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정부 셧다운 '초읽기'···하원의장 주도 임시예산안 부결뉴시스
- 박명수 "아이유, 갈비 보내줘"···8년째 명절 선물뉴시스
- 괴산 하천서 낚시하던 60대 물에 빠져 숨져뉴시스
- 패스트푸드점으로 승용차 돌진···5명 부상뉴시스
- 귀순배우 김혜영 "세번 이혼"···사업 실패까지뉴시스
- 교황, 새 추기경 21명 서임···말레이·남수단 첫 배출뉴시스
- [녹유 오늘의 운세] 00년생 어른 말이 정답 고분고분 따라가요뉴시스
- 北 역도 강현경 "조선의 전통은 승리의 전통"···AG서 세계 新(종합)뉴시스
- 중국, 美 정보조작 보고서에 반발···"미국은 거짓말 제국"뉴시스
- 롤러 정병희 금빛 질주·다이빙 우하람 9번째 메달···金 27개(종합)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광주 585명·전남 686명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광주·전남 지역 코로나19 감소세가 지속하고 있다.
2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 광주에서는 585명(해외 유입 8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사망은 1명(누계 662명), 위중증환자는 6명으로 집계됐다.
광주 지역 일자별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달 27일 1020명, 28일 747명, 29일 651명, 30일 618명 등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월 광주에서는 11만7297명이, 지난 달에는 4만1099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은 지난 1일 기준 48.8명이다.
전남에서는 전날 686명(해외 유입 3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사망은 3명(누계 712명), 위중증환자는 20명으로 집계됐다.
지역 별로는 목포 81명, 여수 89명, 순천 151명, 나주 47명, 광양 51명, 담양 16명, 곡성 10명, 구례 10명, 고흥 18명, 보성 10명, 화순 29명, 장흥 14명, 강진 2명, 해남 10명, 영암 11명, 무안 56명, 함평 9명, 영광 38명, 장성 15명, 완도 12명, 진도 3명, 신안 4명이다.
전남에서는 지난 달 27일 999명, 28일 909명, 29일 813명, 30일 72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난 8월에는 13만8398명이, 지난 달에는 4만739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은 44.0명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persevere9@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주일 1만명 돌파···광주 코로나 급증세에 관계 당국 '긴장' 2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월 3주차(7월18일~24일) 주간 일 평균 확진자는 3만8천809명으로 직전 주 일 평균 2만7천955명과 비교해 38.8% 증가했다. 당국은 국내외 유행과 방역 상황을 고려해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뉴시스 광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1만명을 넘어서며 확산세가 심상찮다. 특히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질 수 있어 관계 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다.26일 광주시에 따르면 최근 1주일(19~25일) 동안 코로나19 확진자는 1만348명으로 지난주(7천412명) 대비 39.6% 늘었다.주간 확진자 1만명이 넘어선 것은 지난 1월 이후 6개월 만이다.일평균 확진자도 며칠 사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9일 1천521명이던 확진자는 20일 1천396명, 21일 1천600명, 22일 1천605명, 23일 614명, 24일 1천419명으로 주말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1천명대 중반을 유지하다가 25일 2천193명으로 폭증했다. 2천명대 진입은 지난 1월4일 2천282명 이후 6개월 만이다.확진자 1명의 감염 전파력을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는 1.16명으로 1명 이상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중환자 전담 치료 병상 가동률은 63.6%, 주간 치명률은 0.01%로 아직 안정적인 상황이다.전남 또한 마찬가지로 증가세다.지난주까지 1천명대 중반을 유지하던 전남도는 지난 24일 2천137명, 25일 2천451명으로 2천명대로 올라섰다. 그러면서 주간 확진자는 1만2천650명이다.전국적으로도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지난 2~6월 하루 1만~2만명대였던 코로나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이달 들어 연일 3만명을 오르내리고 있다.이 같은 확산세는 본격 휴가철을 맞아 이동량이 증가하면서 밀접접촉 빈도 또한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격리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으로 바뀌면서 전파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내달 초부터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추가 완화될 전망인데다 본격적인 휴가 성수기에 접어들 예정이어서 감염 확산세를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마스크 착용 의무를 모든 실내에서 해제하고 확진자 수 집계를 중단하는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 2단계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이에 더해 계절성 독감도 유행하고 있어 관계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통상 계절성 독감은 겨울철에 정점을 찍고 이후 하락하는 특성을 보이지만, 올 여름까지도 독감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광주시 관계자는 "마스크 착용과 격리 의무 해제, 휴가철 밀접 접촉 등으로 당분간 증가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며 "손 씻기와 기침 예절, 주기적 환기 등 일상생활 속 예방수칙을 적극 준수해달라"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1'연인의 집착 너무 싫어' 1위···남성 "휴대폰 검사", 여성..
- 2이경규 "곰장어 먹다가 위궤양 과다출혈로 응급실行···죽을 뻔했..
- 3견본주택 관람엔 나름의 법칙이 있다[집피지기]..
- 4"청년·신혼부부 전남 정착하면 1만원 주택에 산다"···파격 지..
- 5장성서 교통사고··· 전소 차량 운전자 사라져..
- 6곡성서 노동자 142명 배달음식 먹고 식중독 증세..
- 7"고금리 부담 커진다"···월소득 300만원 이상 채무조정자 급..
- 8'가짜석유' 적발 지속되는데···단속 인력 171명 불과..
- 9분양가 1년새 12.5% 올라···분상제 단지 청약경쟁률 '고공..
- 10변진섭 "회사 취직하려다 1집 대박···전성기 때 모든 광고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