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진 전통 무기 '쇠뇌', 예술로 되살아나다

입력 2025.07.01. 17:41 임창균 기자
광주문화재단 전시공간지원사업
4회차 전시 서홍석 작가 개인전
쇠뇌 통해 전통기술 현대적 해석
7월 남도 산수화·기록 사진전도
서홍석 작가의 개인전 '쇠뇌 찾아가는 박물관'에 전시 중인 쇠뇌.광주문화재단 제공

우리나라 전통의 미와 선조들의 지혜를 보여주는 전통 무기 전시가 광주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열린다. 지역 예술인들에게 전시 기회를 제공하는 '전시공간지원사업'을 통해, 전통 무기전시 외에도 남도 산수화와 기록 사진 전시가 7월을 장식한다.

광주문화재단은 2025 전시공간지원사업의 네 번째 전시로 서홍석 작가의 개인전 '쇠뇌 찾아가는 박물관: 사라진 역사의 조각, 되살아나는 지혜'를 1일부터 오는 10일까지 빛고을시민문화관 1층 전시실에서 연다.

광주문화재단은 지역 예술인의 창작 활동을 지원하고 시민에게 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예술 지원 프로그램인 '전시공간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빛고을시민문화관 1층 로비 공간을 185.46㎡ 규모의 개방형 전시공간으로 리모델링했으며, 총 8팀의 아티스트를 선정해 9월까지 '빛고을 여덟 가지 순간들'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열고 있다. 지난달까지 세 차례 전시가 진행됐으며, 각 전시마다 작가들에게는 전시 지원금과 전시실 및 부대시설 이용, 홍보물 제작 등이 지원된다.

4회차인 이번 서홍석 작가의 전시는 잊혀진 무기 '쇠뇌'를 단순한 전쟁 도구가 아닌 우리 민족의 뛰어난 과학적 사고와 독창적 기술력을 상징하는 문화유산으로 조명한다. 서홍석 작가는 ㈔대한민국명인회에 등록된 쇠뇌 분야 명인이자, 한국의 무예 체계를 집대성한 24반무예 공인 7단이기도 하다.

서홍석 작가의 개인전 '쇠뇌 찾아가는 박물관'에 전시 중인 고대활.광주문화재단 제공

'찾아가는 박물관'이라는 콘셉트 아래, 실제 쇠뇌 실물과 그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박물관의 벽을 넘어 일상 속 전시로 역사와 기술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7월에는 두 차례의 전시가 더 예정돼 있다.

5회차 전시로는 오창록 화가의 '길 따라 남도 기행'이 11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 광주시미술대전 최우수상, 전라남도미술대전 대상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지닌 한국화가 오창록은 수묵을 이용해 전남의 산수를 담백하게 표현해 왔다.

6회차 전시로는 최희정 사진작가의 'Nuages-Coquille rose'가 22일부터 31일까지 열린다. 30년간 광주와 서울을 오가며 작품 활동을 이어온 최 작가는 이미지 수집가이자 전시 기획자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193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광주·전남의 풍경과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광주문화재단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사라진 역사의 지혜와 기술력을 새롭게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예술 생태계의 다양성과 활력을 위해 노력하겠으며, 관람객들도 우리 삶 가까이에 예술이 있음을 느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