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진달래피네, 광주 대표로 대한민국연극제 나선다

입력 2025.03.12. 17:08 임창균 기자
'흑색소음' 광주연극제 '대상'
5일간 5개극단 예술혼 불태워
1천여 관객 공연장 찾아 응원
연출상·신인·우수연기상 선정
관객심사단 참여한 시상식도
11일 제39회 광주연극제 폐막식에서 최현진 극단 진달래피네 대표가 수상소감을 말하고 있다.

극단 진달래피네가 제39회 광주연극제에서 대상을 차지하며 오는 7월 광주를 대표해 대한민국연극제에 출전한다. 광주연극제에 참여한 5개 극단의 배우들은 무대에서 저마다의 예술혼을 불태웠으며 관람객들은 뜨거운 박수로 갈채를 보냈다.

지난 11일 오후 광주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는 제39회 광주연극제 마지막 공연과 폐막식이 진행됐다.

광주연극협회가 주관하고 광주시와 광주예총이 후원한 이번 연극제는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빛고을시민문화관과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진행됐으며 5개 극단이 펼친 공연에 각각 200명 내외의 관람객들이 객석을 채웠다.

연극제는 지난 5일 극단 시민이 도스토예프스키 작 '죄와벌'을 무대에 올린 것을 시작으로 극단 바람꽃의 권지애 작 '우리의 연극은 끝나지 않았어'(6일), 극단 진달래피네의 창작극 '흑색소음'(7일), 극단 청춘의 김규남 작 '용을 잡는 사람들'(8일), 극단 까치놀의 김창일 작 '꽃며느리'(11일)가 각각 관객과 만났다.

극단 진달레피네의 연습 사진.광주연극협회 제공

이중 대상의 영애는 극단 진달래피네의 '흑색소음'이 차지했다. 연출을 맡은 최민씨는 연출상을 함께 수상하는 기쁨을 누렸다.

창작극 '흑색소음'은 오래된 다리에서 하염없이 대치하는 군인 청과 홍을 통해 극도의 긴장감에 시달리는 상황을 연출하고 전쟁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한 작품이다.

전문심사위원들은 심사평을 통해 '한 시대의 역사, 정치, 사회에 대한 알레고리를 잘 표현했으며 끊임없는 소음으로 관객에게 자극을 준 점이 인상적이다. 강대국 내지는 강자에게 끌려다니는 우리 역사와 현실을 빗댄 부분도 예리했으며, 인위적 경계선을 통해 흑백논리를 표현하고 이에 대한 극복을 추구한 점도 많은 것을 사유하게 했다'고 평가했다.

극단 진달래피네는 지난 1989년 5월 창단했다. 1998년 대한민국연극제에서는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대표작은 연극학(개)론, 몽연, 이어진 인생사애, 표해, 폭발 등이며 주로 창작극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현진 진달래피네 대표는 "현재 8명의 단원들과 10여년째 함께 하고 있는데 이중에는 19살, 20살 때 봐서 30대가 된 친구들도 많다. 그동안 상하나 못 타고 단원들도 각자의 삶을 살며 우리가 지역 연극에서 뭘 할 수 있나, 극단을 유지해야 하나 고민이 많았는데 대상을 타서 감격스럽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러면서 "부족한 게 많았음에도 더 노력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인천에 가서 우리들이 작품에서 보여주고 싶던 생각과, 광주 연극의 저력까지 모두 다 풀어내고 오겠다"고 밝혔다.

11일 오후 광주 광산문화예술회관에서 진행된 제39회 광주연극제에 참석한 관객심사단들이 베스트 커플상과 장면상 등을 심사하고 있다.

극단 진달래피네는 오는 7월5일부터 27일까지 인천에서 열리는 제43회 대한민국 연극제에 광주를 대표해 출전한다.

이밖에도 신인연기상에는 극단 시민의 김수옥씨와 극단 바람꽃의 김예성씨가, 우수연기상은 극단 청춘의 이현기씨와 극단 까치놀의 강원미씨가 선정됐다. 무대예술상은 '꽃며느리'의 이헌 무대미술가, 희곡예술상은 '우리의 연극은 끝나지 않았어'의 권지애 작가가 수상했다.

이번 광주연극제에서는 전문심사위원과 별도로 관객심사단이 직접 베스트캐릭터·커플·장면상을 선정해 이목을 끌었다. 18명의 관객심사단은 연극제 기간 동안 5개 공연을 모두 관람하는 열정을 보였으며 폐막식에서는 직접 시상에 나서 관객참여의 의미를 더했다.

베스트캐릭터상에는 우수연기상을 수상한 이현기씨, 강원미씨와 함께 '용을 잡는 사람들'에서 오리 역을 맡은 이현기씨가 선정됐다. '용을 잡는 사람들' 속 오리·반지·망구 ·두두 캐릭터는 베스트 커플상에, 같은 작품 속 '상상 속의 용씬'은 베스트장면상에 뽑혔다.

관객심사단으로 참여한 박수경씨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연기혼을 불태운 배우들에게 응원을 보내고 싶고, 내손으로 직접 기억에 남는 배우들에게 상까지 줄 수 있어 뜻 깊은 것 같다"며 "광주연극제에 더욱 많은 시민들이 함께하면 좋겠고, 곳곳에 공연장이 활성화돼 시민들이 더욱 쉽게 연극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