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섬은 일본의 섬이다. 제주도의 절반 규모이다. 일본에서는 이 섬을 '사도가시마'나 '사도시마'로 부른다. 인구는 5만2천여명으로 일본 최대의 금광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이 사도섬은 '악마의 섬'으로 통한다. 태평양 전쟁 이후 전쟁물자를 확보하는 시설이 있었던 만큼 우리나라의 많은 이들이 끌려와 강제노역을 한 지역이다. 적어도 1천141명이 끌려온 것으로 기록됐다. 이 섬은 미츠비시그룹이 소유하고 있는데 이때 노역한 이들에게 지급하지 못한 임금을 지급하기 위해 일본 정부에 이 금액을 공탁했으나 10년 뒤 일본 정부는 시효가 지났다며 이를 국고로 환수한 사실이 있다.
일본은 2021년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추천 후보로 선정했다. 앞선 해인 2020년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며 조선인 강제노역에 대한 역사를 알리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아 유네스코의 경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추진한 것이다. 우리 정부는 이에 반발했으나 일본은 2022년,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추천을 결정하고 만다.
2024년 결국 사도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윤석열 정부가 일본과 협의 끝에 등재에 찬성,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 전원 동의을 얻어 등재된 것. 문제는 따로 있다. 조선인의 노동을 두고 '강제성'을 정확히 명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우리 정부가 동의한 것이다. 실제 전시물에는 식민지 국민을 정당히 동원했다는 의미의 '징용'이란 단어만 사용됐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때 일본 정부가 약속했던 사도광산 추도식 또한 최근 문제다.
정부는 지난 24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며 "외교 당국 간 이견 조정에 필요한 시간이 충분치 않아 추도식 이전에 합의에 이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으나 일본 정부 대표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전력과 추도사 내용 문제가 그 이유로 꼽힌다.
반쪽짜리로 치러진 추도식도 정상일리 없다. '사도광산 추도식'이란 명칭에는 추모 객체도 불분명한데다 한국과 '추도사'로 합의했던 외무성 정무관의 발언도 '내빈 인사'로 명칭을 바꿨다. 거기다 이쿠이나 정무관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전시 노동자 정책'에 따라 사도광산에 왔다며 강제 동원을 사실상 부인하기도 했다.
윤 정부의 대일 외교 정책의 방향, 이게 최선일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