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2년 연속 기적은 없었다···PO 기회도 없이 강등뉴시스
- ['혐오'로 쪼개진 사회 上] '집게 손가락'이 뭐라고··· 게임업계 '발칵'뉴시스
- "풋풋하다"···이민정, 추억 사진 공개[★핫픽]뉴시스
- 강원 승강PO 이끈 정경호 코치 "수원 강등, 안타까운 일"뉴시스
- 유키카, 시티팝은 계속됩니다···韓日 80~90년대 리메이크뉴시스
- 김진표, 자승 스님 조문···"극락왕생 기원"뉴시스
- 르세라핌, '퍼펙트 나이트' 스포티파이 6천만 스밍 돌파뉴시스
- 대구 서구 구립도서관, 연말 맞이 풍성한 문화행사 추진뉴시스
- '마레이 더블더블' 프로농구 LG, 선두 DB 격파뉴시스
- 김 여사 명품 수수 의혹에 민주 "대통령실 반환 선물 창고 공개해야"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광주시, 생태·체험·문화공간 조성 활용 방안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한 민·관·정위원회가 옛 신양파크호텔 활용 방안을 놓고 다시한번 머리를 맞댔다.
참석자들은 건물의 존치나 철거 여부를 떠나 무등산 난개발을 방지하자는 위원회 본래의 취지를 살려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민·관·정위원회는 2일 오후 광주시의회에서 회의를 열고 옛 신양파크호텔 활용 방안 등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는 건물의 존치나 철거 여부를 떠나 무등산 난개발을 막자는 시민들의 뜻과 위원회 구성의 본래 목적을 상기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참석자들 또한 이 의견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시는 해당 부지에 무등산 생태계 보존을 전제로 한 생태·체험·문화공간을 조성, 시민들에게 열린공간으로 제공하자는 취지의 활용 방안을 갖고 있다.
옛 신양파크호텔 건물은 호텔전용(89실) 건축물로 타 용도로 리모델링 할 경우 기능적 역할 수행에 제한적인 만큼 숲·산책로·수목원·생태체험 캠핑장·자연체험장·생태학습원·야외공연장 등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개방하자는 의미다.
1981년 무등산 장원봉 인근 1만6000㎡에 3성급 호텔로 들어선 신양파크호텔은 국내외 귀빈들이 주로 묵는 광주의 대표 호텔이었다.
시설 노후화와 수익 악화로 영업이 중단됐으며, 업체(컨소시엄) 측은 호텔부지를 포함해 2만5800㎡에 지하 3층·지상 4층 6개동 80여가구 규모의 고급 빌라를 지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 곳곳에서 난개발을 이유로 거세게 반발했으며, 공유화 여론이 높아지자 시는 담화문을 통해 부지 매입 방침을 확정·발표한 뒤 각계 전문가로 민·관·정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공동주택 개발계획을 철회하고 시에 부지를 매각하도록 사업자를 설득하는 한편 30여 차례 논의와 토론을 통해 호텔 부지 활용방안을 찾아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persevere9@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겨울철 몸과 마음을 녹여주는 곳! 전남 온천 스팟 BEST 4..
- 2'무순위 청약' 알음알음 아는 사람만···정보 비대칭 논란[집피..
- 35대 은행 가계대출 한 달 새 4.4조↑···주담대 5조 급증..
- 4경남도 '지역산업 균형발전 유공' 기업 2곳·개인 2명 포상 전..
- 5주유소 기름값 8주 연속 하락···휘발유 1500원대 '코앞'..
- 6롯데월드 부산, 낙동강하구서 '철새 먹이주기' 행사..
- 7박일호 밀양시장, 총선 출마선언···사임 통지서 제출..
- 8염동헌, 오늘 사망 1주기···'서울의 봄' 개봉 못 보고 떠났..
- 9해운대 아시아선수촌공원과 노을공원 내년 3월 새단장..
- 10김종욱 해양경찰청장, 남해안 민생접점 치안현장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