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칸 중 두 칸 '사용 불가'
세면대는 세 개 중 한 개만
관계자 "빠른 시일 내 조치"

광주 시민들의 대표적인 문화 향유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광주예술의전당(이하 '광주예당') 소극장의 여자화장실 관리가 부실해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특히 여자화장실 전체 네 칸 중 두 칸이 사용 불가능한데다 세면대의 물까지 나오지 않는데도 장시간 방치된 것으로 알려져 철저한 관리와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시립예술단의 공연을 앞두고 찾은 광주예당 소극장의 여자 화장실은 시에서 관리하는 공공시설이라고 보기 어려울 만큼 부실했다.
세면대 세 개 중 두 개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았고, 이 같은 상태가 오랜 기간 이어졌던 듯 배수구는 마개가 닫힌 채 물때가 끼고 녹까지 슬어 있었다.

화장실 좌변기가 설치된 공간도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좌변기 네 칸 중 한 칸의 문에는 '고장, 옆 칸을 이용해주십시오'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고, 또 다른 한 칸은 문고리가 아예 없어 사용자가 문을 여닫을 수 없는 상태였다.
이 같은 상황이 보름께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달 24일 공연 시작을 앞두고 화장실을 찾은 관객들은 방치된 시설들을 보며 이맛살을 찌푸리기 일쑤였다.

공연 시간이 가까워지자 화장실에 관객들이 몰렸지만,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좌변기 칸은 두 곳뿐이었다. 세면대도 한 개만 사용이 가능해 시민들은 긴 줄을 서야 했다.
이곳저곳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초등학생 아이를 데리고 온 관객은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없어 발을 동동 굴리고, 한 시민은 좌변기를 이용하려는 다른 관객에게 "거기 문고리 없어서 다른 칸 기다렸다가 써야 돼요"라며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일부 시민은 화장실 이용을 포기하고 발길을 돌렸다.
광주 시민 김모(34·여)씨는 "문화회관에서 예술의전당으로 바뀐 후에는 처음으로 공연을 보러 왔는데, 화장실이 이렇게나 관리가 안 되는 줄은 몰랐다"며 "공연을 보러 온 대부분의 관객이 화장실을 이용할 텐데 너무 무관심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박모(27·여)씨는 "소극장에서는 시립예술단의 공연 외에도 기획공연과 대관 공연이 활발히 이뤄지는데, 광주를 찾는 타지역민들의 첫인상이 좋진 않을 것 같다"며 "시의 이미지를 고려해서라도 철저한 관리와 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광주예당 관계자는 "시설물의 경우 고장이 확인되면 바로바로 보수하고 있다"며 "큰 보수면 예산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영상=손민아기자 minah8684@mdilbo.com
-
사진과 기술 조화가 빚어낸 회화적 감성 '대명매-1'. 조영신 사진작가 작업의 특징은 사진과 기술의 결합에 있다.작가는 자신이 포착한 앵글에 수채화와 유화 질감을 곁들인 회화적 이미지를 곁들여 새로운 느낌을 선사한다. 하늘과 나무, 숲길 등 자연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얼핏 보면 사진보다 한 폭의 아름다운 회화로 보인다. 사진의 사실감과 회화의 미적 요소가 조화를 이뤄 색다른 감성을 자아낸다.작가가 사진작가 활동을 시작한 것은 10여 년 전부터다. 어느 날 우연히 한 사진작가의 작품을 본 것이 계기가 돼 카메라를 손에 잡기 시작했다. 처음 연꽃을 촬영했을 때 느꼈던 설레임은 창작열을 더욱 자극했다.작가는 세계 각국을 두루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았고 그곳에서 만난 소중한 순간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사계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내며 아름다움을 체감하기도 했다.작가가 컴퓨터를 활용한 이미지 보정에 숙달한 것은 새로운 작업 세계에 눈뜨는 전환점이 됐다. 작품의 주요 인물이나 사물을 중심에 두고 주변은 미적 요소에 초점을 둠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서양화나 수채화와 같은 느낌을 강조할 수 있게 된 것이다.작가는 한 작품을 위해 며칠 밤낮을 새기도 했지만 완성작을 보면 창작에 대한 열정이 더욱 불타올랐다.'매화 시-2'.'지구(Earth)'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회는 작가가 10년간 공들인 작업을 선보이는 첫 자리다. 3월 폭설 속에 꽃망울을 머금은 매화의 모습을 담은 '대명매', 네팔 화장터 다리 위에서 만난 남성들의 강렬한 시선을 포착한 '인물' 등 40여 점을 선보인다. 전남대 본관에 있는 대명매의 겨울과 봄 풍경을 담은 두 작품은 시련을 견디고 희망을 꽃피우는 의미를 담아 전남대병원에 기증한다. 12일부터 18일까지 무등갤러리.조 작가는 "기술과 예술이 만나는 지점에서 자연과 인간, 일상 속 찰나의 시간 이야기가 관람객 마음에 잠시라도 머물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대한민국 사진대전과 광주미술협회 공모전 등에서 특선 등을 수상했으며 광주 무등사진동우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오페라로 그려낸 5·18, 거리서 시민과 만나다
- · 오월창작가요제 대상, 예람 '거리를 행진하는 소리'
- · 광주문화재단 '전시공간지원사업' 첫 전시회
- · 일상의 존재로 전하는 따스한 위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