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與 "금융당국, 프리 워크아웃 선언 소상공인 지원 적극 강구"뉴시스
- [속보] 與 "은행별 예대금리차 분기→월별 단축 통합공시 금융당국에 요청"뉴시스
- [속보] 당국 "원숭이두창 첫 환자 건강 양호···추가 전파 없어"뉴시스
- [속보] '故 이예람 중사' 특검, 공군본부 등 압수수색뉴시스
- [속보] 당국 "해외유입 확진 계속 늘 것···입국 체계는 유지"뉴시스
- [속보] 당국 "유행 감소세 한계···재유행 시작 판단 일러"뉴시스
- [속보] 당국 "원숭이두창 자발 신고 중요···숨으면 위험 커져"뉴시스
- [속보] 美유행 오미크론 변이 101건 늘어···'남아공발' 154건 추가뉴시스
- [속보] 코로나 위험도 6주째 낮음···감염지수 13주 연속 1 미만뉴시스
- [속보] 코로나 신규 확진 9896명···위중증 62명·사망 5명뉴시스
기사내용 요약
마르코스 당선인과 통화 "양국 우정의 건설자·지지자·촉진자"

[서울=뉴시스]이지예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8일 필리핀의 페르디난드 봉봉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 당선인에게 필리핀 경제·사회 발전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마르코스 당선인과 전화통화를 하고 양국 관계와 지역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시 주석은 마르코스 당선인이 양국 관계 발전에 참여하며 이를 지켜봤다며, 그를 '중국·필리핀 우정의 건설자이자 지지자, 촉진자'라고 칭했다.
그는 중국과 필리핀이 그동안 우호 관계를 지키며 공동 발전을 위해 협력했다면서 "중국은 늘 그랬듯 필리핀의 경제 사회 발전에 적극적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필리핀이 계속해서 독립적 외교정책을 추구하길 바란다며 지역·국제 문제에 대한 전략적 소통과 협의를 강화하자고 했다.
마르코스 당선인은 1965~1986년 필리핀을 장기 통치한 독재자 마르코스의 아들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z@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뉴시스 기사제공.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
가스탱크 추락 '폭발' ···항구 뒤덮은 유독 가스(영상) 27일 요르단 남부 아카바 항구에서 독성 염소가스가 누출돼 최소 11명이 죽고 250명이 부상 당했다. 출처: Twitter @IntelDoge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김광원 기자 = 요르단 남부 아카바 항구에서 독성 염소가스가 누출돼 최소 11명이 죽고 250명이 부상 당했다.27일(현지시간) CNN·AP통신 등에 따르면 요르단 당국은 화학물질이 담긴 가스탱크를 선적하던 중 크레인이 고장 나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CCTV 영상엔 공중으로 들어 올린 가스탱크가 갑자기 선박 위로 추락하면서 폭발, 샛노란 가스 구름이 항구를 뒤덮고 놀란 사람들이 황급히 달아나는 장면이 담겼다.요르단 국영미디어는 화학물질에 노출된 199명이 지역 병원에서 치료 중이며 위독한 사람도 있는 것으로 보도했다.염소는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 소독용으로 쓰인다. 정상온도에서 황록색을 띠고 대개 압축·냉각 상태로 저장, 수송된다.염소를 흡입하거나 피부에 접촉하면 수분과 반응해 신체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酸)으로 변한다. 일정량 이상을 흡입하면 폐에 액체로 쌓여 생명을 위협하는 폐부종을 일으킨다.당국은 항구에서 16km 거리에 있는 아카바시 주민들에게 외출을 자제하고 창문과 문을 닫으라고 경고했다.7km 거리에 있는 유명한 관광지인 아카바 남쪽 해변도 예방조치로 출입이 금지됐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민방위국은 유독가스 정화작업을 위해 특수 팀을 항구로 급파했다.비쉬어 알 카소네 수상은 비행기로 아카바로 날아갔고 내무장관에게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다.아카바 항구 부감독은 알마말라카 TV에 가스탱크를 선적하던 중 ‘철제 로프’가 끊겼다고 말했다.가스탱크에는 수출용 염소 25톤~30톤 가량이 담겨 있었다.◎공감언론 뉴시스 light82@newsis.com
- · 中 포함 러 비제재 국가들도 대러 수출 40% 급감···54개국 분석
- · 미국, 대만과 22~24일 전략대화...무기제공·군사훈련 협의
- · 中, 나토회의 참석 윤 대통령 비난 "외교적 독립성 잃을 수 있어"
- · 10년전 처음 발표된 유전자편집 기술 어디까지 왔나
댓글0
0/300
많이본 뉴스
- 1남보다 싸게 주유한다···광주 油테크 비법은?..
- 2실종 초등생 체험학습 급히 신청···집엔 카드빚 독촉장만..
- 3광주 복합쇼핑몰 유치, 본궤도 진입만 남았다..
- 4물가 치솟는데 이자 '눈덩이'...영끌족 버틸수 있나 ..
- 5이수정 "완도 실종 가족, 자녀 살해 후 극단적 선택 가능성 커..
- 6대출금리 낮춘다지만...자취 감춘 3%대 주담대..
- 7상반기 경기 청약경쟁률 한 자릿수로 '뚝'···1순위 미달 '속..
- 8문흥동 등 북구 아파트서 소방장비 '관창' 잇따라 도난..
- 9빚 많고 부실한 '위험 공기업' 솎아낸다···정부 "조만간 발표..
- 10전기료 ㎾h당 5원 인상···4인가구 월평균 1535원 올라..
댓글많은 광주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