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 플라스틱 활용 연주로
환경보호 메시지…관객 호평
8월 에든버러 축제 경비 마련

버려진 폐기물로 악기를 만들고 연주하는 아티스트 단체 '크리에이티브아트'가 후원음악회를 통해 자신들의 음악을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크리에이티브아트는 지난 14일 오후 광주 남구 양림동 '10년후 그라운드'에서 에든버러 프린지 축제 후원음악회 'UPCYELD MUSIC'을 열었다.
이날 행사는 오는 8월 영국에서 열리는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참가하기 위한 후원비를 모금하기 위해 진행됐다. 크리에이티브아트는 폐기물을 재활용한 악기로 '업사이클 뮤직'이라는 장르를 선보이고 있으며, 지난해 11월 영국 공연기획사 'C VENUES'를 통해 페스티벌 초청을 확정했다.
이날 공연에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이승규 대표와 플라스틱 콰르텟(바이올린 황란아·김용상, 비올라 양윤서, 첼로 김도영), 유니크첼로 콰르텟(박효은·김가영·김성복·정아름)이 나섰다.
이들은 멸종위기 동물을 주제로 한 '잃어버린 동물의 사육제', 여름과 겨울 밖에 없는 기후위기 상황을 빗댄 '이계, The Two Seasons', 우리들의 내면을 돌아보자는 의미를 담은 '위로'와 '힘'등 이 대표가 작곡한 곡들을 연주했으며, 각 주제에 맞는 감미로운 멜로디와 인상적인 연주로 관객들의 박수를 이끌어 냈다.

이 외에도 플라스틱 콰르텟과 유니크첼로 콰르텟은 비틀즈의 'I Will'(아이윌), 마이클 잭슨의 'Heal The World'(힐더월드), '베사메무초' 같은 유명곡들을 연주했다. 관객들에게 귀익은 선율을 통해 기존 악기와 '업사이클 악기'의 차이점을 알리는 데 뜻을 둔 선곡이었다.
아이들이 버린 장난감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플라스틱 콰르텟의 악기들은 나무와 금속의 중간 '물성'을 지니고 있어 명료한 울림을 들려주고, 농약분무기통을 재활용한 유니크첼로는 저음이 약하고 고음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이날 공연에는 50여명이 관객이 1층 홀을 가득 채웠다.
나주 빛누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임윤(11), 임설(9)양은 "버려진 쓰레기가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신기했다"며 "앞으로 분리수거를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최하은(60·여)씨는 "업사이클 뮤직이라는 개념도, 이런 공연이 있다는 것도 오늘 처음 알았는데 긍정적인 충격을 받았다"며 "K팝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예술이 퍼져나가면 좋을텐데 에든버러에서도 충분히 박수받을 만한 공연이다"고 평가했다.
이승규 크리에이티브아트 대표는 "우리에게 아름다움은 오랫동안 학습된 고정관념과 같다. 쓰레기로 만든 악기로도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며 "공연을 통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깨닫는 것과 동시에, 상처받고 버려진 우리 내면도 다시 아름답게 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느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한편 크리에이티브아트는 해외 체류비, 현지 대관료 등을 모으기 위해 지난달 28일과 지난 14일 두차례 걸쳐 후원음악회를 열었으며 텀블벅후원과 기업후원도 받고 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화사한 꽃에 담은 봄소식 윤해옥 작 '마음꽃' 윤해옥 개인전 '마음으로 피운 花꽃 이야기'가 가담양 고서면에 위치한 명지미술관에서 지난 2일 개최, 오는 30일까지 열린다.이번 전시는 윤 작가가 꽃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과 생명력을 담아낸 작품 50여 점으로 구성됐다. 작가는 꽃을 소재로 한 사색과 감정을 화폭에 녹여냈다. '채송화의 기쁜 소식' '마음꽃' '달맞이의 사랑2'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을 단정한 구도에 부드러운 색채를 입힌 작품은 이에게 편안함을 선사한다.윤 작가는 "꽃이 전해주는 의미를 담고 생명을 불어넣으면서 사계절 피는 꽃을 그렸다"며 "부족한 부분은 보는 이들이 행복한 마음을 담아 보기를 바라며 이 봄 따뜻한 꽃을 피운다"고 말했다.윤해옥 작 '털머위'전시는 오전 11시~오후 6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료는 무료다.한편 윤해옥 작가는 전남대에서 미술학 박사를 취득하고 광주와 프랑스, 싱가포르 등 국내외에서 11회의 개인전, 132회의 단체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전남도 미술대전 대상과 특선 등 19회 수상 경력 지녔으며 현재 송원대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도립미술관, 꿈나무에 미술 교육 장으로 '호응'
- · 크라운해태, 광주시민위한 '한음회' 공연
- · 전통가무의 대향연, '명인명무전' 광주서 열린다
- · 자연 즐기고 그림도 감상하고···"무등산 마실 가자'"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