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왜 돌아오지 못하는 줄 아세요? '배신자'소리를 듣기 때문입니다."
의대생들이 얼마나 돌아왔는지 현장을 살피기 위해 대학에 방문했을 때 들었던 말이다.
이 말을 한 학생은 최근 휴학할지 복학할지 고민하던 의대생이었다.
개강한 캠퍼스에 홀로 강의실에 앉아있던 그 의대생의 표정은 복잡해 보였다.
정부의 의대생 증원 여파로 집단 휴학에 동참했지만, 이대로 휴학계를 계속 유지한다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한듯 했다.
정부에서도 의대생 증원을 원점으로 돌리기로 했으니, 적당히 합의보는 상황에서 끝내는게 좋지 않겠냐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그 의대생은 복학을 쉽게 결정하지 못했다.
최근 복학한 학생들이 '배신자' 취급을 받고 있어서다.
그는 "휴학생들이 이번에 캠퍼스로 돌아온 복학생들에게 친일파냐며 놀리더라. 농담인지 진담인지 모르겠지만 위축된다"며 "정부는 많은 의대생들이 돌아올만한 대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고민하는 의대생 입장은 십분 이해 된다. 집단 따돌림 받는 분위기를 극복하는 건 쉽지 않다.
의료계에 종사자가 따돌림을 당하면 어떻게 될까. 그것도 일을 배워야할 학생신분이라면 감당할 수 있을까. 그 누구라도 막막할 것이다.
의료술은 책으로만 배운다면 금방 한계에 부딪친다. 많은 이들의 노하우, 다양한 정보, 경험 등이 쌓여야만 어느정도 반열에 오르는게 정론이다.
휴학생 중에는 복학을 희망하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모든 의대생들이 부유한 것은 아니다. 하루빨리 의사가 돼 가정을 살펴야 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이같은 분위기를 느꼈는지 일부 대학에서는 복학생 규모를 밝히지 않기로 했다. 돌아온 학생들을 보호하겠다는 차원이다.
의대생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것이 옳은 일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를 통해 학생들이 돌아올 수 있다면 그렇게 해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의대생들의 마음도 알겠다. 무엇을 억울해 하는지는지, 그 박탈감이 무엇인지 어느정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그러나 현명한 선택을 해야할 시기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기존 계획대로 2천명 증원된 5천여명 규모로 유지하겠다고 했다.
이대로 돌아오지 않는게 과연 옳은 선택일까. 소탐대실이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한경국 취재2본부 차장 hkk42@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