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전국 아울렛 7곳 증축·리뉴얼 전환
광주는 수완아울렛 2026년 리뉴얼 추진 전망
더현대 광주, 그랜드스타필드 광주, 광주신세계백화점 확장 등으로 복합쇼핑몰의 접전지가 된 광주에서 롯데백화점이 미래형 쇼핑몰 '타임빌라스'로 경쟁에 뛰어든다.
롯데가 최근 전국 아울렛 7곳을 쇼핑몰 형태의 '타임빌라스'로 전환시키겠다고 밝힌 가운데 광주에선 2026년 롯데아울렛 수완점을 리뉴얼할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는 지난 23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타임빌라스 그랜드 오픈·쇼핑몰 중장기 전략 발표'를 위한 기자 간담회를 열였다.
정 대표는 이날 그랜드 오픈한 수원점을 시작으로 타임빌라스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쇼핑몰에 7조원을 투자해 국내외 점포 수를 13개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쇼핑몰은 2535 젊은 세대의 수요와 선호가 높은 체험형 매장, 대형 이벤트 등에 최적화돼 있으며, 유연한 변화와 시도가 가능한 리테일 플랫폼이라는 판단에서다.
실제 유사한 리테일 성장 추이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과 국내의 10년간 유통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30년까지 국내 백화점은 매년 2% 성장하는데 그치는 반면, 쇼핑몰은 17%의 높은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 대표는 "패션과 F&B(식음료), 엔터테인먼트, 문화, 여행&업무 등 고객이 바라는 모든 경험이 연결된 쇼핑몰의 미래가 타임빌라스"라며 "모든 유통업체가 동경할 미래형 리테일의 표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임빌라스(TIMEVILLAS)'는 롯데백화점이 제시하는 미래형 쇼핑몰 브랜드다. 시간을 의미하는 'Time'에 별장을 뜻하는 'Villas'를 더해 '새로운 시간이 열리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이에 롯데는 광주 수완점을 포함한 군산점, 동부산점, 김해점 등 기존 아울렛 7곳을 증축·리뉴얼해 타임빌라스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송도, 수성, 상암, 전주에는 신규 쇼핑몰을 세울 계획이다.
롯데가 광주에서 타임빌라스 부지로 선택한 수완점 일대는 고층 아파트와 고급 타운하우스가 밀집해 있는 명품 주거지역이다. 여기에 인접 전남·북 시·군을 연결하는 교통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입지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분석된다.
롯데의 계획대로 추진 된다면 수완점은 2026년 리뉴얼을 통해 타임빌라스로 전환될 예정이다.
앞서 리뉴얼 오픈한 타임빌라스 수원점의 경우 신규 수준에 맞먹는 350여 매장을 개편하고 스포츠관, 프리미엄 미식 공간 다이닝 에비뉴 등을 조성한 바 있어, 수완점 역시 단순 판매시설에서 벗어나 체험 콘텐츠와 먹거리 등의 영역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 측은 롯데백화점 수원점과 롯데몰 수원점을 통합한 수원점과 달리 수완점의 경우 지역에 있는 백화점 등과 통합 없이 단독으로 리뉴얼할 계획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현재 수완점은 아울렛 형태인데 이를 쇼핑몰 형태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며 "쇼핑몰로 리뉴얼 되는 만큼 먹거리, 즐길거리 등 다양한 콘텐츠가 추가될 예정이다"고 말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한 달 새 배추30%·사과32% 가격↑···농산물값, 설 전엔 잡힐까 전통시장에서 장보는 모습. 무등일보DB설을 앞두고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면서 서민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기상여건이 좋다는 전제하에 수확물량 증가땐 가격이 다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무와 배추 수입,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물량을 조절키로 하는 등 가격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기준 광주지역 배추 상품 1포기는 4천937원에 판매됐다. 평년(3천754원)과 전년(3천163원)에 비해 모두 오름세를 보였으며, 지난달(3천795원)보다도 30% 상승했다.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배추 중품도 1포기가 4천원에 거래돼, 지난해(3천57원)보다 30% 올랐다.100g당 928원에 판매된 시금치는 지난달(923원)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지난해(802원)·평년(683원)과 비교하면 각각 15%, 35% 비싸졌다.더욱이 당근 가격은 지난해보다 96% 뛰었다. 1kg당 6천900으로 지난해 가격은 3천505원을 기록했다.채소값과 더불어 과일값도 치솟고 있다.감귤(노지)은 10개에 5천87원에 팔렸다. 평년(2천942원) 가격에 비해 72%가량 오른 수준이다. 지난해(4천279)와 지난달(4천133)에도 4천원대를 유지하다가 올해들어 5천원대로 올랐다.사과의 경우 10개에 3만2천267원으로, 지난달(2만6천127원)보다 23% 비싸게 거래됐다.10개에 1만6천950원을 기록한 단감(상품)의 경우 한 달 만에 33%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농산물의 이같은 가격 상승은 지난해 길었던 폭염과 폭우를 비롯한 이상기후 여파로 재배면적 감소, 생육 부진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무와 배추를 수입하고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을 통해 시장 물량 조절에 나선다.무와 배추가 겨울철 작황이 부진해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자, 유통인·김치업체의 저장 수요가 증가하는 등 일종의 사재기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수량을 대폭 늘리겠다는 방침이다.전문가들은 설 명절 이전에 기상여건에 따른 물량 증가 시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생육기에 비가 많이 내리면서 작황 부진으로 물량이 감소해 무와 당근 등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며 "보통 배추는 2월~3월까지, 무는 3~4월까지 수확한다. 기상여건이 좋다면 물량 증가로 현재보다는 가격이 다소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이어 "사과의 경우 지난해 11월과 12월 가격이 높게 형성되기는 했지만, 설 시기가 다가오면 배가 많이 출하되면서 수요가 분산되므로 지난달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성될 거 같다"고 설명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탄핵정국에 꽁꽁언 연말···주류·유통업계 타격 우려
- · 2027년 하반기 '더현대광주' 출점··· '더현대서울'의 1.5배
- · 짧은 가을, 역대급 한파 예고···유통가는 11월의 X-mas
- · 김장 비용 부담↑···시장·마트, 더 저렴한 곳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