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광복절은 정부와 광복회가 별도로 행사를 치르는 사상 초유의 상황이 발생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뉴라이트 성향의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을 임명한 것이 발단이 됐다. '식민지 근대화론'을 강조하는 뉴라이트 성향의 인사들이 촉발시킨 역사 전쟁은 교과서 문제에서 더욱 증폭되고 있다.
한국학력평가원은 내년 3월부터 중고등학교에서 도입할 국사와 한국사 교과서 7종과 9종을 검정 통과시켰다. 한 번도 검정을 통과치 못한 출판사도 포함됐는데, 이승만 독재를 집권연장,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 여순사건을 반란·반란세력으로 표현해 '친일·독재 미화'의 우편향 시각으로 비판을 받있다. 우리나라는 1895년 근대 교과서가 처음 발행된 이래 교육부 검인정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1973년 교육부에서 직접 저작권을 갖는 국정화, 2007년 검인정으로 복귀했다. 그러다 2015년 박근혜 정부는 다시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시도해 온 나라를 들쑤셔 놓았다. 잠잠하던 교과서 논란은 윤석열 정부에서 재연돼 사회적 갈등을 낳고 있다.
교과서는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들의 정체성 확립에 중요하다. 몇몇 의견이나 개인적 관심에 기반치 않고, 전문가들이 합의한 내용으로 서술돼야 할 이유다. 특정 세력 입맛대로 왜곡·폄훼한 내용이 교재로 채택되면, 끔찍한 일이다. 삽화와 사진을 이용한 비틀기도 왜곡 폄훼 방식이다.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곤봉으로 시민을 구타한 계엄군'사진을 '시민을 연행하는 공수부대'로, 계엄군의 '구타'를 '연행'으로 바꾸어 놓은 예는 교묘하다. 구타와 연행은 전혀 다른 상황이다. 그런데도 광주시교육청은 "특별한 잘못이 없다"고 했다. 대체 누가 검토를 한것인가?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도의회에서 문제를 제기한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표현한 일부 출판사에서 이를 정정한다는 소식이 들려서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역사전쟁이 반복되고 있다. 역사적 사실을 부정한 채 자기들만의 관점에서만 세상을 보게하는 것은 '행해진 역사'도 기억치 못하게 하는 것과 같다. 요즘 역사 강좌로 유명세를 누리며 지자체와 교육청 등과 역사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이들이 많다. 유감스럽게도 이들이 필진으로 참여한 출판사에서도 마한, 여순사건, 5·18에 대한 정체성을 의심케하는 서술이 나왔다. 역사를 단지 돈벌이, 인기를 얻는 도구로서 접근하면, 이들도 역사를 좀먹는 자이다.
이용규 신문제작국장 hpcyglee@mdilbo.com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