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맘속 무등산' 등 16점 선봬

버려진 모발로 빼어난 자연 경관을 담은 산수화를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32년 경력의 베테랑 미용사이자 뷰티미용학 박사인 김다현(54·김다현미용기능장의집·사진) 미용기능장이 광주에서 첫 개인전을 연다.
'모발(毛髮)로 산수화를 그리다'를 주제로 10일부터 21일까지 광주 남구 광주대학교 호심미술관에서 진행되는 이번 개인전에서 김 미용기능장은 미용실에서 버려지는 머리카락을 활용한 '내 맘속 무등산'과 '정겨운 산천', '그곳', '산림 계곡' 등 헤어아트 작품 16점을 선보인다.
이번에 선보이는 작품들은 모발들을 가공하지 않은 채 가루로 만들어 자연의 아름다운 풍광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산수화를 주제로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단순하지만 섬세하게 묘사함으로써 여백의 공간들이 흑과 백으로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작품을 구상했다.

광주대학교 대학원에서 뷰티미용학 박사 학위를 받은 김 미용기능장은 현재 뷰티미용학을 전공하고 배우는 학생들에게 보다 폭넓고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선보이고자 이번 전시회를 마련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김 미용기능장은 "이번 전시회를 준비하기까지 대한민국 미용명장 1호이자 스승인 김진숙 광주대 교수님을 비롯해 주변에서 많은 도움을 주셨다"며 "이번 기회를 빌려 감사하다고 꼭 전하고 싶고 앞으로도 헤어아트의 영역을 넓혀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정진하겠다"고 개인전을 갖는 소감을 밝혔다.
이어 "미용실에서 버려진 머리카락을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 보자는 창의적인 생각이 작품 활동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현재 뷰티미용학을 전공하는 제자들과 후배들이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미용명장 1호이자 광주대학교 뷰티미용학과 석좌 교수로 활동 중인 김진숙 명장도 "이번 전시회는 물감이 아닌 모발로 그린 산수화 작품들을 선보이며 헤어아트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줬다"며 "각각의 작품은 단순히 미용의 영역을 넘어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놀라운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앞서 김 미용기능장은 지난해 4월 서울에서 헤어아트 개인전을 가졌다.
당시 김 미용기능장은 천연염색으로 재탄생한 신윤복의 '미인도'를 비롯해 '연소답청', '상준야홍', '계변가화', '단오풍정', '쌍검대부', '야금모행' 등을 한자리에서 선보여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특히 천연염색 재료를 기반으로 색상과 농도를 조절해 색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헤어아트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앞으로도 김 미용기능장은 천연염색을 활용한 헤어아트 영역을 넓혀가는 데 정진할 계획이다.
그는 "예비 미용인이나 미용인들이 현장에서 기술을 익히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계발과 역량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천연염색을 활용한 분야에서도 성과를 내는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는 것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미용기능장은 광주대학교 뷰티미용학과 대학원 졸업생이자 동 대학 겸임교수, 청암대학교 외래교수를 맡고 있다.
광주시 명장·명인 도제교육 강의를 진행했으며 제16회 미국뉴저지주 국제뷰티예술페스티벌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또 광주 북구에서 김다현 미용기능장의집을 운영하고 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찰나의 아름다운 순간, 영원에 담다 정우성 작 '거북의 여정' 우리 주변의, 세계의 아름다움을 사진에 담아낸 전시가 열리고 있다. 특히 이 전시에 참여한 이들은 사진이라는 취미를 공통점으로 만나 20년이 넘도록 교류하고 격려하며 사진에 대한 열정을 표출하고 있어 눈길을 모은다.광주사진동호회(이하 광사동)가 17번째 정기회원전을 지난 23일 광주광역시청 1층 시민홀에서 개최, 오는 30일까지 이어간다.이번 정기회원전은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2020년 16번째 회원전 이후 열리지 못했다가 약 5년만에 열리는 전시로 38명의 회원이 참여해 66점의 사진을 선보인다. 필리핀 깊은 바다 속 거북이, 프랑스 프로방스의 라벤다 밭, 마다가스카르의 바오밥 에비뉴 등 이국적인 풍경이 담긴 작품부터 강양항의 일출, 저녁 운주사와 은하수, 눈 쌓인 청련암 등 아름다운 우리나라 곳곳의 풍광과 해질녁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수국 꽃밭 속 소녀 등 우리 일상 속 아름다움 등이 담긴 작품들이다.지난 2002년 시작한 광사동은 광주의 사진동호회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모임으로 규모 또한 가장 크다. 지난 2004년 첫 회원전을 가진 이후 거의 매해 정기회원전을 열며 회원들의 사진 활동을 독려해왔다.정정식 작 '폐선'현재까지 홈페이지 가입 회원수만해도 4천여 명에 달하는 대규모 동호회로 광주사진협회 회원 다수가 이곳에서 활동하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정기 출사, 사진 정보 교류 모임 등을 꾸준히 갖고 사진에 대한 열정을 함께 하고 있다.정우성 광사동 회장은 "사진 동호회가 필요한 이유는 사진을 꾸준히 찍을 수 있는 동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며 "혼자 사진을 취미로 하다보면 금방 지칠 수 있는데 장거리 출사를 함께 나가고, 사진 정보에 대해 교류도 하고 정기적으로 전시를 갖게 되다 보면 자신 스스로를 독려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박용휴 작 '프랑스 프로방스 라벤다'5년 만에 정기회원전을 재개한 광사동은 앞으로 스마트폰 사진까지도 문을 개방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이같은 시류 변화와 함께 하고 젊은 회원 가입을 유도하겠다는 의도이다.정 회장은 "이번 정기회원전을 계기로 우리 광사동은 더 단단하게 결속되고 새로운 시대에 부응해 성장하는 동호회로 거듭나려한다"며 "이번 회원전은 회원 작가들에게 큰 성취로 다가올 것이다. 아름다운 풍광이 담긴 사진을 많은 분들이 보고 마음에 깊은 힐링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광주시청서 울려퍼지는 아름다운 하모니
- · 광주시향이 선물하는 드뷔시·드보르작
- · 오감으로 느끼는 디지털 사회의 이면
- · "폐기물 악기가 전해주는 선율 신기해요"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