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이준석,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전자 접수뉴시스
- [속보] 尹 "홍수 예·경보시스템 구축 피해 최소화···물 잡는 지하터널도 논의"뉴시스
- [속보] KT, 2분기 영업익 4592억원···전년비 3.5%↓뉴시스
- [속보] 7월 중국 소비자물가↑ 2.7% 생산자물가 4.2%↑뉴시스
- [속보] 尹 "과거 방식으론 재난 대응안돼...최악 염두해 대응해야"뉴시스
- [속보] 尹 "취약계층 안전해야 대한민국 안전...일상 신속 회복 지원"뉴시스
- [속보] 尹 "2차피해 예방 가장 중요...지자체 예산 인력 신속 지원"뉴시스
- [속보] 코로나 위중증 402명···사망 50명 '80일만 최다'뉴시스
- [속보] 중대본 "오늘 신규 확진 15만명, 위중증 400명 넘어"뉴시스
- [속보] 중대본 "코로나 전보다 우울위험 5배, 자살생각 3배 증가"뉴시스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재무·비재무적 성과와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노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한 2021년 그룹 통합보고서 ‘가마솥(GAMASOT)’을 발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세 번째로 발행된 그룹 통합보고서는 동아쏘시오그룹의 경영철학과 주요 성과, 공유 가치창출(CSV) 활동, 그룹사별 성과와 미래를 향한 가치 투자를 사회책임경영의 지향점으로 수립했다.
특히 사회책임경영 활동과 더불어 전 그룹사 온실가스 배출량 제3자 검증 및 검증범위를 Scope3까지 확대하며 지속적인 친환경 활동 성과를 수록했다.
또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그룹 안전 관리 체계 정비 및 전사적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 사회책임경영을 위한 국제표준인 ISO 26000 기준을 접목했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활동 등을 통해 경제 사회적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공유가치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그룹 통합보고서인 ‘가마솥’은 매년 발행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시스 기사제공.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
코로나 확산에 감기약 매출 껑충···못 웃는 제약사들 기사내용 요약감기약·해열제 판매 큰 폭 증가"많이 팔수록 약값 깎는 제도로 장기적 손해 우려"[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코로나19 확산에 이어 여름청 냉방으로 인한 감기 등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8일 오전 서울시내 한 약국에 감기약 판매 안내문이 붙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타이레놀과 판피린 등 감기약·해열진통제 품귀 현상을 막기 위해 8일부터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을 운영한다. 2022.08.08. jhope@newsis.com[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올 3월 코로나19 환자 급증과 최근 재확산이 이어지면서 감기약, 진해거담제 등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10일 제약업계의 실적 발표에 따르면 동아제약의 마시는 감기약 ‘판피린’은 올 2분기에 전년 동기(86억원) 대비 48.6% 증가한 127억원을 기록했다.동아제약의 어린이 해열제·감기약 ‘챔프’는 2분기 3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11억원) 보다 228.3%나 성장했다.국내 대표 진해거담제 유한양행 ‘코푸’도 매출이 3배 가까이 뛰었다. 코푸시럽·정의 올 상반기 매출은 152억원으로, 전년 동기 52억원보다 190.5% 증가했다.코푸는 올해 1분기에 79억원, 2분기에 73억원을 기록했다. 각 전년 동기보다 235.1%, 154.2% 증가한 수치다.삼일제약의 어린이 해열제 ‘어린이부루펜시럽’은 상반기에 39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부루펜 시럽의 전년 매출액은 약 28억원으로 상반기 매출이 작년 연간 매출액을 넘어섰다.이 같은 성장에도 제약업계는 마냥 웃지 못하는 실정이다.이들 의약품 중 국가 건강보험 적용을 받는 의약품(주로 전문의약품)은 많이 팔수록 약값을 깎는 ‘사용량 약가연동제’ 적용을 받아서다. 정부는 올 상반기 재택치료로 판매량이 늘어난 호흡기 치료제에 대해 사용량 약가연동제를 통한 내년도 약가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제약업계는 코로나19란 한시적이고 특수한 상황 때문에 장기적으로 약값이 깎여 손해를 봐선 안 된다고 피력하고 있다. 한 번 깎인 건보 약값은 실상 다시 올리기 어렵다.특히 제약사가 사용량 약가연동제 손실을 피하기 위해 해당 전문의약품 제조를 줄이고 일반의약품 제조를 늘리는 상황은 감기약 수급난을 가중시킨다.제약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상황에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밤낮 공장을 돌렸는데 약값 인하라는 패널티가 적용된다면 추후 정부의 생산 독려에도 동기 부여가 안 될 것이다”며 “수급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특수한 상황에는 한시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 · 휴테크 안마의자, 전자랜드와 추석 맞이 특별 프로모션
- · 전북대병원,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서 '1등급' 획득
- · 전량 수입 의료용 동위원소 '루테튬-177' 순수 국내기술로 탄생
- · 광동제약, GSK 4가 독감백신 '플루아릭스' 유통 시작
댓글0
0/300
많이본 뉴스
- 1'시세의 80% 수준' 선운2지구 1089호 모집..
- 2광주 가구당 월 254만원 쓰는데 '이렇게' 절약해볼까?..
- 3'강남 물난리' 럭셔리 침수차 쏟아진다...올 가을 중고차 매물..
- 4보금자리론 최대 0.35%p 내린다···연말까지 4.25~4.5..
- 5삼성전자 다시 5만전자로?···매수 기회일까..
- 6[Q&A]안심전환대출 23만~35만명 혜택...어떻게 누가 받나..
- 7"집값하락기 때 보증금 떼일라"···오피스텔도 월세가 강세..
- 8"잔소리 싫어" 모친에 흉기 휘둘러 사망케한 40대..
- 9입맛 되찾는 '매콤 볶음요리' 맛집 3곳..
- 10나주서 변압기 제조업체 직원 감전···병원 치료 중..
키워드뉴스
댓글많은 광주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