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은 해안지역, 무안은 무안공항 인접지역 찬성의견 높아
최우선 고려사항 소음 및 적절한 수준의 보상 대책 마련 필요
'광주 군 공항 이전 및 종전부지 개발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른 국가 지원과 함께 광주시 차원의 군 공항 유치지역 지원방안이 제시된 가운데 광주 군 공항 이전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함평군은 찬반 의견이 오차 범위 내에 있고, 무안군은 반대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광주 군공항 이전에 대한 함평군과 무안군 주민들의 의견수렴을 목적으로 최근 광주연구원이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에서 함평군은 반대 45.1%, 찬성 42.5%, 모름·무응답 12.4.% 순으로 나타났다.
찬성 의견은 남성(55.2%)이 여성(29.6%) 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18~40세 미만 계층이 65.1%로 가장 높은 반면 50대와 60대 이상 계층은 각각 39.4%와 36.6%로 가장 낮았다. 함평군 9개 읍면 중 함평읍(53.8%) 손불면(48.1%), 엄다면(52.2%), 대동면(59.0%), 학교면(42.9%) 등 해안지역을 포함한 5개 읍면의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안군은 반대 56.0%, 찬성 37.1%, 모름·무응답 6.9% 순으로 나타났다.
찬성의견은 남성(44.2%)이 여성(30.0%)보다 더 높고, 연령별로는 조사 대상 전 연령 계층에서 반대 의견이 우세했으나 찬성의견이 가장 많은 연령층은 50대로 45.1%였다. 읍면 지역별로는 무안국제공항이 위치한 망운면(45.8%)과 무안읍(48.9%) 해제면(49.8%), 운남면(48.1%)등 4개 읍면의 찬성의견이 반대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함평군과 무안군 거주민들이 군공항 이전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두 지역 모두 '소음 피해'(함평 65.8%, 무안 61.0%)로 응답한 반면, 찬성 이유로는 '지역발전'(함평 68.%, 무안 55.%)에 대한 기대를 꼽았다.
군공항 이전 시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두 지역 모두 '소음영향 최소화'를 제시했다.
지역별로는 함평군의 경우 '소음영향 최소화' 38.5%, '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확충' 13.4%, '적절한 수준의 보상대책 마련' 7.8% 순이었으며, 무안군은 '소음영향 최소화' 40.9%, '적절한 수준의 보상대책 마련' 14.2%, '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확충' 11.3% 순이었다. 따라서 소음완충 지역 조성 등 소음영향 최소화와 지역개발을 병행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연구원은 지역 최대 현안의제 해결과 서남권 상생발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광주 군 공항 이전에 대한 지역민 여론조사와 관련 연구를 지속해서 수행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조사는 광주연구원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월 2일부터 5일까지 함평과 무안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천명(함평 500명, 무안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방법은 유선전화면접 50%와 자동응답조사(ARS) 50%를 병행하는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유선 RDD 방식으로 선정했다. 표본추출은 2023년 8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인구분포에 따라 가중값을 부여하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p이다.
박석호기자 haitai2000@mdilbo.com
- '고향사랑기부제' 대박 지자체, '이것'부터 달랐다 대전시와 대전 중구가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 내건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덩달아 기부액도 증가했다. 고향사랑기부제 성과가 두드러진 지자체는 답례품과 지정기부부터 달랐다. 지자체가 치열하게 고민해 내놓은 지역만의 차별화된 상품에 기부자들은 기꺼이 손길을 내밀었다. 지자체로서는 의미 있는 사업들을 발굴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기부자들은 효능감을 얻는 '두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다.특히 전국의 고향사랑기부제를 주도하는 광주와 전남의 경우 '지정기부'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2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고향사랑 기부 실적'을 살펴보면, 시민이 선호하면서도 차별성 있는 답례품을 제시한 지자체의 기부금 증가가 눈에 띄었다.지역사랑상품권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판매된 답례품은 대전시와 대전 중구의 공통 답례품인 성심당 상품권(3만원)으로 총 1억4천19만원(4천703건)이 팔렸다. 이어 제주특별자치도의 귤로장생 노지감귤 1억3천647만원(5천292건), 충남 논산시의 겨울시즌 논산딸기 1억120만원(3천587건), 강원 속초시의 만석닭강정 9천225만원(3천75건) 순이다.젊은층에게 큰 관심을 받는 성심당이 답례품으로 나오면서 젊은층의 기부가 늘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10만원까지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부 유인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광주 동구 임택 청장과 고향사랑팀 직원들이 동구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 논의하는 모습. /광주 동구그러면서 대전시와 대전 중구의 기부 실적은 크게 늘었다. 대전시의 고향사랑기부제 실적은 총 6억8천500만원으로, 1년 전(1억2천270만원)보다 6배가량 증가했다. 대전 중구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1억500만원에서 8억700만원으로 7배 이상 늘었다.광주시와 전남은 고향사랑기부제의 지정기부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주목할 만한 결과를 이끌어냈다. 지정기부제도는 지자체가 지역에서 필요한 사업을 찾아 모금하는 것으로, 기부자는 기부감의 사용처를 특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감이 높다.대표적으로 광주 동구는 인구가 10만명가량으로 지자체 중에서 소규모에 불과한데도 지난해 24억원가량의 고향사랑기부금을 끌어냈다. 이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비결은 동구가 시민이 공감할 만한 기부 사업을 발굴한 것은 물론 기부 활성화를 위해 민간플랫폼을 적극 활용한 데 있다. 동구는 지정기부로 '광주극장 100년 프로젝트', '발달장애 청소년 E.T 야구단 지원사업', '유기동물 구조·보호 지원 사업' 등을 했다. 이 사업들은 지역민뿐 아니라 문화 예술에 관심 있는 기부자들의 공감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모금을 끌어냈다.특히 광주극장은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이자 한국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극장이다. 도시의 역사와 시민들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는 광주극장에 대한 관심은 광주를 넘어 출향한 시민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았다.또 전남의 기초자치단체는 지역의 열악한 의료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정 기부로 기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곡성의 '소아과를 선물하세요', 영암의 '고향사랑 소아청소년과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그러면서 곡성은 2024년 모금액이 10억원을 돌파했다. 2023년(3억3천만원)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한 셈이다. 이 중 지정기부로 모은 게 절반이 넘는 5억4천만원이다. 영암도 2024년 18여억원을 모금했다. 그 결과로 곡성이나 영암에 소아과가 생긴 건 말할 것도 없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 · 고향사랑 마음, 광주와 전남이 '주도'
- · 광주시, '청년13(일+삶)통장' 참여자 모집
- · 형평성과 예산 부담 사이···광주 노인 '무임승차' 어쩌나
- · 광주관광공사 '조직 효율화' 진통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