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단둘이 소풍간 기억 ‘생생’
어릴 적 가장 친한 친구로 남아
12·3 당시엔 뜬눈 밤 지새기도
“오월영령 무대로 ” 결심 다져

"비상계엄을 겪으며 기필코 무대로 오월의 영령들을 모셔와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고(故) 김영철 열사와 딸 김연우씨는 그 누구보다 애틋한 부녀이자 단짝친구였다. 김씨는 어릴 적 아버지와 단 둘이서 소풍을 갔던 날을 회고했다.
김 열사는 5·18로 인해 가장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됐다. 그는 "어느 하루 아빠가 정신병원에서 외박을 나왔던 날, 단둘이서 버스를 타고 소풍을 갔다"며 "아빠는 고문 후유증으로 오래 걷지 못하셔서 얼마 못 가고 둘이 너럭바위에 앉아 엄마가 싸준 김밥도 먹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며 놀았다. 꼭 어제 일처럼 생생하다"고 말했다.
어릴 적부터 춤을 좋아했던 김씨가 무용수의 길을 걷게 된 것에도 아버지 김 열사의 영향이 적지 않다. 김씨는 "어릴 때 아빠가 재미있는 노래와 춤들을 많이 알려주셨다. 춤추는 것이 좋고 재밌어서 무용 학원에 다니고 싶었는데, 형편이 안 돼서 고등학생 때부터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원을 다니고 본격적으로 무용을 배우게 됐다"며 "앞으로도 춤을 통해 오월의 이야기를 다양한 형식으로 전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씨는 지난해 12월3일 벌어졌던 비상계엄 사태를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혔다. 1980년 5월, 김씨의 가족들이 겪었던 그날의 상흔이 여전히 가슴 깊이 남아있는 듯 보였다.
그는 12·3 비상계엄 당시 '나는 고려인이다'라는 뮤지컬 공연 리허설을 하고 집에 가던 길에 소식을 접했다고 한다. 김씨는 "믿을 수 없는 소식에 너무 벙찌고 숨이 턱 막혔는데, 가장 먼저 엄마가 걱정돼서 안부 전화를 걸어 안심시켰다"며 "그 많은 피들을 흘려두고 어떻게 이런 일이 다시 반복될 수 있는지 너무 참담하고 무서워 뜬 눈으로 밤을 지새웠다"고 말했다.
한편으로는 비상계엄 이후 전국적으로 펼쳐진 집회를 보며 가슴이 뜨거워지기도 했다고 한다. 김씨는 "응원봉을 들고 거리로 나가는 시민들을 보며 1980년도의 아빠와 삼촌, 광주 사람들이 떠올랐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번 공연에 대해 김씨는 "춤과 에피소드가 교차하며 어린 연우와 아버지가 조우하게 된다"며 "우리의 아픔들을 함께 공유하고 얘기하면서 서로 연대하고 보듬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고 전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화사한 꽃에 담은 봄소식 윤해옥 작 '마음꽃' 윤해옥 개인전 '마음으로 피운 花꽃 이야기'가 가담양 고서면에 위치한 명지미술관에서 지난 2일 개최, 오는 30일까지 열린다.이번 전시는 윤 작가가 꽃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과 생명력을 담아낸 작품 50여 점으로 구성됐다. 작가는 꽃을 소재로 한 사색과 감정을 화폭에 녹여냈다. '채송화의 기쁜 소식' '마음꽃' '달맞이의 사랑2'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을 단정한 구도에 부드러운 색채를 입힌 작품은 이에게 편안함을 선사한다.윤 작가는 "꽃이 전해주는 의미를 담고 생명을 불어넣으면서 사계절 피는 꽃을 그렸다"며 "부족한 부분은 보는 이들이 행복한 마음을 담아 보기를 바라며 이 봄 따뜻한 꽃을 피운다"고 말했다.윤해옥 작 '털머위'전시는 오전 11시~오후 6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료는 무료다.한편 윤해옥 작가는 전남대에서 미술학 박사를 취득하고 광주와 프랑스, 싱가포르 등 국내외에서 11회의 개인전, 132회의 단체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전남도 미술대전 대상과 특선 등 19회 수상 경력 지녔으며 현재 송원대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도립미술관, 꿈나무에 미술 교육 장으로 '호응'
- · 크라운해태, 광주시민위한 '한음회' 공연
- · 전통가무의 대향연, '명인명무전' 광주서 열린다
- · 자연 즐기고 그림도 감상하고···"무등산 마실 가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