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31일까지 45개팀
10일 거리 행진과 개막행사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맞아 전국에서 모인 45개 음악팀들이 5월 한달동안 시민들과 오월 정신을 노래한다.
㈔오월음악는 오는 5월1일부터 31일까지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 상설무대에서 '2025 상설음악회, 오월의 노래(이하 오월의 노래)'를 진행한다.
'오월의 노래'는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열렸던 '거리음악제'의 명맥을 잇는 행사로, 2015년부터 매년 5월 시민군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5·18민주광장에서 이어지고 있다.
올해도 5월 한달동안 매일 오후 7시 30분부터 8시 50분까지 전국에서 모인 45개 음악팀이 무대에 오른다.
다양한 인디뮤지션들의 공연이 펼쳐질 뿐만 아니라, 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체험행사가 마련돼 어린이날이 포함된 5월 3~5일에는 시민 참여 무대인 '오픈 마이크' 등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된다.
10일 개막행사에는 바투카다 공연단 '까미뉴 다 비다'의 거리 행진 퍼포먼스와 더불어 탄핵 집회를 이끌었던 가수 백자와 지난해 '오월의 노래' 연출진이 무대의 시작을 알린다.
11일부터는 최고은, 하이 미스터 메모리, 집시유랑단, 언제나봄, 류의남, 프롤로그, 김국주 밴드 등 지역을 넘나드는 여러 장르의 뮤지션이 함께 한다.
여기에 광주 노동자 노래패 연합, 푸른솔 시민 합창단 등 시민 음악팀과 크램블 등 청소년 밴드, 광주 민중음악을 이끄는 박종화, 김원중 등이 출연해, 세대와 지역을 넘어 각각의 특색이 담긴 오월을 노래한다. 광주지역 인디뮤지션으로 이뤄진 '오월의 노래' 기획단에서도 우물안개구리, 거봉악단, 바닥 프로젝트 등 다섯팀이 직접 무대에 오른다.
다만 17~18일은 제45주년 5·18전야제 및 각종 기념행사가 진행되고, 24일은 제15회 전국 오월창작가요제 본선이 치러져 '오월의 노래' 무대는 열리지 않는다.
㈔오월음악 관계자는 "올해 상설음악회 '오월의 노래'에는 지역과 세대를 넘어 다양한 특징을 지닌 뮤지선들이 참여한다"며 "기존에는 민중가요로만 상징되는 항쟁의 노래가 이제는 시민들의 감성을 투과한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 한다"고 전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어두운 현대 자화상 속 인간성 회복·화해 강조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중간적 존재인 '트랜스휴먼'의 모습을 표현해온 기옥란 작가가 오는 20일까지 송정작은미술관의 초대로 전시회를 갖고 있다.작가가 천착하는 '트랜스휴먼'은 노화도 없고 아프지도 않으며, 영생을 추구하는 21세기 신인류의 바람과 맥이 닿아 있다. "오랫동안 철학 서적에 관심을 갖고 읽다 보니 트랜스휴먼의 의미가 신선하게 다가왔고 지난 2010년께부터 이를 주제로 한 작품을 시작했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그는 트랜스휴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DNA, Digital, Design, Divinity(신성, 영성) 등의 4D와 Feeling(느낌, 감성), Female(여성성), Fiction(상상력)을 포함한 3F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세계를 구축해왔다.작가가 작품을 통해 강조하는 것은 '인간성 회복'이다. 그는 트랜스휴먼을 바탕으로 인간 본질을 재탐구하고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기후위기와 전쟁, 인종문제 등을 초월해 모두가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인간과 공존하는 모든 것들과의 '화해' 역시 인간성 회복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다.작가는 인간과 인간 간의 화해는 물론 도시와 자연의 화해, 정신과 물질의 화해, 실제 세계와 가상세계의 만남 등을 통해 인간과 자연, 기술이 어떻게 서로 융합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를 시각 언어로 형상화했다.'트랜스휴먼-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그는 직선과 곡선이 교차하는 리드미컬한 구성 속에서 비대칭적인 표현과 기호 등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삶과 예술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현대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은 중요한 작품 소재가 된다. 인종과 인종의 만남뿐만 아니라 우리가 어느 곳에 가든 이방인(노마드)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과 삶과 죽음을 소재로 한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위한 변주곡' 등이 눈길을 끄는 작품들이다. 또 인간의 에너지나 감성, 욕망 등이 어떻게 기술과 결합해 조화를 이루고 화해할 수 있는가를 고민한 작품도 만날 수 있다.그는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초월해서 조화롭게 살아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인간에게 무엇인가 위안과 위로를 주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기옥란 작가는 그동안 사진전을 포함해 70차례의 개인전을 가졌다. 현재 현대미술에뽀끄회, 이형회, 광주전남여성작가회, 그룹터, 침묵과 은유회 등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 개성있는 소재와 기법···3인3색 매력에 '풍덩'
- · '기술과 예술의 만남'···코드로 빚은 캔버스 세계
- · "동아시아 회화 세계에 알리자"···작품 설치 '분주'
- · 광주디자인비엔날레 D-5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