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맘속 무등산' 등 16점 선봬

버려진 모발로 빼어난 자연 경관을 담은 산수화를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32년 경력의 베테랑 미용사이자 뷰티미용학 박사인 김다현(54·김다현미용기능장의집·사진) 미용기능장이 광주에서 첫 개인전을 연다.
'모발(毛髮)로 산수화를 그리다'를 주제로 10일부터 21일까지 광주 남구 광주대학교 호심미술관에서 진행되는 이번 개인전에서 김 미용기능장은 미용실에서 버려지는 머리카락을 활용한 '내 맘속 무등산'과 '정겨운 산천', '그곳', '산림 계곡' 등 헤어아트 작품 16점을 선보인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들은 모발들을 가공하지 않은 채 가루로 만들어 자연의 아름다운 풍광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산수화를 주제로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단순하지만 섬세하게 묘사함으로써 여백의 공간들이 흑과 백으로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작품을 구상했다.

광주대학교 대학원에서 뷰티미용학 박사 학위를 받은 김 미용기능장은 현재 뷰티미용학을 전공하고 배우는 학생들에게 보다 폭넓고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선보이고자 이번 전시회를 마련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김 미용기능장은 "이번 전시회를 준비하기까지 대한민국 미용명장 1호이자 스승인 김진숙 광주대 교수님을 비롯해 주변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다"며 "이번 기회를 빌려 감사하다고 꼭 전하고 싶고 앞으로도 헤어아트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정진하겠다"고 개인전을 갖는 소감을 밝혔다.
이어 "미용실에서 버려진 머리카락을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 보자는 창의적인 생각이 작품 활동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현재 뷰티미용학을 전공하는 제자들과 후배들이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미용명장 1호이자 광주대학교 뷰티미용학과 석좌 교수로 활동 중인 김진숙 명장도 "이번 전시회는 물감이 아닌 모발로 그린 산수화 작품들을 선보이며 헤어아트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줬다"며 "각각의 작품은 단순히 미용의 영역을 넘어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놀라운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앞서 김 미용기능장은 지난해 4월 서울에서 헤어아트 개인전을 가졌다.
당시 김 미용기능장은 천연염색으로 재탄생한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해 '연소답청', '상준야홍', '계변가화', '단오풍정', '쌍검대부', '야금모행' 등을 한자리에서 선보여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특히 천연염색 재료를 기반으로 색상과 농도를 조절해 색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헤어아트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앞으로도 김 미용기능장은 천연염색을 활용한 헤어아트 영역을 넓혀가는 데 정진할 계획이다.
그는 "예비 미용인이나 미용인들이 현장에서 기술을 익히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계발과 역량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천연염색을 활용한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는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것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미용기능장은 광주대학교 뷰티미용학과 대학원 졸업생이자 동 대학 겸임교수, 청암대학교 외래교수를 맡고 있다.
광주시 명장·명인 도제교육 강의를 진행했으며 제16회 미국뉴저지주 국제뷰티예술페스티벌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또 광주 북구에서 김다현 미용기능장의집을 운영하고 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광주시청서 울려퍼지는 아름다운 하모니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 무대 공연장을 벗어난 열린 공간에서 예술단원과 관객이 함께 호흡하며 바로크 시대 명곡과 한국 가곡들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오는 28일 오후 6시 광주시청 시민홀에서 제144회 정기공연 '비발디 글로리아'를 선보인다.이번 공연은 기존의 공연 형식을 탈피해 눈길을 끈다. 공연장이라는 무대를 벗어나 시청 시민홀에서 더욱 많은 시민과 가까이에서 호흡하며 감동의 하모니를 펼칠 예정이다.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허묾으로써 공연장이 아닌 일상의 공간에서 시민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할 수 있다.프로그램은 총 두 스테이지로 구성됐다. 첫 번째 무대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곡과 동요들을 청아하고 맑은 목소리로 전한다. '비목', '가고파', '목련화', '아낌없이 꿈을 꾸는 별', '우리들의 세상', '신비한 노을 바다' 등 목가적이고 밝은 분위기의 곡을 노래한다.이어지는 무대는 비발디 '글로리아'이다. 이탈리아 출신의 안토니오 비발디가 1715년께 작곡한 곡으로, 그의 종교 음악 중 가장 친숙하고 대중적인 작품이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글로리아'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행해지는 미사곡의 한 부분이다. 미사 통상문 중 제2장 '글로리아'를 배경으로 작곡됐으며,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사람들에게 평화'라는 가사에 맞게 영광스럽고 웅장한 분위기로 연주된다.콘체르트처럼 빠르고 느림의 대비가 어우러진 기악이 특징이다. 두 명의 소프라노와 알토, 그리고 혼성 4부 합창으로 연주되며 총 열한 곡으로 구성됐다. 음악적 구성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비발디의 '글로리아'는 그의 사후 1939년 이탈리아 작곡가 알프레드 카젤라가 악보를 재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특히 비발디 '글로리아' 공연은 바로크 분위기를 한층 높여줄 연주단과 무용수들의 협연으로 무대를 채워 의미를 더한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날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바로크 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연주 단체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과 함께한다. 2016년 창단된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은 바로크 시대의 기악곡을 중심으로 선보이는 시대악기 연주 단체다. 유럽과 미국에서 세계적인 바로크 연주자들과 함께 수학한 고악기 연주자들로 구성됐으며, 단순히 바로크 음악을 연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역사주의 연주'를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것을 지향한다. 역사주의 연주는 작품이 쓰인 당대의 시대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되 오늘날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연주법이다.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은 창단 이후 바로크 전문 합창단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협연하고 있다.또한 특별출연으로 광주시립발레단의 무용수 네 명이 무대에 오른다. 비발디 '글로리아' 중 일부 곡들에 맞춰 화려하고 섬세한 무용을 선보이며 곡 특유의 우아하고 고전적인 감성을 돋워준다.권기원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상임지휘자권기원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상임지휘자는 "문화 예술이 우리 삶 가까이에서 숨 쉬고, 시민들이 편안한 공간에서 음악과 무용이 함께하는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공연장을 찾지 않아도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주회인 만큼, 많은 분이 함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144회 정기공연 '비발디 글로리아'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일정과 내용은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광주시향이 선물하는 드뷔시·드보르작
- · 오감으로 느끼는 디지털 사회의 이면
- · "폐기물 악기가 전해주는 선율 신기해요"
- · "다양한 관객 만날 수 있어 감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