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옛 신양파크 활용 방안 논의기구 "무등산 난개발 방지 취지 살리자"

입력 2022.11.02. 17:43 댓글 2개

기사내용 요약

광주시, 생태·체험·문화공간 조성 활용 방안

[광주=뉴시스]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달 25일 오후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한 민·관·정위원회 15차 본회의에 참석, 옛 신양파크호텔 공유화사업과 관련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 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무등산 난개발 방지를 위한 민·관·정위원회가 옛 신양파크호텔 활용 방안을 놓고 다시한번 머리를 맞댔다.

참석자들은 건물의 존치나 철거 여부를 떠나 무등산 난개발을 방지하자는 위원회 본래의 취지를 살려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민·관·정위원회는 2일 오후 광주시의회에서 회의를 열고 옛 신양파크호텔 활용 방안 등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는 건물의 존치나 철거 여부를 떠나 무등산 난개발을 막자는 시민들의 뜻과 위원회 구성의 본래 목적을 상기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참석자들 또한 이 의견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시는 해당 부지에 무등산 생태계 보존을 전제로 한 생태·체험·문화공간을 조성, 시민들에게 열린공간으로 제공하자는 취지의 활용 방안을 갖고 있다.

옛 신양파크호텔 건물은 호텔전용(89실) 건축물로 타 용도로 리모델링 할 경우 기능적 역할 수행에 제한적인 만큼 숲·산책로·수목원·생태체험 캠핑장·자연체험장·생태학습원·야외공연장 등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개방하자는 의미다.

1981년 무등산 장원봉 인근 1만6000㎡에 3성급 호텔로 들어선 신양파크호텔은 국내외 귀빈들이 주로 묵는 광주의 대표 호텔이었다.

시설 노후화와 수익 악화로 영업이 중단됐으며, 업체(컨소시엄) 측은 호텔부지를 포함해 2만5800㎡에 지하 3층·지상 4층 6개동 80여가구 규모의 고급 빌라를 지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 곳곳에서 난개발을 이유로 거세게 반발했으며, 공유화 여론이 높아지자 시는 담화문을 통해 부지 매입 방침을 확정·발표한 뒤 각계 전문가로 민·관·정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공동주택 개발계획을 철회하고 시에 부지를 매각하도록 사업자를 설득하는 한편 30여 차례 논의와 토론을 통해 호텔 부지 활용방안을 찾아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persevere9@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2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