중단 직전까지 해체 공사가 진행 중이었던 38개 동을 대상으로 해체 공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별도 해체 허가가 필요한 3층 이상 건물 42개 동에 대해서도 관련 서류가 준비되거나 소송이 마무리되면 해체 공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 밖에 8개 동은 해체 인·허가 절차가 필요한 상황이다.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7일 오전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정비 4구역에서 단독 주택 해체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해체 공사는 지난해 6월 9일 발생한 철거 건축물 붕괴 참사로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친 뒤 약 1년 5개월 만에 재개됐다. 2022.11.07. leeyj2578@newsis.com

현산은 1~2차로 나눠 해체공사를 진행한다. 전체 110개 동 중 100~105개 건축물을 1차 대상으로 지정, 우선 해체 공사를 진행한다. 소송 등이 얽힌 건축물은 1차 공사를 마친 뒤 소송 결과 등을 보고 재개할 예정이다.

현산과 동구는 재개발 4구역 내 모든 해체 공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을 내년 3월로 예상하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현장에 이미 상주감리자가 배치돼 전체적인 해체 공정을 살피고 있다. 해체 공사 주체가 누군지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재하도급에 대한 우려도 없앨 것"이라며 "안전관리자도 추가 배치해 미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현산 관계자도 "1년 5개월 만에 재개되는 해체 공사인 만큼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정하고 있다"며 "비슷한 재해나 사고가 생기지 않도록 안전한 공정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학동 재개발 정비 4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은 2017년부터 학동 633-3번지 일대 12만 6433㎡에 지하 3층, 지상 29층, 19개 동, 2314세대 규모로 추진 중이다.

지난해 6월 9일 오후 4시 22분께 학동 4구역 재개발 철거 현장에서 무너진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이 승강장에 정차 중인 시내버스를 덮쳐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쳤다.

◎공감언론 뉴시스 leeyj2578@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
재밌수다 시민 70% 원정쇼핑 이유는 무엇?
6시간전 요즘먹자골목가봐 필수재 이야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동네 술집이나 빵집가봐라 쿠팡 로켓배송 프레쉬백이 가게앞에 놓여있음 그말인 즉슨 필수재사러 식자재마트 포함 오프라인 쇼핑을 안간다는 거임 식자재마트도 기호재로 가기 직전임 갈수록 심화될꺼임
4시간전 명품재래시장 명품재래시장이 있는데 저런거 뭐하로 만듭니까? 값만 비싸고 살것도 없드만
4시간전 뭐 있겠나 걍 놀러 가는것이제 혹은 근처 가는김에 한 번 들러본다던가
3시간전 ㅎㅎ 값만 비싼것만 사러가는사람이 있고 명품재래시장만 가는 사람이 있음ㅎㅎ
2시간전 얼른 짓고 다른 고민하자 음악으로 비유해 보겠습니다 국악, 트로트, 클래식, 팝, 등 여러장르가 있습니다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전통시장, 복합쇼핑몰, 편의점, 마트 등 다양합니다 복합쇼핑몰 반대는 과거에 일본문화 들어오지 마라고 머리띠 두를 것과 다름없습니다 기존 상권 지키자고 트랜드를 막을 수는 없지요 기존 상권은 법적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맞다 싶습니다
재밌수다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